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직 아닌 순직할 지경”…의료 공백 일주일째, 일 몰린 대학병원 교수의 호소

입력 2024-02-28 11:1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정부의 의대증원 방침에 반발한 전공의들의 집단 사직이 이어지는 가운데 응급의학과 교수가 윤석열 대통령에 빠른 결단을 촉구했다.

27일 조용수 전남대학교 응급의학과 교수는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윤석열 대통령님! 부디 이 사태를 좀 끝내주십시오”라는 제목의 글을 게재했다. 조 교수는 “감방에 넣든지, 그냥 니들 마음대로 하라고 손을 털든지, 어느 쪽이든 좋으니 평소처럼 화끈하게 질러주면 안 되겠냐”며 “짖는 개는 안 무는 법이고 빈 수레가 요란하다는데 대체 뭐 때문에 이렇게 질질 끄는지 모르겠다”고 지적했다.

조 교수는 코로나19 사태 이후 늘어난 업무량을 호소하며 “언제까지 이렇게 살아야 하는지 모르겠다”면서 “코로나 때부터 나라에 일만 생기면 제 몸이 갈려 나간다. 나이 먹어서 하려니 이제는 온몸이 녹아내리는 기분”이라고 적었다.

그러면서 “싸우는 놈 따로, 이득 보는 놈 따로. 지나고 보면 고생한 거 누가 알아주지도 않더라”며 “어차피 시민들에게 저는 돈만 밝히는 의새의 한 명일 따름이고 동료들에게는 단결을 방해하는 부역자일 따름”이라며 “실상은 그저 병든 환자 곁을 떠나지 못하는 소시민 의사다. 총이든 펜이든 얼른 꺼내달라. 이러다 저는 사직이 아니라 순직하게 생겼다고”고 토로했다.

정부가 2000명 증원 수치는 협력 대상이 아닌 필수적인 조치라는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가운데 정부가 병원 현장을 이탈한 전공의들에 보낸 복귀 마지노선이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보건복지부는 전날 기준 주요 99개 수련병원을 점검한 결과 사직서 제출자는 소속 전공의의 약 80.6% 수준인 9909명, 근무 이탈자는 8939명에 달한다고 밝혔다.

정부는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은 최소한의 필수적인 조치라며 미복귀자에 대한 사법처리 방침을 고수하고 있다. 28일 한덕수 국무총리는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주재하고 의과대학 정원 확대에 반발하는 의사들의 집단행동에 대한 대응 방안을 논의한다. 전날 한 총리는 국무회의에서 29일까지 병원 복귀시 책임을 묻지 않겠다는 정부 방침을 알린 바 있다.

▲서울의 한 대학병원에서 의료진들이 이동하고 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서울의 한 대학병원에서 의료진들이 이동하고 있다. 조현호 기자 hyunho@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필카부터 네 컷까지…'디토 감성' 추구하는 '포토프레스 세대'[Z탐사대]
  • 신생아 특례대출 기준 완화…9억 원 이하 분양 단지 '눈길'
  • 네이버웹툰, 나스닥 첫날 9.52% 급등…김준구 “아시아 디즈니 목표, 절반 이상 지나”
  • 사잇돌대출 공급액 ‘반토막’…중·저신용자 외면하는 은행
  • ‘예측 불가능’한 트럼프에…'패스트 머니' 투자자 열광
  • 임영웅, 레전드 예능 '삼시세끼' 출격…"7월 중 촬영 예정"
  • '손웅정 사건' 협상 녹취록 공개…"20억 불러요, 최소 5억!"
  • 롯데손보, 새 주인은 외국계?…국내 금융지주 불참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5,630,000
    • -0.62%
    • 이더리움
    • 4,761,000
    • -1.2%
    • 비트코인 캐시
    • 540,500
    • -2.44%
    • 리플
    • 669
    • +0%
    • 솔라나
    • 199,600
    • -2.2%
    • 에이다
    • 555
    • +2.59%
    • 이오스
    • 817
    • -0.12%
    • 트론
    • 176
    • +2.33%
    • 스텔라루멘
    • 128
    • -1.54%
    • 비트코인에스브이
    • 63,100
    • -1.33%
    • 체인링크
    • 19,480
    • -2.4%
    • 샌드박스
    • 475
    • +0.6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