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 빅딜 환영하긴 했지만…미국·유럽, 금융안전성 회복 ‘요원’

입력 2023-03-20 15:4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연준·ECB, UBS-CS 빅딜 직후 환영 성명
뇌관이었던 CS 사태 해결됐지만 상황 녹록지 않아
파산 은행들 매각 난항
퍼스트리퍼블릭 신용등급, 연이은 강등
유럽 채권 시장도 요동...AT1 상각 처리 후폭풍

▲스위스 취리히에 있는 UBS 은행과 크레디트스위스(CS) 사무실 건물의 회사 로고들이 신호등 빨간불과 겹쳐 보인다. 취리히(스위스)/로이터연합뉴스
▲스위스 취리히에 있는 UBS 은행과 크레디트스위스(CS) 사무실 건물의 회사 로고들이 신호등 빨간불과 겹쳐 보인다. 취리히(스위스)/로이터연합뉴스
미국과 유럽이 UBS의 크레디트스위스(CS) 인수 결정에 일제히 환영의 뜻을 밝혔다. 급한 불은 껐지만, 여전히 금융시스템 안정성 회복까지는 요원한 상황이다.

19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은 재닛 옐런 재무장관과의 공동 성명에서 “우린 금융 안정을 지원하기 위한 스위스 정부 발표를 환영한다”고 밝혔다. 크리스틴 라가르드 유럽중앙은행(ECB) 총재도 “스위스 정부의 신속한 조치는 질서 있는 시장을 회복하고 금융 안정성을 보장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평했다.

글로벌 금융 불안의 뇌관 중 하나였던 CS 위기가 일단락됐지만, 상황은 녹록지 않다. 은행 위기의 시작점이었던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 매각 작업은 여전히 난항을 이어가고 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SVB 파산 관재인인 미 연방예금보험공사(FDIC)는 SVB 매각을 위한 2차 입찰을 추진했으나 적당한 인수자가 나오지 않자 최소 두 사업 부문으로 분할해 매각을 추진하고 있다. 분할 매각을 통해 잠재적 인수자 풀을 넓히겠다는 의도다.

이날 FDIC가 12일 파산한 시그니처은행의 일부 자산을 뉴욕커뮤니티뱅코프(NYCB) 자회사에 매각했지만, 이번 거래 후에도 이 은행이 가지고 있던 약 600억 달러(약 78조7000억 원) 규모의 대출 잔액과 디지털뱅킹 관련 40억 달러의 예금을 FDIC가 법정 관리하게 된다. 이번 거래로 예상되는 FDIC의 손실은 약 25억 달러로 추산된다.

▲퍼스트리퍼블릭은행 주가. 17일(현지시간) 종가 23.03달러. 출처 마켓워치
▲퍼스트리퍼블릭은행 주가. 17일(현지시간) 종가 23.03달러. 출처 마켓워치
위기에 몰린 퍼스트리퍼블릭은행에 대한 해법도 찾아야 한다. JP모건체이스 등 미국 대형 은행 11곳이 15일 퍼스트리퍼블릭은행에 총 300억 달러를 예치하며 지원에 나섰지만, 분위기는 여전히 살얼음판이다. 전날 국제 신용평가사 무디스가 이 은행의 신용등급을 종전 ‘Baa1’에서 투자주의 등급인 ‘B2’로 7단계 하향한 데 이어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도 이날 신용등급을 기존 ‘BB+’에서 ‘B+’로 3단계 하향 조정했다.

그렇다고 금융당국이 섣불리 움직일 수도 없는 상황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스위스와 달리 미국 금융 당국이 지난주 상대적으로 조용했던 이유에 대해 “당국이 추가 조처를 했다가 매각을 추진 중인 은행들에 대한 잠재적 인수자의 인수 의향을 꺾을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유럽 채권시장도 요동치고 있다. 스위스 정부가 UBS의 CS 인수 작업에 개입하면서 CS의 160억 스위스프랑(약 22조 6681억 원) 규모의 신종자본증권(AT1)이 상각됐기 때문이다. 즉 채권 가치가 사라지면서 휴짓조각이 됐다는 이야기다. 이는 유럽 AT1 시장에서 역대 가장 큰 손실 규모다.

AT1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도입된 것으로, 은행 자본비율이 사전에 정한 기준 밑으로 떨어지면 채권 보유자에게 영구 상각을 부과하거나 자본으로 전환하도록 설계된 상품이다.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이번 CS 사태로 AT1 시장의 투자 심리가 악화해 글로벌 회사채 시장에 수요에 타격을 줄 수 있다고 진단했다.

이날 미 연준을 비롯해 ECB, 캐나다, 일본 스위스, 영국 등 6개 중앙은행이 글로벌 금융 불안을 완화하기 위해 4월 말까지 통화 스와프 협정을 통한 달러 유동성 공급 강화에 나선다고 밝혔다. 그러나 은행권의 혼란과 경기침체 위험 증가로 인해 가계와 기업이 앞으로 대출받기 더 어려워질 수 있다는 전망이 이어지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내일부터 암, 2대 주요치료비 보험 판매 중지된다
  • "아이 계정 삭제됐어요"…인스타그램의 강력 규제, '진짜 목표'는 따로 있다? [이슈크래커]
  • 근무시간에 유튜브 보고 은행가고…직장인 10명 중 6명 '조용한 휴가' 경험 [데이터클립]
  • 김장철 배춧값 10개월 만에 2000원대로 '뚝'
  • 단독 LG 생성형 AI ‘엑사원’에 리벨리온 칩 ‘아톰’ 적용되나…최적화 협업 진행
  • [인터뷰] 조시 팬턴 슈로더 매니저 “K-채권개미, 장기 투자로 美은행·통신·에너지 채권 주목”
  • 트럼프 당선 후 가장 많이 오른 이 업종…지금 들어가도 될까
  • 이혼 조정 끝…지연ㆍ황재균, 부부에서 남남으로
  • 오늘의 상승종목

  • 11.2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7,319,000
    • +3.64%
    • 이더리움
    • 4,693,000
    • +8.46%
    • 비트코인 캐시
    • 681,500
    • +10.81%
    • 리플
    • 1,637
    • +6.78%
    • 솔라나
    • 357,000
    • +8.31%
    • 에이다
    • 1,120
    • -1.06%
    • 이오스
    • 916
    • +4.81%
    • 트론
    • 279
    • +1.82%
    • 스텔라루멘
    • 344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94,500
    • -0.26%
    • 체인링크
    • 20,950
    • +4.18%
    • 샌드박스
    • 479
    • +2.7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