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아프리카 정상회의' 4일 개막...尹, 25개국 정상과 경제·안보 머리 맞댄다

입력 2024-06-02 17:4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YONHAP PHOTO-3928> [한-아프리카 정상회의] 윤석열 대통령, 탄자니아 대통령과 소인수 환담 전 인사        (서울=연합뉴스) 홍해인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이 2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사미아 술루후 하산 탄자니아 대통령과 소인수 환담 전 악수하고 있다. 2024.6.2 [대통령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hihong@yna.co.kr/2024-06-02 15:31:14/<저작권자 ⓒ 1980-2024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연합뉴스)
▲<YONHAP PHOTO-3928> [한-아프리카 정상회의] 윤석열 대통령, 탄자니아 대통령과 소인수 환담 전 인사 (서울=연합뉴스) 홍해인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이 2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사미아 술루후 하산 탄자니아 대통령과 소인수 환담 전 악수하고 있다. 2024.6.2 [대통령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hihong@yna.co.kr/2024-06-02 15:31:14/<저작권자 ⓒ 1980-2024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4∼5일 이틀간 '한·아프리카 정상회의'에 나선다. 한국이 아프리카를 상대로 개최하는 첫 다자 정상회의로 아프리카 48개국이 참여한다. 윤석열 정부 출범 이래 최대 규모다. 윤 대통령은 아프리카 정상들과 양자 회담을 갖고 핵심광물 자원의 안정적인 공급 등 경제협력 방안을 논의한다.

2일 대통령실에 따르면 이날 윤석열 대통령은 오는 5일까지 아프리카 25개국과 정상회담을 진행한다.

이번 한·아프리카 정상회의에는 아프리카연합(AU) 소속 국가 55개국 중 쿠데타 등 정치적인 이유로 참석이 불가능한 7개국을 제외하고 모두 48개 국가가 참여한다. 이 중 국왕이나 대통령 등 국가 원수가 방한하는 나라는 약 25개국이다. 윤 대통령은 이들 국가와 릴레이 정상회담을 이어갈 방침이다.

윤 대통령은 지난달 31일 줄리우스 마아다 비오 시에라리온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시작으로 이날 사미아 술루후 하산 탄자니아 합중국 대통령, 에티오피아연방민주공화국 아비 총리와 회담을 하고, 5일에는 모리타니와 양자 회담을 치른다. 이들 4개국은 공식 방한국으로 기록되는 국가들이다.

이날 윤 대통령은 탄자니아와 아프리카 국가 중에선 처음으로 '경제동반자협정(EPA. Economic Partnership Agreement) 협상 개시를 선언했다. 두 정상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핵심광물 자원의 안정적 공급을 위해 양국 간 협력을 강화할 필요성에 공감하고, 이날 서명하는 '핵심광물 공급망 양해각서(MOU)'를 통해 협력을 확대하기로 했다. 탄자니아는 리튬, 코발트, 니켈 등 핵심광물 보유한 국가다. 또 '청색 경제 협력 MOU'를 통해 해양수산 분야에서도 협력을 강화하는 데에 의견을 같이했다.

앞서 윤 대통령은 줄리어스 마다 비오 시에라리온 대통령과 ‘무역투자촉진 프레임워크’(TIPF)를 체결해 양국 간 교역과 투자 협력을 확대하기로 했다. 한국의 벼 종자를 공급하고 쌀 재배 기술을 전수하는 공적개발원조(ODA)인 ‘K-라이스벨트 사업’을 토대로 식량 안보 협력도 확대할 예정이다. 외교‧안보에선 북한의 지속적 도발에 함께 우려를 표하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 제재 이행에 협력하기로 뜻을 모았다. 현재 건립 중인 시에라리온 공립병원에 의료장비 지원도 추진한다.

우리 정부는 다수 아프리카 국가들과 협력 문서를 채택해 교역과 투자를 위한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은 한·아프리카 정상회의 관련 브리핑에서 "우리 자유 무역과 선진 관세 행정시스템을 아프리카 국가들과 공유하면서 아프리카 대륙 자유무역지대의 이행을 지원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4일 열리는 ‘2024 한-아프리카 정상회의’ 본행사는 ‘함께 만드는 미래’를 주제로 개최된다. 한·아프리카 협력을 대원칙으로 삼아 동반성장, 지속 가능성, 연대 세 가지 목표를 심도 있게 논의한다는 게 대통령실의 설명이다.

5일엔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무역협회가 주관하는 '2024 한-아프리카 비즈니스 서밋'이 치러진다. 한-아프리카 청년 스타트업 포럼, 글로벌 ICT 리더십 포럼, 관광 포럼, 농업 콘퍼런스 등 13개 부대 행사가 개최될 예정이다.

김 차장은 "회의에 초대받은 대부분의 나라가 참석하겠다는 의사를 표명한 것은 한국과의 협력에 대한 아프리카의 높은 기대감이 작용한 것"이라며 "윤 대통령은 이번 회의에 참석한 모든 정상과 양자 회담을 갖고 양자 협력 증진 방안을 심도 있게 협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특히 한-아프리카 정상회의가 정례화될지도 주목된다. 일본의 경우 1993년 아프리카 정상회의를 시작했지만, 애초 목표로 삼았던 3년 주기로 행사를 개최하진 못하고 있다. 중국 역시 2006년 3년 주기로 아프리카 정상 회의를 출범했지만, 간헐적으로 이어오는 실정이다. 미국은 2014년 미국·아프리카 정상회의를 출범했지만 8년이 지난 2022년에야 2차 회의를 개최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첫 회의인 만큼 좀 더 지켜봐야 할 것"이라면서 "2~3년 단위로 개최하기에는 거리도 멀고 상당히 벅찬 프로젝트다. 아프리카 50여 개의 나라를 초청해 한자리에 모으는 일이 결코 쉬운 일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필카부터 네 컷까지…'디토 감성' 추구하는 '포토프레스 세대'[Z탐사대]
  • 신생아 특례대출 기준 완화…9억 원 이하 분양 단지 '눈길'
  • 네이버웹툰, 나스닥 첫날 9.52% 급등…김준구 “아시아 디즈니 목표, 절반 이상 지나”
  • 사잇돌대출 공급액 ‘반토막’…중·저신용자 외면하는 은행
  • ‘예측 불가능’한 트럼프에…'패스트 머니' 투자자 열광
  • 임영웅, 레전드 예능 '삼시세끼' 출격…"7월 중 촬영 예정"
  • '손웅정 사건' 협상 녹취록 공개…"20억 불러요, 최소 5억!"
  • 롯데손보, 새 주인은 외국계?…국내 금융지주 불참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5,721,000
    • -1.36%
    • 이더리움
    • 4,802,000
    • -1.05%
    • 비트코인 캐시
    • 549,500
    • +0.83%
    • 리플
    • 669
    • +0.6%
    • 솔라나
    • 199,400
    • -3.9%
    • 에이다
    • 550
    • +0.92%
    • 이오스
    • 837
    • +1.95%
    • 트론
    • 173
    • +0%
    • 스텔라루멘
    • 0
    • +2.34%
    • 비트코인에스브이
    • 64,000
    • +0.95%
    • 체인링크
    • 20,280
    • +2.22%
    • 샌드박스
    • 481
    • +0.4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