덩샤오핑 국빈 연회 오른 '우량예'…하이볼 캔으로 한국 최초 상륙

입력 2024-06-14 15:0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14일 오전 서울 중구 더 플라자 호텔에서 진행된 ‘우량하이볼’ 런칭 기념 기자간담회 포토콜에서 모델들이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사진제공=우량예그룹(Wuliangye))
▲14일 오전 서울 중구 더 플라자 호텔에서 진행된 ‘우량하이볼’ 런칭 기념 기자간담회 포토콜에서 모델들이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사진제공=우량예그룹(Wuliangye))

백주(白酒) 원주로 한 프리미엄 하이볼…오리지널ㆍ레몬 등 2종
20일부터 전국 GS25에서 구매 가능··· 7월 초 이마트 출시 예정

중국 우량예그룹(Wuliangye)이 '우량하이볼'을 전세계에서 한국에 최초로 출시한다.

우량예그룹 한국 판매를 담당하는 황진욱 대표는 14일 오전 서울 중구 더 플라자 호텔에서 우량하이볼 런칭 기념 기자간담회를 열고 “일본ㆍ미국 뿐 아니라 국내에서도 MZ세대를 중심으로 하이볼 인기가 높아지면서 시장 성장세가 가파르다”면서 “우량예그룹은 이 점에 주목해 우량하이볼을 한국에서 최초로 선보이기로 했다”고 말했다.

중국 명주 제조사인 우량예그룹은 1915년 파나마 만국박람회에서 금상을 수상한 것을 시작으로 세계적인 명성을 떨치기 시작했다. 특히 덩샤오핑 중국 전 국가리더가 미국의 지미 카터 전 대통령 방중 시 국빈 연회에서 우량예를 대접한 일화로도 잘 알려져 있다.

우량하이볼은 청량하고 상큼한 하이볼 RTD(Ready to Drink) 제품이다. 주정을 사용하지 않고 고급 백주 원액만을 사용해 깔끔한 맛을 즐길 수 있다. 제품은 오리지널과 레몬 맛 두 가지로 출시된다. 귀여운 판다 캐릭터가 매력적인 패키지에 오리지널은 선명한 붉은색, 레몬맛은 강렬한 노란색의 330ml 캔 형태다.

국세청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주류 제조면허 가운데 리큐어 면허는 23.4% 늘었다. 편의점 CU에 따르면 국내 하이볼 매출 규모도 최근 1년 새 553.7% 급증한 것으로 집계됐다. 하이볼이 술 자체를 기피하거나 낮은 도수의 술을 좋아하는 MZ세대 트렌드에 부합했다는 분석이다.

한편 우량하이볼은 20일부터 전국 GS25와 GS 더프레시(THE FRESH)에서 만나볼 수 있다. 다음달부터는 이마트에서도 구매가 가능하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2%대로 '뚝' 떨어진 주담대 금리…'막차 영끌'에 불 붙이나
  • 줄 서서 사던 '그 가방', 한국에 왔다 [솔드아웃]
  • 단독 ‘사내 복지몰’ 제품 싸게 사 온라인서 재판매…산단공 직원 고발
  • 지난달 청년 상용직 19만 명 급감, 그냥 쉰다도 40만 명대...고용의 질·양 악화
  • 외국인 국채 통합계좌 시스템 27일 개통…WGBI 편입에 한 걸음
  • '그것이 알고 싶다' 故 구하라 금고 도난 사건…비밀번호 넘겨받은 청부업자?
  • ‘녹색 지옥’ 독일 뉘르부르크링서 제네시스 트랙 택시 달린다
  • 한동훈·나경원·원희룡, 오늘(23일) 국민의힘 당대표 출사표
  • 오늘의 상승종목

  • 06.2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1,060,000
    • +0.48%
    • 이더리움
    • 4,958,000
    • +0.16%
    • 비트코인 캐시
    • 557,000
    • +3.15%
    • 리플
    • 690
    • +0.15%
    • 솔라나
    • 190,800
    • +0.69%
    • 에이다
    • 545
    • +2.44%
    • 이오스
    • 815
    • +2.64%
    • 트론
    • 170
    • +1.8%
    • 스텔라루멘
    • 129
    • -0.77%
    • 비트코인에스브이
    • 65,550
    • +6.67%
    • 체인링크
    • 19,240
    • -1.69%
    • 샌드박스
    • 471
    • +1.5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