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與, 민생회복지원금 적극 협조하길"

입력 2024-06-25 11:0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더불어민주당 진성준 정책위의장(가운데)이 25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진성준 정책위의장(가운데)이 25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은 25일 국민의힘을 향해 민생회복지원금을 위한 특별조치법안 통과에 협조할 것을 요청했다.

진성준 정책위의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에 민생회복지원금 특별조치법이 계류돼 있다"며 "국민의힘은 (22대 국회) 원 구성에 임하기로 한 만큼 (법안이) 신속하게 통과될 수 있도록 협조해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진 정책위의장은 "민주당의 민생회복지원금과 정부여당의 부자감세론을 싸잡아서 비판하는 목소리가 일부 있다. 세수결손을 비판하며 민생회복지원금을 지급하자는 민주당이나 재정준칙을 입법하자며 부자감세론을 주장하는 정부여당이 똑같이 모순적이지 않냐는 것"이라며 "그러나 그렇지 않다. 민생회복지원금은 소비와 내수를 살리자는 것으로, 이를 통해 우리 경제가 살아나면 세수도 늘어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코로나 펜데믹 시기, 우리나라는 1인당 25만원 긴급재난지원금을 통해 코로나 이전 경제 수준을 회복했고 국세수입은 역대 최고 수준의 증가율을 보였다"며 "반면 정부여당의 부자감세론은 세수 기반 자체를 무너뜨리고 감세의 경제적 효과도 없다. 법인세 인하로 투자가 늘어날 것이라고 했지만 투자는 늘지 않고 세수만 줄어들었다"고 지적했다.

진 정책위의장은 "민생회복지원금과 부자감세에 대한 기계적 양비론은 유감"이라며 "저출생 대책이나 기후위기 대응처럼 민생회복은 가장 절박한 시대적 요구이자 필수적인 재정 소요"라고 강조했다.

한편 그는 전세사기 특별법 처리도 강조하며 "윤석열 정부는 더 이상 거부권(재의요구권) 남용으로 국민의 마음에 대못을 박지 말고 하루빨리 전세사기 특별법이 입법될 수 있도록 협조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이어 "오늘 국회 국토교통위원회가 전세사기 지원대책을 위한 입법 청문회를 연다"며 "청문회에서 전세사기 피해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한 후 현행 제도의 개선방안을 포함해 특별법에 반영하겠다. 또한 지난달 말 정부가 발표한 공공임대주택 임대료 지원 형태로 (전세사기) 피해자 지원을 확대하는 방안도 적극 검토하겠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필카부터 네 컷까지…'디토 감성' 추구하는 '포토프레스 세대'[Z탐사대]
  • 신생아 특례대출 기준 완화…9억 원 이하 분양 단지 '눈길'
  • 네이버웹툰, 나스닥 첫날 9.52% 급등…김준구 “아시아 디즈니 목표, 절반 이상 지나”
  • 사잇돌대출 공급액 ‘반토막’…중·저신용자 외면하는 은행
  • ‘예측 불가능’한 트럼프에…'패스트 머니' 투자자 열광
  • 임영웅, 레전드 예능 '삼시세끼' 출격…"7월 중 촬영 예정"
  • '손웅정 사건' 협상 녹취록 공개…"20억 불러요, 최소 5억!"
  • 롯데손보, 새 주인은 외국계?…국내 금융지주 불참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5,680,000
    • -0.52%
    • 이더리움
    • 4,773,000
    • -0.95%
    • 비트코인 캐시
    • 541,000
    • -2.26%
    • 리플
    • 670
    • +0%
    • 솔라나
    • 199,800
    • -1.96%
    • 에이다
    • 555
    • +2.4%
    • 이오스
    • 819
    • -0.12%
    • 트론
    • 176
    • +2.92%
    • 스텔라루멘
    • 129
    • -0.77%
    • 비트코인에스브이
    • 63,150
    • -1.79%
    • 체인링크
    • 19,520
    • -1.91%
    • 샌드박스
    • 474
    • +0%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