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전략가 존 호킨스 “창조경제 성공하려면 3가지 과제 해결하라”

입력 2013-05-31 10:1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존 호킨스 박사가 30일 삼성동 백암아트홀에서 열린 '제4회 KISTEP 창조경제포럼'에서 초청 강연자로 나서 창조경제 구현을 위한 정부의 역할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제공 KISEP
“창의성은 무형적이다. 정부가 이러한 중요성을 모른다면 창조경제는 실패한다.”

영국의 경영전략가 존 호킨스 호킨스어소시에이츠 대표<사진>가 창조경제를 지향하는 한국 정부가 앞으로 직시해야할 3가지 과제를 제시했다.

호킨스 박사는 30일 삼성동 백암아트홀에서 열린 ‘제4회 KISTEP 창조경제포럼’에서 초청 강연자로 나서 “창조경제를 실현하려는 정부는 어려운 상황에 놓여있다. 이는 즉, 사회가 변화하는 과정에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라며 창조경제 구현을 위해 정부가 해야할 일을 조언했다.

호킨스 박사는 우선 정부의 윗선에서 창조경제에 대한 리더십을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다수의 리더들이 창조경제를 꾀하고 있다”며 “한국의 경우 박근혜 정부가 먼저 창조경제를 내걸었다는 점에서 굉장히 운이 좋은 사례라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정부의 주도없이 민간 영역에서 창조경제를 이끌어 내는데는 한계가 있다는 의미다.

이어 호킨스 박사는 데이터 수집을 실시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창조경제의 필요성이 거론되고 있는 이 시점에 사회·경제적 환경이 어떻게 구축돼 있는지 파악할 수 있는 객관적인 통계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는 “정부가 새로운 분류체계를 가져야 한다는 의미”라며 “모든 국가들이 산업분류체계를 새롭게 바꿔가고 있는 만큼 한국도 스스로 어떤 상황에 처해있는지 볼 줄 알아야 한다”고 말했다.

호킨스 박사는 그 다음 단계로 정부와 정책에 대한 평가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정책, 법률 등을 체크해서 과연 창조경제에 부합하는지 봐야 한다”며 “영국도 1960년대, 1970년대서부터 새로운 정책들이 해당 분야의 목표에 부합하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경제 및 세제정책 등을 검토했다”고 설명했다.

호킨스 박사는 무엇보다 창조경제의 기반이 되는 창의성에 대한 이해가 요구된다고 조언했다. 창의성이란 무형적인 것으로 정부는 이 같은 무형의 것을 유형적으로 바꿀 수 있어야 한다는 사실을 인지해야 한다는 것이다.

끝으로 호킨스 박사는 “창조는 ‘학습+적용 (learning+adaptation)’”이라며 “새로운 것을 흡수할 수 있는 것, 새로운 것을 깨달아 가는 것 등을 밝게 비추어지면서 끊임없이 순환과정을 거치는 것”이라고 정의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제도 시행 1년 가까워져 오는데…복수의결권 도입 기업 2곳뿐 [복수의결권 300일]
  • 시민 10명 중 6명 “가상자산 이용자보호법 모른다” [新화폐전쟁 가상자산 줄다리기]
  • 눈뜨면 바뀌는 가계대출 정책...또 손본다 [혼돈의 대출시장]
  • 대통령실 4급 공무원 불륜 사실이었다…행정고시 동기 남녀 불륜에 아내는 진정서 제출
  • '최강야구' 연세대의 반격, 역전 허용하는 최강 몬스터즈…결과는?
  • 한화생명e스포츠, 8년 만에 LCK 서머 우승…젠지 격파
  • 티메프 피해자들, 피해 구제‧재발 방지 특별법 제정 촉구…"전자상거래 사망 선고"
  • 의료계 “의대증원, 2027년부터 논의 가능”
  • 오늘의 상승종목

  • 09.09 09:19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74,819,000
    • +1.73%
    • 이더리움
    • 3,132,000
    • +1.39%
    • 비트코인 캐시
    • 416,500
    • +2.33%
    • 리플
    • 719
    • +0.7%
    • 솔라나
    • 177,400
    • +2.31%
    • 에이다
    • 464
    • +5.22%
    • 이오스
    • 653
    • +3.82%
    • 트론
    • 208
    • +0.97%
    • 스텔라루멘
    • 123
    • +1.65%
    • 비트코인에스브이
    • 60,400
    • +0.75%
    • 체인링크
    • 14,130
    • +3.67%
    • 샌드박스
    • 334
    • +2.1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