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아지오코리아, 이천공장 ‘아시아 허브’로 키운다

입력 2013-11-17 18:3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디아지오코리아 이천 공장에서 스미노프 RTD 제품이 시험 생산되고 있다. 사진제공 디아지오코리아
디아지오코리아 이천공장이 아시아지역의 ‘수출 허브’로 탈바꿈한다.

디아지오코리아 조길수 사장은 15일 이천 공장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신제품 생산 라인 증설 등 한국 시장에 대한 투자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디아지오코리아는 이곳에 총 50억원을 투자, 지난 9월 연간 생산 100만 상자 규모의 ‘스미노프 RTD(Ready To Drink)’ 생산 라인 증설을 완료, 현재 시험 가동 중이다.

젊은 세대를 겨냥한 전략 상품인 스미노프 RTD는 세계적인 브랜드 ‘스미노프 보드카’에 다양한 과즙과 탄산음료를 섞어 알코올 도수를 5~7%로 낮춘 게 특징이다. 조 사장은 “국내는 물론 일본, 동남아시아 국가 등 10여개국에 스미노프 RTD를 수출해 새로운 주류 문화를 선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디아지오코리아는 다음달 초 국내 시장에 1종(그린애플향)의 스미노프 RTD를 먼저 선보인 후 내년부터 총 4종의 제품을 일본 등지로 본격 수출할 계획이다. 회사 측은 이를 통해 지난해 1300만 달러의 수출 규모가 2년 이내에 3000만 달러까지 두 배 이상 성장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디아지오코리아는 이천 공장을 아시아 지역의 스미노프 RTD 공급 메카로 성장시킬 계획이다. 사진은 이천 공장 전경. 사진제공 디아지오코리아
조 사장은 “디아지오 본사가 공격적인 투자로 한국에서의 수출 물량을 늘리는 이유는 품질 때문”이라며 “까다로운 소비자들의 요구를 만족시키는 품질 경쟁력을 확보한 만큼 이천 공장의 생산능력은 앞으로도 점차 확대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디아지오코리아는 내년 초 스미노프 RTD 제품 양산을 계기로 이천 공장을 아시아 지역 수출 거점으로 키워나갈 계획이다.

이날 기자간담회에 동석한 북아시아 공급망 담당 서재현 상무는 “본사가 아시아 시장에 스미노프 RTD 공급을 전담하도록 허락했다”며 “다양한 제품을 통해 이천 공장이 디아지오의 스미노프 RTD 메카로 거듭날 수 있게 노력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한편, 디아지오코리아는 지난 9월 서울 강남구 청담동에 ‘조니워커 하우스’를 열었다. 조니워커 하우스는 브랜드 및 스카치 위스키의 역사와 상징성 등을 제공하며 중국 상하이, 베이징에 이어 세 번째로 개설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망곰이 유니폼, 제발 팔아주세요"…야구장 달려가는 젠지, 지갑도 '활짝' [솔드아웃]
  • "돈 없어도 커피는 못 참지" [데이터클립]
  • 네이버웹툰, 나스닥 거래 첫날 9.52% 급등 마감
  • 사잇돌대출 공급액 ‘반토막’…중·저신용자 외면하는 은행
  • 이해인, 성추행 논란에 "연인 사이였다" 주장…피해 선수 측 "정신과 치료 중"
  • 허웅, 유혜원과 열애설 일축…"연인 아닌 친구 관계"
  • 방탄소년단 '활중' 미리 알고 주식 판 하이브 직원들…결국 법정행
  • 국내 최초 지역거점 바이오클러스터 ‘춘천 바이오클러스터’ [가보니]
  • 오늘의 상승종목

  • 06.2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6,772,000
    • +1.02%
    • 이더리움
    • 4,850,000
    • +1.89%
    • 비트코인 캐시
    • 547,500
    • +3.79%
    • 리플
    • 668
    • +0.6%
    • 솔라나
    • 209,900
    • +8.93%
    • 에이다
    • 551
    • +1.29%
    • 이오스
    • 829
    • +2.35%
    • 트론
    • 172
    • -1.15%
    • 스텔라루멘
    • 128
    • +0.79%
    • 비트코인에스브이
    • 64,100
    • +1.67%
    • 체인링크
    • 20,240
    • +2.95%
    • 샌드박스
    • 479
    • +1.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