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삼성전자, 지멘스와 특허동맹 나선다

입력 2014-04-03 10:26 수정 2014-04-03 10:3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지난해 유럽 특허출원 1·2위 기업의 협력 주목…의료기기사업 시너지효과 기대

삼성전자가 독일의 전자기업 지멘스와 초대형 특허공유(크로스라이선스) 협상에 착수했다. 최근 구글, 시스코 등 글로벌 전자ㆍIT 기업과 특허공유 계약을 맺은 삼성전자가 지멘스와도 손잡을 경우 강력한 특허 우군 진영을 확보하게 된다. 특히 지멘스의 헬스케어 원천 특허를 확보할 경우, 삼성전자의 미래 먹거리인 의료기기 사업은 날개를 달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와 지멘스의 실무진은 특허공유 계약을 맺기 위한 세부적 사항을 논의 중이다. 이를 위해 삼성전자 지적재산권(IP)센터 기술분석팀은 특허 공유 범위 결정을 위해 면밀한 특허 분석 및 조사에 착수했다.

1847년 독일에서 설립된 지멘스는 가전ㆍ에너지ㆍ헬스케어ㆍ인프라 등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거대 전자기업이다. 현재 보유 중인 특허권만 6만건에 달한다. 특히 삼성전자와 지멘스는 지난해 유럽에서 각각 2833건과 1974건의 특허를 신청해 나란히 1, 2위를 기록한 바 있다.

두 회사의 특허 공유 추진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지난 2012년 삼성전자와 지멘스의 자회사 오스람은 특허 소송전 끝에 LED 기술과 관련한 특허공유 계약을 맺었다. 하지만 이번에는 지멘스와 직접 전 사업부문에 대한 특허 공유 추진에 나선 만큼 규모에서 궤를 달리하고 있다.

업계는 삼성이 추진하는 지멘스와의 특허 공유가 의료기기의 원천특허를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신성장동력으로 의료기기 사업에 집중 투자하고 있지만 뒤늦게 뛰어든 만큼 원천특허가 빈약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2010년 국내 의료기기 업체 메디슨을 시작으로, 미국 심장질환 검사기기 업체 넥서스, 미국 CT 전문의료기기 업체 뉴로로지카를 인수한 것도 관련 기술 및 특허 확보를 위한 행보였다.

앞서 인수한 기업들이 소규모 전문업체인 것과 달리 지멘스는 무려 130여년간 영상의학, 진단검사, 의료 IT, 보청기 등 최신 의료기술을 선도해 온 기업이다. CT, MRI 등 의료기기 모든 분야에서 GE와 더불어 특허권을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다. 지멘스의 원천특허를 확보한다면 삼성전자 의료기기 사업은 더욱 속도를 낼 수 있고, 특허 분쟁 위협도 없앨 수 있다는 분석이다. 지멘스 역시 삼성전자의 거대 특허 포트폴리오를 활용해 스마트홈 등 신사업을 적극 추진할 수 있다.

업계 관계자는 “앞으로 삼성전자가 의료기기 사업을 하는 과정에서 글로벌 대기업과 특허 소송에 휘말릴 위험이 많다”며 “지멘스와 특허 공유를 맺는다면 이 같은 불안요소를 제거하고 신기술 개발에만 전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미 삼성전자는 다양한 분야에서 글로벌 대기업과의 특허 공유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 지난해 SK하이닉스와 반도체 관련 특허 공유를 맺었고, 올해는 구글, 시스코와 향후 10년간 출원될 특허까지 공유하는 광범위한 특허 공유 계약을 체결했다. 소모적 특허 전쟁을 줄이는 대신 제품·서비스 혁신에 집중하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필카부터 네 컷까지…'디토 감성' 추구하는 '포토프레스 세대'[Z탐사대]
  • 하반기에도 IPO 대어 더 온다…공모주 기대감 여전
  • 유사투자자문업, 정보·운영 제각각…8월 자본법 개정안 시행에 당국 부담도 ↑ [유사투자자문업 관리실태]②
  • SK그룹, 2026년까지 80조 원 확보… AI·반도체 등 미래 투자
  • [타보니] “나랑 달 타고 한강 야경 보지 않을래?”…여의도 130m 상공 ‘서울달’ 뜬다
  • ‘토론 망친’ 바이든, 대선 후보 사퇴 결정 영부인에 달렸다
  • 허웅 '사생활 논란'에 광고서 사라져…동생 허훈만 남았다
  • 박철, 전 아내 옥소리 직격…"내 앞에만 나타나지 말길"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6,855,000
    • +1.18%
    • 이더리움
    • 4,803,000
    • +0.78%
    • 비트코인 캐시
    • 548,000
    • +1.58%
    • 리플
    • 666
    • -0.45%
    • 솔라나
    • 203,100
    • +1.7%
    • 에이다
    • 543
    • -0.18%
    • 이오스
    • 803
    • +0.38%
    • 트론
    • 176
    • -0.56%
    • 스텔라루멘
    • 127
    • -0.78%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750
    • +1.05%
    • 체인링크
    • 19,570
    • +1.66%
    • 샌드박스
    • 458
    • -0.2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