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의, ‘ESG 워킹그룹 회의’ 첫 개최…업종별 실무채널로 활용

입력 2022-07-11 16: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대한상공회의소는 11일 상의회관에서 식품ㆍ제약ㆍ바이오ㆍ유통 관련 주요기업 실무자와 협회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제1차 업종별 ESG 워킹그룹 회의’를 열고 ESG 이슈가 산업 섹터별로 미치는 영향과 대응전략에 대해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구성된 업종별 워킹그룹은 △식품, 제약·바이오, 화장품, 유통ㆍ물류 △에너지, 석유화학, 중공업 △IT(반도체, 전기전자, 정보통신) △자동차, 철강 △금융 등 5개 업종이다. 우선 EU 공급망실사법 관련 ‘고위험 섹터’에 해당하는 제약ㆍ바이오, 식품, 화장품 관련 업계 실무회의를 시작으로 차례로 회의를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지난 4월 상의가 국내 20대 그룹을 중심으로 ESG아젠다그룹을 구성해 경제계 소통과 정책과제 발굴을 위한 협의체로 활발히 운영하고 있으며, 최근 주요 은행권까지 추가로 가입했다”며 “지난달 회의에서 글로벌 ESG 이슈 대응을 위한 업종별 실무채널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반영해 업종별 워킹그룹을 구성하게 됐다”고 개최배경을 설명했다.

초청 연사로 나선 박승호 한국표준협회 ESG경영센터 선임연구원은 먼저 글로벌 ESG 동향에 대해 “ESG는 처음에 민간부문 자율로 시작했지만, 이제는 글로벌 규제로 작동하고 있으며, ESG 공시 측면에서도 산업별 중요이슈에 대한 공시를 세밀하게 요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식품, 제약ㆍ바이오, 화장품, 유통·물류 업종별 대응전략에 대해 “우선 ESG 공통 요구사항에 대응해야 하며, 산업의 특성상 소비자 이슈와 공급망 이슈가 중요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점검과 대응전략 수립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우태희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최근 EU 택소노미와 공급망실사지침, ISSB공시기준 등 글로벌 ESG 규제화가 본격적으로 추진되고 있어 국내 기업들이 대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언급하며 “이번에 구성된 업종별 워킹그룹이 글로벌 ESG 이슈에 대한 업계 간 공동대응 협의체로 중요한 역할을 해 주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MZ세대, 최대 관심사도 스트레스 이유도 '돈' [데이터클립]
  • 한동훈·나경원·원희룡 릴레이 출사표…국민의힘 전당대회 '관전 포인트'는? [이슈크래커]
  • 단독 구광모도 픽한 ‘휴머노이드’…LG, ‘이노베이션 카운슬’서 집중 논의
  • [파리올림픽 1개월 앞] 2024 파리올림픽의 경제학
  • 단독 영화-OTT 경계 모호…'영상물'·'영상콘텐츠'로 개념 확장한다
  • “호텔 서비스 이식”…‘큰 손’ 시간 점유 신세계百 강남점(르포) [진화하는 백화점]
  • 꼴찌의 반란…AI 지각생 애플·카카오 서비스로 승부수
  • 거세지는 해외 투기자본 습격… ‘경영권 방패’ 입법 서둘러야 [쓰나미 막을 뚝, 포이즌필]①
  • 오늘의 상승종목

  • 06.2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6,490,000
    • -4.63%
    • 이더리움
    • 4,688,000
    • -4.95%
    • 비트코인 캐시
    • 500,000
    • -8.34%
    • 리플
    • 672
    • -2.04%
    • 솔라나
    • 179,400
    • -5.13%
    • 에이다
    • 525
    • -3.85%
    • 이오스
    • 780
    • -3.11%
    • 트론
    • 168
    • -0.59%
    • 스텔라루멘
    • 122
    • -4.69%
    • 비트코인에스브이
    • 61,450
    • -6.54%
    • 체인링크
    • 18,600
    • -2.92%
    • 샌드박스
    • 447
    • -4.6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