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근로자 대폭 확대에…정부, 15개국과 협력 강화

입력 2024-05-13 16:4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중국·베트남·필리핀·네팔 등 취업비자 소지 외국인 비중 높은 국가 중심

주한공관원 대상 외국인 체류·사증 정책 설명회

우리나라 산업 현장과 지역 사회 등에서 외국인 근로자들의 역할이 점차 확대되면서, 정부가 중국·베트남·필리핀·네팔 등 취업 비자를 소지한 외국인 비중이 높은 15개 국가와 협력을 강화한다.

(자료 제공 = 법무부)
(자료 제공 = 법무부)

법무부는 13일 오후 정부과천청사에서 주한공관원을 대상으로 2024년 외국인 체류‧사증 정책 설명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법무부는 대한민국 체류‧사증 정책을 소개하고, 외국인 체류 관리를 위한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방안을 모색했다.

이날 설명회에는 15개국 공관의 노무관 등 영사들이 참석했다. 특히 외국인 계절근로자 프로그램, 지역특화형 비자 제도 및 숙련기능인력(E-7-4) 전환 제도 등에 관한 관심이 높았다.

앞서 정부는 숙련기능인력에 발급하는 비자(E-7-4)의 연간 배정(쿼터)을 지난해 2000명에서 3만5000명으로 확대했다.

외국인 숙련기능인력의 체류 자격 전환요건을 낮춰 4년 이상 국내에 체류하고 일정 수준의 한국어 능력을 갖춘 외국인 근로자가 300점 만점(K-point E74) 중 최소 200점(가점 포함)을 충족하고, 신청일 기준으로 1년 이상 근무 중인 기업체로부터 추천받으면 ‘숙련기능인력(E-7-4) 비자’로 전환을 허용하기로 했다.

법무부 관계자는 “자국민 보호 및 노무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실무진을 대상으로 공론화 장을 마련해 현실적인 체류관리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면서 “참석자들은 이번 설명회를 자국민 보호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행사로 평가하며 공관원과의 적극적 소통을 위한 법무부 노력에 사의를 표했다”고 전했다.

이재유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장은 “향후에도 체계적이고 균형 잡힌 외국인‧비자정책 추진을 위해 주한공관과의 협력 네트워크를 지속적으로 강화할 수 있도록 노력해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일경 기자 ekpark@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필카부터 네 컷까지…'디토 감성' 추구하는 '포토프레스 세대'[Z탐사대]
  • 신생아 특례대출 기준 완화…9억 원 이하 분양 단지 '눈길'
  • 네이버웹툰, 나스닥 첫날 9.52% 급등…김준구 “아시아 디즈니 목표, 절반 이상 지나”
  • 사잇돌대출 공급액 ‘반토막’…중·저신용자 외면하는 은행
  • ‘예측 불가능’한 트럼프에…'패스트 머니' 투자자 열광
  • 임영웅, 레전드 예능 '삼시세끼' 출격…"7월 중 촬영 예정"
  • '손웅정 사건' 협상 녹취록 공개…"20억 불러요, 최소 5억!"
  • 롯데손보, 새 주인은 외국계?…국내 금융지주 불참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4,801,000
    • -2.06%
    • 이더리움
    • 4,770,000
    • -1.67%
    • 비트코인 캐시
    • 547,500
    • +0.18%
    • 리플
    • 666
    • -0.45%
    • 솔라나
    • 197,300
    • -6%
    • 에이다
    • 550
    • -0.36%
    • 이오스
    • 836
    • +1.09%
    • 트론
    • 174
    • +0.58%
    • 스텔라루멘
    • 130
    • +0.78%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750
    • -2.11%
    • 체인링크
    • 19,750
    • -1.89%
    • 샌드박스
    • 479
    • +0%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