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모까지 부추긴 서울의대 교수 휴진...서울시 병·의원 휴진율 2.3%

입력 2024-06-16 11:2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서울의대 교수 17일 전면 휴진…400명 이상 동참
의대생 학부모, 적극적 투쟁 촉구…“지금은 행동해야”
세브란스병원 3곳 소속 교수들, 27일부터 무기한 휴진
오세훈 서울시장, ‘의료계 집단행동 동참 자제’ 촉구

▲14일 오후 서울시 종로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 기자회견이 열리고 있다. (이투데이DB)
▲14일 오후 서울시 종로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 기자회견이 열리고 있다. (이투데이DB)

서울대 의대 교수들이 17일 전면 휴진을 예고한 가운데 400명 이상의 교수들이 외래 휴진 또는 축소, 정규 수술·시술·검사 일정 연기 조치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 병·의원 휴진율은 2.3%로, 휴진 동참 움직임이 확대되면 의료 현장에 미치는 영향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16일 의료계에 따르면 전날 서울대 의대·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는 서울대학교병원,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강남센터 등 소속 4개 병원의 휴진 참여 현황을 공개했다. 비대위 조사 결과 15일 기준 휴진에 동참하겠다는 뜻을 밝힌 교수는 400명이 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전체 교수의 40%에 달하는 수치다.

비대위는 추가 조사에 따라 휴진에 동참하는 교수가 더욱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응급‧중환자와 희귀·난치·중증 질환 진료는 유지하기로 했다.

아울러 비대위는 진료를 유지하는 교수들에게 휴진 지지 성명서를 받고 있다. 의료계에 대한 존중과 올바른 의료정책 수립을 요구하는 해당 성명에는 17시간 만에 교수 300명이 동참했다.

(이투데이DB)
(이투데이DB)

의대생 학부모들은 서울대 의대 교수들의 ‘전면 휴진’ 결정에도 더욱 적극적인 투쟁을 촉구하고 있다. 2월 의대 입학정원 증원 발표 직후 개설된 인터넷 카페인 ‘의대생 학부모 모임’에는 14일 ‘서울대 의대 비대위에 고함’이라는 글이 올라왔다.

학부모들은 해당 게시글에서 “최근의 의료 파탄 사태로 현 의료 시스템의 구조적·근본적 문제를 알게 됐고, 사방이 온통 불합리에 비과학적이고 심지어 비굴하기까지 하다는 것을 깨닫게 됐다”며 “지금껏 교수님들은 무엇을 하고 계셨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전공의들이) 2월에 낸 사직서의 법률적 효과 여부로 토론하는 모습을 보며 실소를 금치 못한다”면서 “전공의는 사람 아닌가. ‘잘못됐다, 비상식이다’ 이런 생각 지금껏 안 했느냐”고 지적했다.

학부모들은 또 “환자들에게 죄송한 마음을 알고 어떤 사리사욕이 없는 분들인 것도 잘 안다”면서도 “오늘의 환자 100명도 소중하지만 당장의 환자 불편에도 지금은 행동해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전국 의대 교수들도 무기한 휴진을 선언한 상태다. 연세의료원 산하 세브란스병원과 강남세브란스병원, 용인세브란스병원에 소속된 교수들은 27일부터 무기한 휴진에 돌입하겠다고 예고했다. 성균관대 의대 교수들 역시 18일 대한의사협회 주관 전국의사궐기대회 및 휴진에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와 함께 적극 참여하기로 한 데 이어, 무기한 휴진 논의를 시작했다.

한편 ‘서울시 의료기관 집단행동 관련 현황’에 따르면 14일 오전 기준 병의원 휴진율은 2.31%로 나타났다. 진료명령 및 휴진신고명령 대상(9898곳) 중 휴진을 신고한 의료기관은 총 229곳을 기록했다.

최근 오세훈 서울시장은 서울시의사회를 만나 의료계 집단행동 동참 자제를 부탁했다. 그는 13일 소셜미디어(SNS)에 “18일 의료계 총파업을 앞두고 의료 공백에 대한 국민 우려가 커지고 있다”며 “종합병원뿐만 아니라 일상생활 중 쉽게 갈 수 있는 동네병원마저 문을 닫는다면 아픈 국민은 기댈 곳이 없다. 이런 절박한 심정으로 서울시의사회에 집단 휴업 동참 자제를 간곡히 부탁드렸다”고 적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2%대로 '뚝' 떨어진 주담대 금리…'막차 영끌'에 불 붙이나
  • 줄 서서 사던 '그 가방', 한국에 왔다 [솔드아웃]
  • 단독 ‘사내 복지몰’ 제품 싸게 사 온라인서 재판매…산단공 직원 고발
  • 지난달 청년 상용직 19만 명 급감, 그냥 쉰다도 40만 명대...고용의 질·양 악화
  • 외국인 국채 통합계좌 시스템 27일 개통…WGBI 편입에 한 걸음
  • '그것이 알고 싶다' 故 구하라 금고 도난 사건…비밀번호 넘겨받은 청부업자?
  • ‘녹색 지옥’ 독일 뉘르부르크링서 제네시스 트랙 택시 달린다
  • 한동훈·나경원·원희룡, 오늘(23일) 국민의힘 당대표 출사표
  • 오늘의 상승종목

  • 06.2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0,990,000
    • +0.3%
    • 이더리움
    • 4,954,000
    • +0.08%
    • 비트코인 캐시
    • 555,500
    • +2.49%
    • 리플
    • 689
    • -0.14%
    • 솔라나
    • 189,900
    • -0.26%
    • 에이다
    • 544
    • +2.26%
    • 이오스
    • 815
    • +2.26%
    • 트론
    • 170
    • +1.8%
    • 스텔라루멘
    • 129
    • -0.77%
    • 비트코인에스브이
    • 65,300
    • +6.18%
    • 체인링크
    • 19,200
    • -2.09%
    • 샌드박스
    • 471
    • +1.0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