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 급락하지 않을 것"

입력 2010-05-13 18:27 수정 2010-05-14 06:1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이용만 한성대 교수 밝혀

주택가격 버블론이 대두되고 있지만 국내 실물경기가 회복된다면 주택 가격 급락하지 않고 안정세를 보일 것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이용만 한성대학교 교수는 12일 주택금융공사(HF)가 개최한 '주택금융전문가협의회'에서 '주택가격 적정성 논란 및 향후 변화요인'이란 주제 발표를 통해 "집값은 결국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인구구조의 변화에 영향을 받지만 소득수준과 인구 1000명당 주택 수, 1주택 다가구 상존, 가구변화 요인 등을 고려할 때 주택가격이 급락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 교수는 "단기적으로 보금자리주택 공급과 미분양 적체, 금융규제 등으로 가격이 좀 더 조정 받겠으나 실물경기와 주식시장이 견고한 회복세를 보이면 다시 안정세를 보일 것"이라며 "지역별 수급 불균형 때문에 차별화가 나타나고 비수도권의 경우 재고조정으로 가격의 하향 조정압력이 유지될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또 "우리나라의 소득대비 주택가격비율(PIR)은 2008년 기준 전국 6.3배, 서울 12.6배로 나타나고 있는데 지역별 주택소유자의 연소득자료를 사용할 경우 실제비율은 이와 상당히 다를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주택가격지수와 물가지수의 괴리가 크고, 실질주택가격지수의 장기평균보다 현재 수준이 높다는 주장에 대해 분석의 기준시점에 따라 결과가 달라진다"고 지적했다.

그는 금융위기 이후 한국은 가격조정이 없다는 주장에 대해서 미국의 '케이스&쉴러(Case & Shiller)' 지수처럼 우리나라도 실거래가격기준으로 할 경우 최고점(2008년 7월) 대비 최저점(2009년 1월)을 비교하면 전국 8.45%, 서울 18.86%, 강남구는 21.71%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는 설명이다.

이 교수는 또 "OECD 16개국의 평균적인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비율이 1995년 100%에서 2007년에는 170%로 상승했다"며 "노르웨이, 아일랜드, 네덜란드, 덴마크는 200%를 상회한 점을 감안하면 국내 가계부채 문제가 확대 해석된 측면이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우리나라는 취업자 중 자영업자의 비중이 높아 경기불황 때에도 가계부채가 잘 줄지 않는 구조적 특성이 존재한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알림] 이투데이, '2024 CSR 영상공모전'... 27일까지 접수
  • 단독 실손청구 전산화 구축비 분담률 손보 75 생보 25 가닥
  • 티메프 “12월까지 M&A”…성공은 ‘글쎄’
  • "추석 연휴, 뭐 볼까"…극장은 베테랑2 '유일무이', OTT·문화행사는 '풍성'
  • 한글 적힌 화장품 빼곡...로마 리나센테 백화점서 확인한 'K뷰티 저력’ [가보니]
  • 단독 맘스터치, 국내서 드라이브스루 도전장…내달 석수역에 문 연다
  • 세계를 움직이는 팝스타, 트럼프와 적이 된(?) 이유 [이슈크래커]
  • ‘최강야구’ 영건 전원 탈락…‘KBO 신인드래프트’ 대졸 잔혹사 [요즘, 이거]
  • 오늘의 상승종목

  • 09.13 09:14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78,371,000
    • +1.08%
    • 이더리움
    • 3,179,000
    • +0.6%
    • 비트코인 캐시
    • 448,700
    • -1.6%
    • 리플
    • 759
    • +5.12%
    • 솔라나
    • 183,100
    • +2.18%
    • 에이다
    • 480
    • +0%
    • 이오스
    • 677
    • +1.8%
    • 트론
    • 205
    • -1.44%
    • 스텔라루멘
    • 128
    • +1.59%
    • 비트코인에스브이
    • 65,100
    • -2.91%
    • 체인링크
    • 14,540
    • +3.49%
    • 샌드박스
    • 348
    • +0.8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