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건설, 아프리카 시장 확대 박차…정상급 지도자 연쇄 면담

입력 2024-06-05 10:4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정원주 대우건설 회장과 유수프 마이타마 투가르 나이지리아 외교부 장관이 기념 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자료제공=대우건설)
▲정원주 대우건설 회장과 유수프 마이타마 투가르 나이지리아 외교부 장관이 기념 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자료제공=대우건설)

대우건설은 정원주 회장과 백정완 사장이 한-아프리카 정상회담을 맞이해 방한한 아프리카의 주요국가 정상급 지도자들과 만남을 가지고 현지 시장 확대를 위한 활동을 펼쳤다고 5일 밝혔다.

정 회장은 이달 2일 사미아 솔루후 하산(Samia Suluhu Hassan) 탄자니아 대통령을 예방했다. 3일 오전에는 조셉 뉴마 보아카이(Joseph Nyumah Boakai) 라이베리아 대통령, 오후에는 유수프 마이타마 투가르(Yusuf Maitama Tuggar) 나이지리아 외교부장관을 연달아 예방 및 면담했다.

특히 대우건설 본사를 방문한 유수프 마이타마 투가르(Yusuf Maitama Tuggar) 외교부 장관과 면담을 하며 호텔·주거·신도시 개발사업과 석유·천연가스 플랜트 사업 협력 강화에 대한 얘기를 나눴다.

정 회장은 이날 면담에서 “지난해 11월 직접 나이지리아를 방문해 나이지리아의 발전 가능성을 두 눈으로 직접 확인했다. 30년 이상의 부동산 개발사업 전문성을 보유한 중흥 그룹의 역량을 바탕으로 나이지리아의 신도시 개발 등을 위해 대우건설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나이지리아는 약 2억3000만 명에 달하는 인구와 풍부한 자원을 바탕으로 성장하고 있는 아프리카의 선도국이다. 대우건설은 1983년 나이지리아에 진출한 이래 총 71개 프로젝트에서 100억 불 규모의 공사를 수행해왔다.

현재는 NLNG 트레인 7, 카두나 정유공장 긴급보수 공사 등 5개 현장, 총 34억 불 규모의 공사를 진행 중이다.

대우건설은 아프리카 대륙 진출의 핵심 거점 국가인 나이지리아에서 공사 수행 뿐만 아니라 기술 트레이닝 센터 건립, 현지인 백내장 수술·안검진 지원 등 CSR 활동도 적극적으로 이어오고 있다.

▲백정완 대우건설 사장과 필리프 자신투 뉴시 모잠비크 대통령이 기념 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자료제공=대우건설)
▲백정완 대우건설 사장과 필리프 자신투 뉴시 모잠비크 대통령이 기념 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자료제공=대우건설)

백 사장도 3일 필리프 자신투 뉴시(Filipe Jacinto Nyusi) 모잠비크 대통령과 4일 무사 알 코니(Musa Al-Koni) 리비아 대통령위원회 부의장을 각각 예방했다.

백 사장은 모잠비크 대통령과의 면담에서 모잠비크에서 추진 중인 LNG Area 1 프로젝트와 LNG Area 4에 대한 관심과 지원을 요청했다. 모잠비크의 확인된 천연가스 매장량은 약 170조 큐빅피트로 아프리카에서는 2번째, 세계에서는 12번째로 많은 양이다. 대우건설은 세계적인 LNG 플랜트 시공 능력을 바탕으로 모잠비크에서의 사업을 확대할 예정이다.

무사 알 코니 리비아 부의장 면담에서 백 사장은 “대우건설은 1978년에 진출해 현재까지 리비아에서 총 163건(114억 불)을 수주했으며, 토목·건축 인프라, 플랜트 등 다양한 공사를 수행했다"며 "리비아 건설 실적이 가장 많은 국내 건설사인 대우건설이 리비아 재건 사업에 일익을 담당할 수 있도록 관심과 지원을 바란다”고 했다.

리비아는 아프리카의 대표 석유 산유국으로 전후 재건 사업이 활발히 진행되는 곳이다. 1·2차 내전을 거치며 국가 대부분의 기반 시설들이 노후화되거나 파괴됐기 때문이다. 대우건설은 리비아에서 정부종합청사, 복합화력발전, 벵가지 7000가구 아파트, 벵가지 순환도로 공사 등 다양한 인프라를 건설한 경험을 바탕으로 리비아 재건 시장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할 계획이다.

대우건설은 나이지리아, 리비아 등 기존 거점 국가의 사업 다변화와 더불어 모잠비크, 탄자니아 등 신시장을 개척한다는 방침이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대우건설은 아프리카의 절대 강자로서 앞으로도 다양한 개발 사업을 수주해 글로벌 디벨로퍼 리더로 거듭나겠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망곰이 유니폼, 제발 팔아주세요"…야구장 달려가는 젠지, 지갑도 '활짝' [솔드아웃]
  • "돈 없어도 커피는 못 참지" [데이터클립]
  • 네이버웹툰, 나스닥 첫날 9.52% 급등…김준구 “아시아 디즈니 목표, 절반 이상 지나”
  • 사잇돌대출 공급액 ‘반토막’…중·저신용자 외면하는 은행
  • [종합] 바이든 vs트럼프 ‘TV토론 진흙탕 싸움’…주요 쟁점은?
  • 임영웅, 레전드 예능 '삼시세끼' 출격…"7월 중 촬영 예정"
  • '손웅정 사건' 협상 녹취록 공개…"20억 불러요, 최소 5억!"
  • 9월까지 김포골드라인 열차 5대 증편, 배차간격 줄여 수송력 20%↑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14:44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6,262,000
    • +0.42%
    • 이더리움
    • 4,832,000
    • +1.6%
    • 비트코인 캐시
    • 545,000
    • +3.32%
    • 리플
    • 667
    • +1.21%
    • 솔라나
    • 201,900
    • +4.88%
    • 에이다
    • 544
    • +1.87%
    • 이오스
    • 818
    • +2.25%
    • 트론
    • 170
    • -2.3%
    • 스텔라루멘
    • 128
    • +1.59%
    • 비트코인에스브이
    • 63,800
    • +2.99%
    • 체인링크
    • 20,000
    • +3.15%
    • 샌드박스
    • 472
    • +1.5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