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CT 런쥔, 사생으로 착각해 일반인 번호 공개…소속사 사과

입력 2024-06-21 17:1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뉴시스)
▲(뉴시스)

그룹 NCT 멤버 런쥔이 일반인의 전화번호를 공개한 데 대해 소속사 SM엔터테인먼트(SM)가 "경솔했다"며 고개를 숙였다.

SM 측은 21일 "전날 런쥔이 자신에게 걸려 온 모르는 연락처를 '사생'으로 착각해 팬 소통 플랫폼에 노출하는 일이 있었다"며 "오픈된 플랫폼에 연락처를 공개한 점, 이로 인해 피해를 보신 분께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이어 "당사는 피해자분이 지역 경찰서를 방문하여 문의하였다는 연락을 받은 직후, 담당 수사관님을 통해 피해를 보고 계신 상황에 대해 사과의 뜻을 전하고, 게시글 삭제 조처를 했다"며 "계속해서 더 이상의 피해가 없도록 노력할 것이며, 피해자분께 연락을 삼가시길 간곡히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그러면서 "현재 런쥔은 경솔한 행동에 깊이 반성하고 뉘우치고 있으며, 당사 역시 아티스트 관리에 부족했던 점 깊이 사과드린다"며 "다시 한번 피해자분을 비롯한 많은 분께 심려를 끼쳐드려 죄송하다"고 덧붙였다.

앞서 뤈진은 20일 팬 소통 플랫폼 버블을 통해 "그만 전화하라, 이 분 번호 공개하겠다"며 자신에게 걸려 온 전화번호를 공개한 바 있다.

그러나 해당 전화번호 당사자는 팬이 아니었으며, 단순히 번호를 착각해 전화를 잘못 걸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을 통해 "친구 번호인 줄 알고 잘못 전화를 건 것"이라며 "나는 런쥔의 사생이 아니다"라고 수차례 해명했다.

이 번호의 당사자에게는 욕설 등이 담긴 수많은 메시지와 전화 등이 걸려 온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뤈진은 4월 활동 중단을 선언했다. 당시 SM 측은 "런쥔은 최근 컨디션 난조와 불안 증세로 병원을 방문했고, 검사 결과 충분한 안정과 휴식이 필요하다는 의료진의 소견을 받았다"며 "당사는 아티스트의 건강이 최우선이라 판단했고, 런쥔과 신중한 논의 끝에 치료와 회복에 집중하는 것으로 결정했다"고 밝힌 바 있다.

런쥔은 수차례 사생에 대한 피해를 호소해왔다. 11일에도 "제 개인적인 스케줄에도 사생, 저에게는 무서운 스토커인 사람이 따라오고 비행기 옆자리 타고, 자는데 사진 찍고 정말 저에게는 너무 큰 부담"이라고 토로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10명 중 8명 "하반기 경영여건 어렵다"…관치보다 '정치금융' 더 압박[금융사 CEO 설문조사]
  • K 붙은 식음료·뷰티 ETF 모두 잘 나가는데…‘이 K’는 무슨 일?
  • 예금자보호한도 상향 논의 재점화…올해는 바뀌나
  • "청약 기회 2년 날렸다"…공사비 급등에 또 취소된 사전청약 사업
  • 필카부터 네 컷까지…'디토 감성' 추구하는 '포토프레스 세대'[Z탐사대]
  • 하반기에도 IPO 대어 더 온다…공모주 기대감 여전
  • 유사투자자문업, 정보·운영 제각각…8월 자본법 개정안 시행에 당국 부담도 ↑ [유사투자자문업 관리실태]②
  • SK그룹, 2026년까지 80조 원 확보… AI·반도체 등 미래 투자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8,293,000
    • +2.9%
    • 이더리움
    • 4,834,000
    • +1.68%
    • 비트코인 캐시
    • 554,000
    • +3.36%
    • 리플
    • 670
    • +0.9%
    • 솔라나
    • 205,900
    • +4.36%
    • 에이다
    • 550
    • +1.66%
    • 이오스
    • 811
    • +1.63%
    • 트론
    • 175
    • -0.57%
    • 스텔라루멘
    • 128
    • +0.79%
    • 비트코인에스브이
    • 63,350
    • +2.84%
    • 체인링크
    • 20,010
    • +5.15%
    • 샌드박스
    • 467
    • +1.5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