퀄리타스반도체, 국내최초 5나노 공정 'PCIe 6.0' 개발 성공…“차세대 메모리 CXL 물리계층 활용 가능”

입력 2024-06-28 10:2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퀄리타스반도체가 PCIe(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Express) 6.0 PHY IP 솔루션을 국내 최초로 개발했다고 28일 밝혔다. 이 솔루션은 5nm공정에서 개발되었으며 AI시대의 방대한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대역폭과 속도를 충족한다.

PCIe는 High-speed serial computer bus의 표준으로 가장 고속인 범용 인터페이스로 자리잡고 있다. 2003년 PCIe 1.0 버전이 출시된 이후, 각 세대마다 두배의 속도 향상을 이루어 왔다. 2023년 초 인텔이 출시한 사파이어 래피즈 CPU에는 PCIe 5.0이 적용되어 현재의 메인스트림으로 자리잡았으며 퀄리타스반도체는 PCIe 6.0 개발을 통해 선도적인 기술 로드맵을 구축하고 있다.

퀄리타스반도체의 PCIe 6.0 PHY IP는 레인당 최대 64GT/s의 전송 속도를 자랑하며, 최대 16개의 레인을 사용하여 양방향 통신 시 초당 최대 256GB/s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퀄리타스반도체는 PCIe 6.0 PHY IP 테스트칩을 통해 64GT/s 속도의 데이터 송신과 수신이 이루어지는것을 검증헸다. 이를 위해 퀄리타스반도체는 100G 전송 속도의 PAM4(멀티레벨 시그널링 서데스) 기술을 확보하였고, 아날로그방식과 더불어 디지털 방식의 DSP(Digital Signal Processing)기술도 개발하여 정확성을 높였다.

앞으로 퀄리타스반도체는 컨트롤러 IP와의 호환성 검증을 위해 2차 테스트칩을 제작할 예정이다.

딥러닝의 등장으로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과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높은 정확성과 대량의 데이터 처리능력이 요구되고 있다. 컴퓨트익스프레스링크(CXL)는 기존 메모리 시스템을 대체할 기술로 주목받고 있으며 PCIe PHY IP 기술이 CPU와 그래픽처리장치(GPU)등 여러장치와 메모리를 연결하는 CXL 인터페이스 기술에 활용되고 있다.

퀄리타스반도체의 PCIe PHY IP는 PCIe 표준을 준수하여 CXL의 물리계층으로 활용 될 수 있어, 차세대 메모리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이번 PCIe 6.0 PHY IP는 여러 고객사들에게 프로모션을 시작하였으며 대다수의 고객사들에게서 구체적인 문의가 있어 시장에서 독보적인 입지를 굳힐 것으로 보인다. 퀄리타스반도체는 이번에 개발 된 5nm 공정 뿐 아니라 4nm와 2nm에서도 PCIe 6.0 PHY IP를 개발할 예정이다.

김두호 퀄리타스반도체 대표는 “이번 PCIe 솔루션 개발로 인공지능 기술을 엣지 환경에서 구현할 중요한 반도체 설계 IP 포트폴리오를 확보했으며, 고부가가치 IP인 PCIe PHY를 국내 최초로 자체 개발한 것에 대해 모든 임직원이 뿌듯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필카부터 네 컷까지…'디토 감성' 추구하는 '포토프레스 세대'[Z탐사대]
  • 하반기에도 IPO 대어 더 온다…공모주 기대감 여전
  • 유사투자자문업, 정보·운영 제각각…8월 자본법 개정안 시행에 당국 부담도 ↑ [유사투자자문업 관리실태]②
  • SK그룹, 2026년까지 80조 원 확보… AI·반도체 등 미래 투자
  • [타보니] “나랑 달 타고 한강 야경 보지 않을래?”…여의도 130m 상공 ‘서울달’ 뜬다
  • ‘토론 망친’ 바이든, 대선 후보 사퇴 결정 영부인에 달렸다
  • 허웅 '사생활 논란'에 광고서 사라져…동생 허훈만 남았다
  • 박철, 전 아내 옥소리 직격…"내 앞에만 나타나지 말길"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6,656,000
    • +1.08%
    • 이더리움
    • 4,772,000
    • -0.02%
    • 비트코인 캐시
    • 549,500
    • +2.14%
    • 리플
    • 665
    • -0.75%
    • 솔라나
    • 198,600
    • -0.95%
    • 에이다
    • 542
    • -2.69%
    • 이오스
    • 804
    • -1.23%
    • 트론
    • 177
    • +0.57%
    • 스텔라루멘
    • 127
    • -0.78%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100
    • -0.96%
    • 체인링크
    • 19,150
    • -1.85%
    • 샌드박스
    • 464
    • -1.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