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분당서울대병원 등 교수들 휴진 참여율 54.7%

입력 2024-06-16 11:0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강희경 서울대의대·서울대병원 교수협의회 비대위원장이 14일 서울 종로구 서울의대 융합관 양윤선홀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 기자회견에서 휴진 관련 입장을 밝히고 있다. 고이란 기자 photoeran@
▲강희경 서울대의대·서울대병원 교수협의회 비대위원장이 14일 서울 종로구 서울의대 융합관 양윤선홀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 기자회견에서 휴진 관련 입장을 밝히고 있다. 고이란 기자 photoeran@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산하 서울대병원·분당서울대병원·서울시보라매병원·서울대병원 강남센터 등 4개 병원에서 529명의 교수들이 전체 휴진에 참여한다.

16일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에 따르면 17일 전체 휴진을 앞두고 4개 병원 휴진 참여 현황을 조사한 결과, 4개 병원 진료 참여 전체 교수 967명 중 54.7%인 529명이 휴진에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대위가 15일 오후 8시 기준 4개 병원 임상과별로 조사한 결과, 교수들은 휴진 첫 주인 6월 17일부터 22일 사이 외래 휴진 또는 축소, 정규 수술·시술·검사 일정 연기 조치를 시행한다.

또 수술장이 있는 3개 병원의 합계 수술장 예상 가동율은 62.7%에서 33.5%로 낮아질 것으로 조사됐고, 집계된 20개의 임상과 모두가 휴진에 참여할 예정이다.

비대위는 “휴진으로 진료 예약 변경이 된 경우 개별 교수 자체적으로, 또는 비대위 지원을 통해 환자분들께 알려드리고 있다”며 “현재까지 비대위에 접수된 지원 요청 건 모두에 대해 예약 변경과 환자 알림 절차가 완료됐다”고 설명했다.

다만 비대위 측은 휴진 기간에도 중증·희귀질환 환자 진료와 응급환자 진료는 정상적으로 할 계획이다.

앞서 비대위는 14일 기자회견에서 “중증·희귀질환 환자들께 절망의 소리가 되리란 것을 충분히 헤아리지 못했다. 중증·희귀질환 환자들은 휴진 기간에도 차질 없이 진료가 진행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강희경 비대위원장은 해당 기자회견에서 “이번 전체 휴진 기간을 시작으로 서울대병원은 중증·희귀질환 환자 진료에 집중하는 최상급종합병원의 역할에 충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휴진에 지지를 표하는 교수들은 전체 교수진의 90.3%로 나타났다. 비대위에 따르면 응급·중증환자와 희귀·난치환자를 포함해 진료를 유지하는 교수들의 휴진 지지 성명서를 받고 있고, 의료계에 대한 존중과 올바른 의료정책 수립을 요구하는 해당 성명에는 만 하루 만에 344명의 교수가 동참했다. 이에 따라 휴진 참여 교수 528명, 성명서를 제출한 344명 등 873명이 휴진 지지 의사를 표했다.

한편, 비대위는 휴진 시작일인 17일 오전 서울의대 융합관 안윤선홀에서 집회를 진행하고, 오후에는 ‘전문가 집단의 죽음’을 주제로 한 심포지엄을 열 예정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2%대로 '뚝' 떨어진 주담대 금리…'막차 영끌'에 불 붙이나
  • 줄 서서 사던 '그 가방', 한국에 왔다 [솔드아웃]
  • 단독 ‘사내 복지몰’ 제품 싸게 사 온라인서 재판매…산단공 직원 고발
  • 지난달 청년 상용직 19만 명 급감, 그냥 쉰다도 40만 명대...고용의 질·양 악화
  • 외국인 국채 통합계좌 시스템 27일 개통…WGBI 편입에 한 걸음
  • '그것이 알고 싶다' 故 구하라 금고 도난 사건…비밀번호 넘겨받은 청부업자?
  • ‘녹색 지옥’ 독일 뉘르부르크링서 제네시스 트랙 택시 달린다
  • 한동훈·나경원·원희룡, 오늘(23일) 국민의힘 당대표 출사표
  • 오늘의 상승종목

  • 06.2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1,069,000
    • +0.42%
    • 이더리움
    • 4,960,000
    • +0.28%
    • 비트코인 캐시
    • 556,500
    • +2.77%
    • 리플
    • 689
    • +0.15%
    • 솔라나
    • 190,300
    • +0.05%
    • 에이다
    • 545
    • +2.64%
    • 이오스
    • 816
    • +2.51%
    • 트론
    • 170
    • +1.8%
    • 스텔라루멘
    • 129
    • -0.77%
    • 비트코인에스브이
    • 65,350
    • +6.26%
    • 체인링크
    • 19,220
    • -1.84%
    • 샌드박스
    • 471
    • +1.2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