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정KPMG ‘PF채권 토털케어 센터’ 발족...“종합해결사 나설 것”

입력 2023-06-29 08:5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삼정KPMG PF채권 토털케어 센터장 김정환 전무 (사진=삼정KPMG)
▲삼정KPMG PF채권 토털케어 센터장 김정환 전무 (사진=삼정KPMG)

삼정KPMG가 프로젝트파이낸싱(PF)채권의 종합적인 해결 방안을 제시하는 ‘PF채권 토털케어 센터’를 발족했다고 29일 밝혔다.

지난해부터 주거 분양 시장은 지속적인 공사비 상승 및 PF 대출금리 인상 요인으로 주거 개발 프로젝트 사업성이 저하되고 있는 추세다. 오피스 시장은 양극화 추세로 소수 우량매물의 경우 투자자 관심도가 집중되나, 대부분 공사비 및 금리 등 이슈로 자본환원율(Cap rate)과 비교 시 역레버리지(Negative Leverage)가 지속되고 있다.

물류센터는 시장 상황 악화로 대규모 공실 및 개발사업장 공사 지연발생 등 불확실성이 두드러지고 있다. 데이터센터(DC)는 DC 자산에 대한 전망은 긍정적이나, 신규 수전용량 확보가 어려워 공급 확대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6월 신설된 ‘PF채권 토털케어 센터’는 부동산 사업재편 및 부실채권(NPL) 전문가인 김정환 전무가 이끈다. 부동산 스페셜리스트인 장주항 상무, PF채권 스페셜리스트인 배재환 상무와 권기현 상무를 포함해 30여명의 전문가들로 구성돼 있으며, PF채권과 관련해 매각, 투자유치, 정상화, 가치평가, 사업성 검토 등 PF채권 관련 토털케어 서비스를 제공한다.

센터는 건설사를 대상으로 PF채권 투자, PF사업장의 시공권 확보, PF사업장 정상화를 위한 서비스를 지원한다. 증권사 및 자산운용사에는 PF채권의 회수가능성 평가, PF채권 매각, PF사업장 투자유치를 자문한다.

금융지주사를 대상으로 투자 또는 보유하고 있는 PF채권의 평가와 함께 사업 정상화 서비스를 제공하며, 시행사에는 부동산 개발 보유 사업장의 EOD(기한이익상실) 위험 조기진단 후 PF채권 만기 도래예정 사업장에 대한 리파이낸싱 구조 수립 및 투자자 유치, 가치평가 기반 매각•투자회수(Exit) 전략 등을 자문한다.

제2금융권에는 PF채권 및 브릿지대출 매각, 담보물 매각, 사업권 매각 등 PF채권 관련 일련의 자문을 수행한다.

삼정KPMG PF채권 토털케어 센터장 김정환 전무는 “금리 인상 등으로 PF채권 시장에 대한 불확실성이 존재하지만 최근 금융위원회의 건설사 및 PF 대상 정책금융 공급이 확대되고 있다”면서 “센터를 통해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보유한 PF채권이 성공적으로 투자 및 매각이 될 수 있도록 최근 정책금융을 포함하여 전문적이고 종합적인 토털케어 자문을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망곰이 유니폼, 제발 팔아주세요"…야구장 달려가는 젠지, 지갑도 '활짝' [솔드아웃]
  • "돈 없어도 커피는 못 참지" [데이터클립]
  • 네이버웹툰, 나스닥 첫날 9.52% 급등…김준구 “아시아 디즈니 목표, 절반 이상 지나”
  • 사잇돌대출 공급액 ‘반토막’…중·저신용자 외면하는 은행
  • [종합] 바이든 vs트럼프 ‘TV토론 진흙탕 싸움’…주요 쟁점은?
  • 임영웅, 레전드 예능 '삼시세끼' 출격…"7월 중 촬영 예정"
  • '손웅정 사건' 협상 녹취록 공개…"20억 불러요, 최소 5억!"
  • 9월까지 김포골드라인 열차 5대 증편, 배차간격 줄여 수송력 20%↑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6,197,000
    • +0.78%
    • 이더리움
    • 4,830,000
    • +1.68%
    • 비트코인 캐시
    • 549,000
    • +4.87%
    • 리플
    • 667
    • +1.52%
    • 솔라나
    • 202,800
    • +6.29%
    • 에이다
    • 544
    • +1.87%
    • 이오스
    • 820
    • +2.5%
    • 트론
    • 171
    • -1.16%
    • 스텔라루멘
    • 129
    • +2.38%
    • 비트코인에스브이
    • 63,500
    • +3.34%
    • 체인링크
    • 19,950
    • +4.01%
    • 샌드박스
    • 472
    • +1.7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