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기 후 산업, 제조업 상승하고 서비스업 하락”

입력 2013-04-01 12: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한은 보고서

산업별 생산의 금융위기 전후를 비교할 경우 제조업은 위기이전의 추세를 상회한 반면 서비스, 건설업은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 산업분석팀 배성종 차장 등이 1일 발표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산업별 생산변동 요인 분석 및 시사점'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제조업 생산은 위기이전 추세를 상회하는 수준으로 회복된 반면 서비스업과 건설업은 하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배 차장은 2009년 2분기부터 2012년 4분기중 제조업 세부업종별 생산의 움직임을 요인분해한 결과, 자동차, 1차금속, 화학은 전체 경기회복세를 감안하더라도 위기이전에 비해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고 분석했다.

특히 이들 업종들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수출점유율이 큰 폭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 대외경쟁력 상승과 연관되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인다는 분석이다.

반면 전기장비·기타기계, 목재종이, IT, 비금속광물은 경기요인에 의한 회복세를 제외할 경우 실질적으로는 금융위기 이전 추세를 하회하는 부진한 성장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업종중 IT제품의 경우 국내 기업의 해외현지생산 확대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국내 생산이 휴대폰 등의 통신·방송장비를 중심으로 감소하면서 특이요인이 마이너스를 나타냈다.

배 차장 등은 특히 비금속광물의 특이요인이 마이너스 요인으로 작용한 것은 건설업의 부진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서비스업의 경우 생산변동 요인분해 결과 금융위기 이후의 부진은 주로 수출기업을 중심으로 한 제조업보다 내수부진, 국내 부동산경기 침체 장기화, 불확실성 지속 등의 영향을 크게 받은 데 기인했던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주택시장과 밀접한 연관관계가 있는 부동산임대업은 마이너스요인이 크게 나타났으며 교육서비스 등 사회서비스업의 경우는 불확실성 등으로 특이요인이 하락세를 나타냈다.

한편 배 차장 등을 금융위기 이후 경제성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 부동산 경기침체 장기화, IT기업의 해외현지생산 확대 등의 산업별 특이요인이 해소되지 않을 경우 향후 경기회복에 제약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때문에 향후 경기회복을 위해서는 거시적 통화·재정정책 이외에도 서비스업과 건설업 활성화 정책 등 산업별 특이요인에 초점을 맞춘 미시적 정책대응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눈치 보는 비트코인, 5만7000달러 지지…100위권 밖 알트코인 '꿈틀' [Bit코인]
  • 1000명 모인 언팩 현장, ‘갤럭시 링’ 공개되자 “어메이징!” [갤럭시 언팩 2024]
  • 오킹 통편집이냐, 정면 돌파냐…'출연자 리스크' 시달리는 방송가 [이슈크래커]
  • '골 때리는 그녀들' 액셔니스타, 원더우먼에 2-1 역전승…정혜인ㆍ박지안 활약
  • "부정한 돈 받은 적 없다"…카라큘라, 쯔양 협박 렉카설 정면 부인
  • [상보] 한국은행, 12회 연속 기준금리 연 3.50% 동결
  • ‘키맨’ 신동국이 봉합한 한미家 갈등…‘새판짜기’ 방향은?
  • "대한민국 축구밖에 없다" 홍명보 감독직 수락 이유에…박문성 "K리그는 대한민국 축구 아니냐"
  • 오늘의 상승종목

  • 07.11 12:45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1,372,000
    • -0.7%
    • 이더리움
    • 4,353,000
    • +0.25%
    • 비트코인 캐시
    • 478,100
    • +1.68%
    • 리플
    • 621
    • +0.98%
    • 솔라나
    • 198,500
    • -0.55%
    • 에이다
    • 549
    • +3%
    • 이오스
    • 740
    • +0.54%
    • 트론
    • 188
    • +2.17%
    • 스텔라루멘
    • 124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53,400
    • +0.95%
    • 체인링크
    • 17,830
    • -1.76%
    • 샌드박스
    • 423
    • +0.9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