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한 자립준비청년 평균 월급 212만 원…3년 새 16%↑

입력 2024-06-26 12: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복지부, '2023년 자립지원실태조사' 결과 발표…건강·경제지표 전반적 개선

▲2023년 자립준비실태조사 주요 결과. (자료=보건복지부)
▲2023년 자립준비실태조사 주요 결과. (자료=보건복지부)

자립준비청년들의 건강·경제지표가 전반적으로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전체 청년과 비교하면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보건복지부는 26일 자립준비청년 5032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2023년 자립지원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주요 결과를 보면, 보호유형은 가정위탁이 58.7%로 가장 많고, 아동양육시설이 31.0%, 공동생활가정은 10.3%였다. 자립준비청년의 50.4%는 만 18세가 된 직후 보호 종료됐으며, 49.6%는 일정 기간 보호기간을 연장한 후 종료됐다. 보호기간을 연장하지 않은 이들은 그 이유로 ‘빨리 독립하고 싶어서(32.4%)’, ‘몰라서(17.9%)’, ‘취업 등으로 거주지를 옮겨야 해서(17.2%)’ 등을 꼽았다. 연장 사유는 ‘진학·취업 준비에 시간이 더 필요해서(57.4%)’가 가장 많았다.

건강 영역에서는 국민건강보험 가입자 비율(56.7%), 건강검진 수검률(53.4%), 주관적 건강상태(좋음 41.5%), 미충족 의료경험(20.7%) 등 모든 지표가 직전 조사(2020년)보다 개선됐다. 심리·정서 영역에서도 삶의 만족도(10점 만점)가 5.3점에서 5.6점으로 높아졌으며, 주관적 자립상태(10점 만점)는 경제 6.1점, 심리·정서 6.5점, 사회 6.6점으로 모두 직전 조사보다 올랐다. 자살생각 유경험률은 46.5%로 3.5%포인트(P) 낮아졌다. 다만, 전체 청년과 비교하면 여전히 미흡한 수준이다. 자살생각 유경험률의 경우, 전체 청년은 10.5%에 불과하다.

사회적 관계에서는 부모가 있는 비율이 53.5%, 없는 비율은 34.8%였다. 11.7%는 모른다고 답했다. 부모가 있는 응답자 중 9.5%는 현재 부모와 동거하고 있었다. 부모와 동거하지 않는 응답자는 75.2%가 부모와 연락하며 지내고 있었다. 필요할 때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사람(3순위까지 복수응답) 학교·동네 친구(59.0%), 형제·자매(28.3%) 순이었다. 외출 빈도에서 ‘보통 집에 있거나 집(방) 밖으로 안 나간다’는 비율은 10.6%로 전체 청년의 4배가량이었다.

아울러 자립준비청년 중 69.5%는 1인 가구였으며, 주된 주거 유형은 공공임대주택(45.3%), 월세(21.2%) 순이었다. 주거유형이 공공임대주택, 전·월세인 응답자들은 평균적으로 보증금 3825만 원, 월세 28만8000원을 주거비로 지출했다. 보증금 마련 방법(3순위까지 복수응답)은 자립정착금(40.9%), 공공임대 등 정부·지방자치단체 주거지원(38.8%), 근로소득·저축(33.4%) 순이었다. 자립준비청년이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주거지원은 주거비 지원(40.2%)이었다.

자립준비청년의 대학 진학률은 69.7%로 2020년(62.7%)보다 7.0%P 상승했다. 다만, 대학 진학자의 절반은 전문대 진학이었다. 휴학·중퇴 비율도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휴학·중퇴 사유는 ‘적성에 맞지 않아서(30.9%)’, ‘경제적으로 어려워서(27.9%)’, ‘심리·정신적 어려움(10.3%)’ 순이었다. 자립준비청년들은 주로 국가장학금으로 등록금을 마련했다.

이 밖에 전체 자립준비청년의 월평균 소득은 165만 원으로 2020년(127만 원)보다 38만 원 증가했다. 월평균 생활비도 108만 원으로 28만 원 늘었다. 자립준비청년의 고용률과 실업률은 각각 52.4%로 10.2%P 오르고, 15.8%로 12.4%P 내렸다. 다만, 전체 청년과 비교하면 여전히 고용률이 낮고, 실업률은 높은 수준이다. 취업자인 자립준비청년들은 월평균 212만 원(세후)을 벌었다. 2020년(182만 원) 대비 30만 원 증가했다.

한편, 자립준비청년들은 보호 종료 후 경험한 가장 큰 어려움으로 거주할 집 문제(26.9%), 생활비·학비 등 돈 부족(23.2%), 취업 정보·자격 부족(17.9%) 등을 꼽았다. 보호 종료 후 자립생활을 위해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지원은 경제적 지원(68.2%), 주거지원(20.2%), 진로상담·취업 지원(3.4%), 건강 지원(2.5%) 순이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필카부터 네 컷까지…'디토 감성' 추구하는 '포토프레스 세대'[Z탐사대]
  • 신생아 특례대출 기준 완화…9억 원 이하 분양 단지 '눈길'
  • 네이버웹툰, 나스닥 첫날 9.52% 급등…김준구 “아시아 디즈니 목표, 절반 이상 지나”
  • 사잇돌대출 공급액 ‘반토막’…중·저신용자 외면하는 은행
  • ‘예측 불가능’한 트럼프에…'패스트 머니' 투자자 열광
  • 임영웅, 레전드 예능 '삼시세끼' 출격…"7월 중 촬영 예정"
  • '손웅정 사건' 협상 녹취록 공개…"20억 불러요, 최소 5억!"
  • 롯데손보, 새 주인은 외국계?…국내 금융지주 불참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5,107,000
    • -1.91%
    • 이더리움
    • 4,763,000
    • -1.83%
    • 비트코인 캐시
    • 543,500
    • -0.64%
    • 리플
    • 665
    • -0.6%
    • 솔라나
    • 197,300
    • -6%
    • 에이다
    • 542
    • -1.63%
    • 이오스
    • 827
    • -0.24%
    • 트론
    • 174
    • +0.58%
    • 스텔라루멘
    • 129
    • +0.78%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450
    • -2.35%
    • 체인링크
    • 19,400
    • -4.15%
    • 샌드박스
    • 473
    • -1.2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