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스트&워스트] 해태제과식품, 때 이른 더위에 54.65%↑

입력 2024-06-15 09:1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자료=에프앤가이드)
(자료=에프앤가이드)

코스피는 지난 한 주(10~14일)간 35.75포인트(1.31%) 오른 2758.42에 거래를 마쳤다. 외국인이 2조3036억 원 순매수했고 개인이 9636억 원, 기관이 1조2482억 원 순매도했다.

15일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한 주간 유가증권 시장에서 가장 많이 오른 종목은 해태제과식품으로, 54.65% 상승한 9310원을 기록했다.

예년보다 이른 무더위로 빙과 제품을 파는 기업들이 주목받은 것으로 풀이된다. 기상청은 이달 폭염일수가 평년보다 많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지주사인 크라운해태홀딩스도 29.82%의 상승률을 나타냈다.

사조대림은 45.45% 오른 6만1600원이었다. 냉동 김밥 등 K푸드의 미국 시장 수출에 따른 수혜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사조그룹의 또 다른 계열사인 사조산업, 사조오양도 각각 35.98%, 30.63% 급등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43.34% 뛴 6만8300원을 기록했다. 경북 포항 영일만 앞바다에서 석유와 가스가 매장돼 있을 가능성이 크다는 물리탐사 결과가 나왔다는 윤석열 대통령의 국정 브리핑에 상승세를 탄 것으로 분석된다.

또 다른 셰일가스 테마주인 한국가스공사도 35.60% 올랐다. 이 밖에 SKC(30.90%), 토니모리(30.72%) 등이 오름세를 나타냈다.

(자료=에프앤가이드)
(자료=에프앤가이드)

같은 기간 코스피 시장에서 가장 많이 내린 종목은 화천기계로, 12.81% 하락한 3370원에 장을 마쳤다. 악재성 이슈나 공시는 없었다.

이외에도 삼성공조(-12.40%), 모나리자(-11.34%), 하이스틸(-11.14%), 미래에셋생명(-10.56%), 아센디오(-9.86%), 현대비앤지스틸(-9.72%), 에코프로머티(-9.59%) 등이 내림세를 보였다.

에코프로머티 2대 주주인 블루런벤처스(BRV)는 전날 3일 장 마감 후 블록딜(시간외 대량 매매)을 통해 에코프로머티 주식 210만 주를 2509억 원에 매각한 것으로 알려졌다. 매각 가격은 주당 11만9480원으로 시세 대비 약 10.5% 할인된 가격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올해 여름휴가는 짧게 국내로 가요" [데이터클립]
  • 23명 사망한 참혹한 현장…화성공장 화재, 인명피해 왜 커졌나 [이슈크래커]
  • 손웅정 감독, 아동학대 혐의 피소…"사랑 없는 행동 없었다"
  • 마운트곡스 악재에 '쇼크' 온 비트코인, 6만1000달러로 소폭 상승 [Bit코인]
  • 4.5세대? 5세대?…올림픽 마냥 4년 만에 돌아온 개정 시그널 [멍든 실손보험中]
  • [종합] 엔비디아 6%대 반등 속 뉴욕증시 또 혼조…나스닥 1.26%↑
  • "황재균 이혼한 거 알아?"…뜬금없는 이혼설 중계에 지연 측 "사실무근"
  • 단독 ‘묻지마 현지법인’ 탓에…이마트24, 싱가포르서 철수
  • 오늘의 상승종목

  • 06.26 12:54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7,439,000
    • +0.85%
    • 이더리움
    • 4,792,000
    • +0.48%
    • 비트코인 캐시
    • 551,500
    • +2.7%
    • 리플
    • 671
    • -0.59%
    • 솔라나
    • 195,400
    • +1.77%
    • 에이다
    • 553
    • +1.1%
    • 이오스
    • 811
    • +0.25%
    • 트론
    • 173
    • +1.76%
    • 스텔라루멘
    • 128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64,500
    • +1.74%
    • 체인링크
    • 20,050
    • +1.31%
    • 샌드박스
    • 475
    • +1.7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