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명 중 4명 “교육부 대신해 교육정책 추진할 정치적 중립기구 만들어야”

입력 2017-02-06 15:0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시민 10명중 4명은 현재의 교육부를 대신할 정치적 중립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는 지난달 6000명의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시행한 ‘교육정책 및 방향수립을 위한 설문조사’의 결과를 6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4차 산업혁명의 미래사회 대비를 위한 교육부와 교육청의 역할 분담에 대해 ‘교육정책을 교육부가 아닌 정치적 중립기구에서 연속성 있게 추진’하자는 의견에 응답자의 37.3%가 동의했다.

‘교육부는 대학을 담당하고 교육청은 유초등교육 담당으로 역할을 분담’해야 한다는 의견도 31.4%에 달해, 현행 교육부의 역할을 약화해야 한다는 의견은 70%에 육박했다. 교육부의 권한을 강화해야한다는 의견은 12.8%에 그쳤다.

현재 교육부의 역할에 대한 회의론이 확산되는 데는 교육부와 교육청의 역할이 중첩된다는 문제와 교육부가 정치적 영향을 벗어나기 어렵다는 점 등이 꼽힌다. 사교육걱정없는세상의 안상진 정책제안연구소장은 “현재로선 교육부장관의 승인이 없으면 교육청 차원에서 교육감이 주체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일이 많지 않다”며 “권한을 일정 부분 분리해서 지방교육청이 책임을 지고 활동할 수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안 소장은 교육부의 한계에 대해서 “정권 교체시마다 바뀌는 교육부장관에 따라 정책 흐름이 많이 바뀌는게 문제”라며 “대표적으로 2013년에 서남수 장관이 내놓은 자사고‧특목고 정상화 방안이 황우여 장관으로 바뀐 뒤 완전히 백지화된 적 있다. 장관에 따라 교육정책이 계속 바뀌니 시도교육감입장에서는 발맞추기가 어려운 것”이라고 지적했다.

지속적으로 제기되는 교육부 역할 축소론에 대해 한 교육부 관계자는 “현재는 교육의 지방분권화가 진행되는 과정으로 봐야하며, 다만 이 과정에서 생기는 여러 갈등을 조정하는 작업 정도는 필요하다고 본다”며 “교육은 국가의 중대한 사무이기 때문에 세계적으로 교육부가 없는 나라는 없다. 지방자치를 근간으로 한 미국 등의 나라도 지역간 격차해소 등을 위한 교육부 역할이 강조되는 추세”라고 반대 입장을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필카부터 네 컷까지…'디토 감성' 추구하는 '포토프레스 세대'[Z탐사대]
  • 신생아 특례대출 기준 완화…9억 원 이하 분양 단지 '눈길'
  • 네이버웹툰, 나스닥 첫날 9.52% 급등…김준구 “아시아 디즈니 목표, 절반 이상 지나”
  • 사잇돌대출 공급액 ‘반토막’…중·저신용자 외면하는 은행
  • ‘예측 불가능’한 트럼프에…'패스트 머니' 투자자 열광
  • 임영웅, 레전드 예능 '삼시세끼' 출격…"7월 중 촬영 예정"
  • '손웅정 사건' 협상 녹취록 공개…"20억 불러요, 최소 5억!"
  • 롯데손보, 새 주인은 외국계?…국내 금융지주 불참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5,600,000
    • -0.62%
    • 이더리움
    • 4,760,000
    • -1.18%
    • 비트코인 캐시
    • 541,000
    • -2.43%
    • 리플
    • 669
    • -0.15%
    • 솔라나
    • 199,400
    • -2.21%
    • 에이다
    • 554
    • +2.4%
    • 이오스
    • 816
    • -0.37%
    • 트론
    • 176
    • +2.33%
    • 스텔라루멘
    • 129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900
    • -2.18%
    • 체인링크
    • 19,510
    • -2.11%
    • 샌드박스
    • 474
    • +0.2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