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텔 서비스 이식”…‘큰 손’ 시간 점유 신세계百 강남점(르포) [진화하는 백화점]

입력 2024-06-24 05: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하우스 오브 신세계, 호텔 분위기 물씬…아늑함·고급스러움 강조

“영업시간 10시까지” 연장 운영 통했다
저녁 6시 이후 매출 비중 50% 수준
하이엔드 미식·주류 페어링 효과 톡톡

▲18일 서울 서초구 신세계백화점의 하우스 오브 신세계(House of Shinsegae)에서 고객들이 커피를 마시며 여유를 즐기고 있다. (유승호 기자 peter@)
▲18일 서울 서초구 신세계백화점의 하우스 오브 신세계(House of Shinsegae)에서 고객들이 커피를 마시며 여유를 즐기고 있다. (유승호 기자 peter@)

“여기 호텔 같다”

21일 서울 서초구 신세계백화점과 JW메리어트 호텔 서울이 이어지는 경계 공간, 하우스 오브 신세계(House of Shinsegae)를 둘러본 사람들은 한결같이 ‘호텔’이라는 단어를 입 밖으로 내뱉었다. 하우스 오브 신세계는 분명 신세계백화점이 운영하는 백화점 공간임에도 불구, 호텔 로비·식음(F&B)공간 분위기가 물씬 났다.

신세계백화점 강남점 센트럴시티 중앙부 3개 층에 7273㎡(2200평) 규모로 들어선 하우스 오브 신세계는 백화점과 호텔의 장점을 결합한 공간이다. 백화점의 콘텐츠에 호텔의 서비스를 합쳤다. 하우스(집)라는 이름에 나타나듯 하우스 오브 신세계의 내부는 어두운 갈색 톤의 우드 스타일로 꾸몄고 주백색 조명으로 아늑함과 고급스러움을 강조했다.

특히 지하 1층 하이엔드 푸드홀은 호텔 로비를 연상시켰다. 지하 1층 가운데 공간에는 대기 공간으로 호텔 로비처럼 쇼파와 테이블이 놓여있어 커피나 아이스크림 등을 먹으며 쉴 수 있었다. 벽면 곳곳에는 예술 작품도 걸려있었다.

50대 이모씨는 “친구들과 모임 때문에 오게 됐는데 점심 먹고 커피 한 잔하면서 여유를 즐길 수 있는 공간이라 좋다”며 “백화점보단 호텔 로비 느낌에 가깝다”고 평가했다.

▲18일 서울 서초구 신세계백화점의 하우스 오브 신세계(House of Shinsegae)에서 고객들이 음식을 즐기고 있다. (유승호 기자 peter@)
▲18일 서울 서초구 신세계백화점의 하우스 오브 신세계(House of Shinsegae)에서 고객들이 음식을 즐기고 있다. (유승호 기자 peter@)

쇼파·테이블을 중심으로 총 8개의 레스토랑이 빙 둘러 배치됐다. 신세계백화점은 호텔 칵테일 바나 스시 오마카세 식당에서 볼 수 있는 카운터테이블과 개별 다이닝 룸을 도입했다. 오픈 형태의 레스토랑인 만큼 셰프가 초밥을 만드는 모습, 고기를 직접 굽는 모습 등을 걸어다니면서 직접 볼 수 있다.

하우스 오브 신세계의 운영시간은 오후 10시까지다. 기존 백화점 폐점시간보다 2시간 늘렸다. 또 신세계백화점은 하우스 오브 신세계에 푸드홀로는 처음으로 레스토랑 주류 페어링을 도입했다. 신세계백화점을 찾는 VIP 고객이 낮에는 여유롭게 식사를, 밤에는 술을 곁들이며 시간을 보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시 말해 큰손의 시간을 점유하겠다는 전략이다.

이는 매출 실적으로 직결됐다. 신세계백화점에 따르면 이달 10일부터 16일까지 하우스 오브 신세계를 운영한 결과 하이엔드 푸드홀의 매출은 기존 식품관의 푸드코트 대비 150% 증가했다. 특히 전체 매출 가운데 저녁 6시 이후 매출 비중이 50%에 달했다. 이는 같은 기간 강남점 11층 식당가의 매출 비중이 28%인 것과 대조적이다. 하우스 오브 신세계에 주류 페어링을 선보인 결과라는 게 신세계백화점의 설명이다.

신세계백화점 관계자는 “저녁 식사와 주류를 함께 즐길 수 있어 다른 백화점에 비해 새로운 경험을 할 수 있었다는 고객 평가가 많았다”고 말했다.

▲18일 서울 서초구 신세계백화점의 하우스 오브 신세계(House of Shinsegae) 1층의 와인셀라. (유승호 기자 peter@)
▲18일 서울 서초구 신세계백화점의 하우스 오브 신세계(House of Shinsegae) 1층의 와인셀라. (유승호 기자 peter@)

지하 1층 푸드홀에서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올라가자 1층, 거대한 와인숍이 눈에 들어왔다. 약 1300㎡(400평) 규모의 이 공간은 와인셀라(저장고)다. 집이라는 공간 콘셉트에 맞춰 와인숍 대신 붙인 이름이다. 각종 와인을 산지와 카테고리별로 모아 방에서 다른 방으로 연결되는 구조 이른바 ‘룸 투 룸’ 형태로 구성했다. 총 5000여 병의 와인이 진열됐다. 이 가운데 절반이 파인와인으로 분류되는 최고급 와인이다.

와인셀라 옆에는 단일 매장(모노숍)도 입점했다. 이곳에서는 맥켈란과 산토리 등을 구매할 수 있다. 매장 한 가운데에 바를 뒀다. 현재는 위스키 구매만 가능하지만 추후 잔 술 등을 판매하겠다는 게 업체 설명이다.

모노숍 관계자는 “위스키의 재료가 되는 원료를 시향할 수 있는 체험 공간을 마련했다”며 “향후 바에서 술을 팔고 시음을 할 수 있도록 계획하고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필카부터 네 컷까지…'디토 감성' 추구하는 '포토프레스 세대'[Z탐사대]
  • 신생아 특례대출 기준 완화…9억 원 이하 분양 단지 '눈길'
  • 네이버웹툰, 나스닥 첫날 9.52% 급등…김준구 “아시아 디즈니 목표, 절반 이상 지나”
  • 사잇돌대출 공급액 ‘반토막’…중·저신용자 외면하는 은행
  • ‘예측 불가능’한 트럼프에…'패스트 머니' 투자자 열광
  • 임영웅, 레전드 예능 '삼시세끼' 출격…"7월 중 촬영 예정"
  • '손웅정 사건' 협상 녹취록 공개…"20억 불러요, 최소 5억!"
  • 롯데손보, 새 주인은 외국계?…국내 금융지주 불참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6,102,000
    • +0.22%
    • 이더리움
    • 4,816,000
    • +0.96%
    • 비트코인 캐시
    • 554,000
    • +4.63%
    • 리플
    • 669
    • +1.21%
    • 솔라나
    • 203,200
    • +5.28%
    • 에이다
    • 542
    • +1.5%
    • 이오스
    • 819
    • +0.49%
    • 트론
    • 172
    • -1.15%
    • 스텔라루멘
    • 130
    • +4%
    • 비트코인에스브이
    • 63,950
    • +3.23%
    • 체인링크
    • 19,970
    • +2.2%
    • 샌드박스
    • 472
    • +0.6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