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마켓 모닝 브리핑] 엔비디아, 6%대 반등…뉴욕증시는 연일 혼조세

입력 2024-06-26 08:3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트레이더가 주가를 살피고 있다. 뉴욕(미국)/로이터연합뉴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트레이더가 주가를 살피고 있다. 뉴욕(미국)/로이터연합뉴스

뉴욕증시 마감

뉴욕증시는 25일(현지시간) 반도체 대장주 엔비디아의 롤러코스터 장세 속에 전날에 이어 혼조세로 마감했다.

다우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299.05포인트(0.76%) 하락한 3만9112.16에 마감했다. S&P500지수는 21.43포인트(0.39%) 오른 5469.30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220.84포인트(1.26%) 상승한 1만7717.65에 거래를 마쳤다.

주요 종목 중엔 마이크로소프트(MS)가 0.73% 상승했고 애플과 메타는 각각 0.45%, 2.43% 올랐다. 테슬라는 2.61%, 아마존은 0.41% 상승했다.

전날 6%대 급락하며 증시를 요동치게 했던 엔비디아는 다시 6.76% 반등하면서 S&P500지수를 이끌었다. 전날엔 주가가 지나치게 올랐다는 인식 속에 매도세가 번졌다면 이날은 저점 매수가 발생했다.

인디펜던트어드바이저얼라이언스의 크리스 자카렐리 최고투자책임자(CIO)는 CNBC방송에 “최근 엔비디아와 기술주의 하락세는 단기적인 조정일 가능성이 크다”며 “기술주가 다시 선두를 달리고 있고 엔비디아는 하락장에서 매수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올해는 여전히 기술과 인공지능(AI)이 주도하고 있다”며 “AI 랠리는 닷컴버블보다 훨씬 더 많은 실체를 갖고 있다”고 덧붙였다.

국제유가

국제유가는 지나치게 올랐다는 인식 속에 하락했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8월물 미국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전 거래일 대비 0.8달러(0.98%) 하락한 배럴당 80.83달러에 마감했다. 런던 ICE선물거래소에서 8월물 브렌트유는 0.84달러(0.98%) 내린 배럴당 85.17달러로 집계됐다.

유가는 여름 휴가철 원유 수요 기대감에 이달 들어 강세를 보였다. WTI와 브렌트유는 이 기간 각각 4.9%, 4.1% 상승했다. 이러한 이유로 투자자들은 이스라엘과 레바논 국경에서 벌어지는 긴장감을 주시하면서도 이날은 차익실현에 나섰다.

유럽증시 마감

유럽증시는 프랑스 총선거에 대한 불안이 다시 커지면서 하락했다.

범유럽증시 스톡스유럽600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17포인트(0.23%) 하락한 517.70에 마감했다. 독일 프랑크푸르트증시 DAX지수는 147.96포인트(0.89%) 내린 1만8177.62에, 영국 런던증시 FTSE지수는 33.76포인트(0.41%) 떨어진 8247.79에, 프랑스 파리증시 CAC40지수는 44.59포인트(0.58%) 하락한 7662.30에 거래를 마쳤다.

30일 프랑스 총선을 앞두고 극우 국민연합(RN)이 여론조사에서 더 큰 지지세를 확보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불안이 고조됐다.

에어버스는 올해 공급망 문제로 인해 예상보다 적은 수의 항공기를 인도할 것이라고 밝히면서 주가가 9.5% 폭락했다.

뉴욕금값 마감

국제 금값이 25일(현지시간) 달러화 강세에 하락했다.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거래 중심인 8월물 금은 전장 대비 13.6달러(0.58%) 내린 온스당 2330.8달러에 장을 마쳤다. 달러화와 국채 수익률 상승에 타격을 받아 대체 투자처로 여겨지는 금 선물에 대한 심리가 위축된 것으로 풀이된다.

투자자들은 27일부터 연일 발표되는 미국 1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과 5월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에 주목하고 있다고 CNBC가 분석했다. 미국 인플레이션 데이터에 따라 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이 점쳐질 수 있기 때문이다.

TD증권의 라이언 매케이 투자전략가는 “중앙은행의 실물 수요가 여전히 많고 아시아 수요도 있다”면서 “궁극적으로 연준이 금리를 인하할 것이라는 기대가 있어 투자자들은 금을 매도하는 것을 매우 꺼려한다”고 말했다.

세계금협회(WGC)에 따르면 금 수요의 중요한 지표인 글로벌 실물 기반 금 상장지수펀드(ETF)에는 지난주 2억1200만 달러(약 2951억 원), 즉 2.1톤(t)의 자금이 유입됐다. 금은 지난달 20일 사상 최고치인 2449.89달러를 기록했으며,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와 중앙은행의 강력한 매입에 힘입어 올해 들어 지금까지 12% 상승했다.

가상자산

주요 가상자산 가격은 상승했다.

미국 가상자산 전문 매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비트코인 가격은 한국시간 26일 오전 8시 30분 현재 24시간 전보다 2.52% 급등한 6만1708.55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이더리움 가격은 1.52% 오른 3391.72달러를 나타내고 있다.

바이낸스코인은 1.91% 상승한 577.13달러에, 리플은 0.29% 오른 0.47481077달러에 거래됐다.

뉴욕 외환시장

미국 달러화 가치가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인사의 매파적 발언에 소폭 상승했다.

주요 6개 통화 바스켓에 대한 달러 강세를 추적하는 달러인덱스는 전장보다 0.1% 상승한 105.72를 기록했다. 유로·달러 환율은 1.0714달러로 보합세를 보였고, 파운드·달러 환율은 0.01% 오른 1.2687달러를 나타냈다. 달러·엔 환율은 0.03% 밀린 159.65엔으로 집계됐다.

미셸 보먼 연준 이사는 이날 기준금리를 당분간 동결하는 것 만으로도 인플레이션을 통제할 수 있다는 견해를 내놨다. 또 필요하다면 기준 금리를 인상할 의향이 있음을 재차 강조했다. 그는 “인플레이션이 목표치 2%를 향해 지속해서 가고 있다는 점이 분명해지면 금리를 인하하는 것이 결국 적절해질 것이나, 아직 적절한 시점은 아니다”고 말했다.

리사 쿡 연준 이사는 “인플레이션의 상당한 진전과 노동시장의 점진적인 냉각을 고려할 때 어느 시점에는 기준 금리를 인하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라며 “이는 앞으로 나오는 데이터와 그것이 경제 전망과 위험 균형에 어떤 의미가 있는지에 달렸다”고 언급했다.

자야티 바라드와즈 뉴욕TD증권 글로벌 외환 전략가는 “연준 인사들의 말을 들어보면 연초부터 여전히 강세를 보였는데도 한 차례의 부진한 지표에 너무 많은 비중을 두는 것을 꺼린다”며 “인플레이션 전망에 대한 불확실성이 전 세계 다른 곳보다 미국에서 더 높다는 점을 감안할 때, 이것들은 불확실하며 데이터 의존적으로 들린다”고 분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필카부터 네 컷까지…'디토 감성' 추구하는 '포토프레스 세대'[Z탐사대]
  • 신생아 특례대출 기준 완화…9억 원 이하 분양 단지 '눈길'
  • 네이버웹툰, 나스닥 첫날 9.52% 급등…김준구 “아시아 디즈니 목표, 절반 이상 지나”
  • 사잇돌대출 공급액 ‘반토막’…중·저신용자 외면하는 은행
  • ‘예측 불가능’한 트럼프에…'패스트 머니' 투자자 열광
  • 임영웅, 레전드 예능 '삼시세끼' 출격…"7월 중 촬영 예정"
  • '손웅정 사건' 협상 녹취록 공개…"20억 불러요, 최소 5억!"
  • 롯데손보, 새 주인은 외국계?…국내 금융지주 불참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4,869,000
    • -1.86%
    • 이더리움
    • 4,767,000
    • -1.91%
    • 비트코인 캐시
    • 547,000
    • +0.55%
    • 리플
    • 669
    • +0.3%
    • 솔라나
    • 199,100
    • -4.74%
    • 에이다
    • 555
    • +0.73%
    • 이오스
    • 837
    • +1.58%
    • 트론
    • 174
    • +1.16%
    • 스텔라루멘
    • 130
    • +0.78%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750
    • -1.8%
    • 체인링크
    • 19,820
    • -1.93%
    • 샌드박스
    • 479
    • -0.2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