근육량 떨어지면 알츠하이머병 위험 증가한다

입력 2024-06-25 09:1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여의도성모병원, 근육 감소로 인한 인지기능 저하 기전 세계 최초 규명

▲가톨릭대 여의도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임현국 교수, 김성환 임상강사 (사진제공=가톨릭대 여의도성모병원)
▲가톨릭대 여의도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임현국 교수, 김성환 임상강사 (사진제공=가톨릭대 여의도성모병원)

국내 연구진이 다중 뇌영상을 이용해 근육 감소로 인한 인지기능 저하 원인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

여의도성모병원 가톨릭 뇌건강센터는 임현국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연구팀(김성환 임상강사)이 가톨릭 노화 뇌영상 데이터 베이스(CABI)에서 528명의 치매가 없는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인지기능 장애 유발 기전을 확인했다고 25일 밝혔다.

근감소증(sarcopenia)은 노인 낙상 골절, 걸음걸이 이상 등 일상 기능 저하는 물론, 알츠하이머병과 혈관성 치매 등으로 인한 인지 기능 장애의 위험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나 근감소증이 구체적으로 뇌의 어떤 변화를 통해 인지기능 저하를 유발하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근육량과 근육강도, 신체기능 등을 통한 근감소증 점수와 뇌 자기공명영상(MRI)으로 측정한 대뇌 피질 두께, 해마 부피, 백색질변성의 정도, 뇌 아밀로이드-PET에서 측정된 대뇌 아밀로이드의 침착도, 그리고 인지기능과의 관계를 분석했다.

생체임피던스 기기로 측정한 근육량, 악력계로 측정한 근력, 앉았다 일어서기 검사로 측정한 근 기능 모두 인지기능 장애와 뚜렷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뇌의 위축 정도, 뇌의 백색질 변성 정도, 뇌 아밀로이드 축적 정도와는 각기 다른 관계를 보였다.

근육량이 적을수록 알츠하이머병의 유발물질인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의 축적이 많이 나타났다. 근력이 약할수록 측두엽 대뇌 피질 두께가 얇아지고 근기능이 떨어질수록 양측 섬엽 두께가 위축되는 현상을 보였다.

이는 부분최소적합 구조방정식 모형(PLS-SEM)을 이용해 나이, 성별, 교육년수, 아포이(APOE) 유전자형, 우울증 점수 등을 통제했을 때에도 나타났다. 높은 근육량은 알츠하이머병 원인 물질인 아밀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 축적을 억제하고, 높은 근력은 백색질 변성을 막아 뇌 외축 및 인지기능의 저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었다. 좋은 근육 기능은 근육양 및 강도와 달리 직접 뇌 위축 보호 및 인지기능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는 근감소증 진단 요소들이 아밀로이드 축적, 뇌 백색질 변성, 뇌 위축 등 각기 다른 방식으로 뇌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규명해 의의가 있다. 또한, 인지기능 저하를 설명하는 통합적 모델을 제시한 것이 큰 성과다.

김 임상강사(제1저자)는 “고령에서도 근육의 양, 강도 및 기능을 유지하는 것이 뇌 퇴행성 변화와 인지기능 저하를 막는 데에 중요하다”고 부연했다.

임 교수(교신저자)는 “근감소증 관련 신체 상태에 대한 의학적 접근이 치매 발병 위험을 줄이기 위한 새로운 치료 목표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본 연구는 국제알츠하이머병학회 공식 학술지에 게재됐으며, 한국콘텐츠진흥원 및 가톨릭대학교 인공지능·뇌과학사업단의 지원을 받아 진행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필카부터 네 컷까지…'디토 감성' 추구하는 '포토프레스 세대'[Z탐사대]
  • 신생아 특례대출 기준 완화…9억 원 이하 분양 단지 '눈길'
  • 네이버웹툰, 나스닥 첫날 9.52% 급등…김준구 “아시아 디즈니 목표, 절반 이상 지나”
  • 사잇돌대출 공급액 ‘반토막’…중·저신용자 외면하는 은행
  • ‘예측 불가능’한 트럼프에…'패스트 머니' 투자자 열광
  • 임영웅, 레전드 예능 '삼시세끼' 출격…"7월 중 촬영 예정"
  • '손웅정 사건' 협상 녹취록 공개…"20억 불러요, 최소 5억!"
  • 롯데손보, 새 주인은 외국계?…국내 금융지주 불참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5,712,000
    • -1%
    • 이더리움
    • 4,802,000
    • -0.97%
    • 비트코인 캐시
    • 550,000
    • +1.29%
    • 리플
    • 669
    • +0.45%
    • 솔라나
    • 199,500
    • -3.48%
    • 에이다
    • 549
    • +0.55%
    • 이오스
    • 837
    • +1.95%
    • 트론
    • 174
    • +1.16%
    • 스텔라루멘
    • 0
    • +2.34%
    • 비트코인에스브이
    • 64,000
    • +0.87%
    • 체인링크
    • 20,220
    • +2.12%
    • 샌드박스
    • 481
    • +0.2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