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천성 유전질환 ‘AMED 증후군’ 국내 첫 진단

입력 2024-06-24 10:0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서울성모병원 김명신·정낙균 교수팀, 골수부전증후군 의심 환자군 14년간 분석

▲(좌측부터) 정낙균 혈액병원 소아혈액종양센터(소아청소년과) 교수, 김명신 진단검사의학과 교수, 이종미 진단검사의학과 교수   (사진제공=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좌측부터) 정낙균 혈액병원 소아혈액종양센터(소아청소년과) 교수, 김명신 진단검사의학과 교수, 이종미 진단검사의학과 교수 (사진제공=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국내 골수부전증후군 환자의 게놈 지형을 규명하고, 진단의 효율성을 분석한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은 진단검사의학과 김명신(공동교신저자)·이종미(제1저자), 혈액병원 소아혈액종양센터 정낙균(공동교신저자) 교수팀이 2010년부터 2024년까지 서울성모병원에서 골수부전증후군이 의심돼 진료받은 환자 130명을 대상으로 유전분석연구를 진행한 결과를 공개했다고 24일 밝혔다.

연구에는 패널 시퀀싱, 임상엑솜시퀀싱, 마이크로어레이 및 전장유전체 시퀀싱을 포괄적으로 활용했다. 그 결과 50%의 환자에서 유전학적 선천성 질환 확진이 가능했다.

특히, 골수부전증후군 중 하나인 AMED 증후군을 국내 최초로 진단했다. 환자는 2010년 병원을 찾았던 10대 자매로, 백혈구 감소가 확인돼 모든 검사 기법을 활용했음에도 정확한 질환명을 찾을 수 없었다. 임상 증상에 따라 혈액질환 치료를 받다가 이번 연구 결과로 14년 만에 정확한 진단을 받게 됐다.

또한, 선천성 혈소판 감소증, 골수성 종양, 선천성 면역장애와 같이 골수부전증후군과 유사한 임상 양상을 보이지만 병리기전이 다른 질환들도 효과적으로 구별했다.

임상엑솜시퀀싱으로 검출이 어려운 변이는 전장유전체 분석이 필요하다는 결과도 얻었다. 전장유전체시퀀싱을 통한 추가 진단으로 최근 국가 주도로 이루어진 국가바이오빅데이터시범사업의 유용성을 확인한 것이다. 향후 기존의 검사법으로는 진단이 어려웠던 유전질환도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골수부전증후군은 골수의 부적절한 조혈로 인한 혈구감소를 보이는 희귀난치성 유전질환군으로 발생 빈도는 신생아 100만 명당 65명 정도로 낮다. 증상이 다양해 정확한 진단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실제 유병률은 더 높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골수부전증후군 중 일부 질환은 급성 백혈병 또는 특정 고형종양으로 진행될 위험이 있어 면밀한 추적관찰이나 적정한 맞춤 치료가 필요하다. 최근 골수부전증후군과 연관이 많은 수의 유전자를 조합한 표적화된 패널을 사용한 차세대 시퀀싱 기법의 발달로, 효율적인 진단이 가능해 지고 있다.

이종미 교수는 “서울성모병원 유전진단검사센터는 6800여 개의 유전자를 한 번에 분석할 수 있는 임상엑솜시퀀싱을 활용해 선천성 유전질환을 진단하고 있으며, 국내 최대 규모의 골수부전증후군 환자를 분석한 이번 연구 결과로 병원의 진단법이 가장 효율적이고 정확한 것으로 입증됐다”고 말했다.

김명신 교수는 “임상 증상으로 유전 질환이 의심됐지만, 진단 검사가 음성으로 나온 환자들을 잊거나 포기하지 않고 새로운 기술이 도입될 때마다 다시 분석한 결과 14년 만에 환자에게 정확한 질환명을 알릴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정낙균 교수는 “과거에는 현미경으로 관찰한 골수 내 세포 모양과 골수 조직검사 결과로 혈액질환을 진단했지만, 유전자 분석기법 발달로 유전자적 특성을 기준으로 질환을 진단하고 적절한 추적관찰과 맞춤 치료를 시기적절하게 할 수 있게 됐다”며 “앞으로도 유전자 진단을 통한 조기 진단으로 감별이 어려운 혈액질환이 중증질환으로 진행되는 것을 예방하고 완치하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영국혈액학회지(British Journal of Haematology)’ 최근호에 게재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필카부터 네 컷까지…'디토 감성' 추구하는 '포토프레스 세대'[Z탐사대]
  • 신생아 특례대출 기준 완화…9억 원 이하 분양 단지 '눈길'
  • 네이버웹툰, 나스닥 첫날 9.52% 급등…김준구 “아시아 디즈니 목표, 절반 이상 지나”
  • 사잇돌대출 공급액 ‘반토막’…중·저신용자 외면하는 은행
  • ‘예측 불가능’한 트럼프에…'패스트 머니' 투자자 열광
  • 임영웅, 레전드 예능 '삼시세끼' 출격…"7월 중 촬영 예정"
  • '손웅정 사건' 협상 녹취록 공개…"20억 불러요, 최소 5억!"
  • 롯데손보, 새 주인은 외국계?…국내 금융지주 불참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6,290,000
    • +0.1%
    • 이더리움
    • 4,833,000
    • +0.88%
    • 비트코인 캐시
    • 566,500
    • +6.89%
    • 리플
    • 674
    • +1.97%
    • 솔라나
    • 203,900
    • +4.19%
    • 에이다
    • 546
    • +1.87%
    • 이오스
    • 833
    • +1.96%
    • 트론
    • 172
    • -0.58%
    • 스텔라루멘
    • 130
    • +2.36%
    • 비트코인에스브이
    • 65,000
    • +4.33%
    • 체인링크
    • 20,110
    • +2.86%
    • 샌드박스
    • 476
    • +0.8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