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오물 풍선’ 전국서 600개 발견…정부 “대북확성기 재개 논의”

입력 2024-06-02 15:5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2일 경기도 시흥시 한 쇼핑몰 주차장에서 관계자가 북한이 살포한 것으로 추정되는 오물 풍선 잔해를 수거하고 있다 (연합뉴스)
▲2일 경기도 시흥시 한 쇼핑몰 주차장에서 관계자가 북한이 살포한 것으로 추정되는 오물 풍선 잔해를 수거하고 있다 (연합뉴스)
밤사이 북한이 이른바 ‘오물 풍선’을 또다시 살포한 가운데 서울에서만 88개의 오물풍선이 발견됐고 강원, 충북, 경북 등 전국에서 600개 넘는 수량이 식별됐다. 정부는 북한의 연이은 도발에 대응하기 위해 대북확성기 재개 등의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2일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이날 서울을 포함한 강원, 경북, 경남, 충북 지역 곳곳에서 오물 풍선이 확인돼 오전 10시 기준 600개 넘는 수량이 확인됐다. 강원 원주·홍천, 경북 예천·안동·영양·문경·포항, 경남 진주, 충북 청주·제천·충주 등지에서 오물 풍선이 수거됐다.

서울시의 경우 오후 2시까지 총 88개의 오물 풍선이 식별됐다고 밝히면서 “적재물 무게가 5kg 이상인 만큼 낙하 피해에 주의해달라”고 당부했다.

서울시는 수도방위사령부, 서울경찰청, 서울소방재난본부와 연계해 ‘서울시 초동대응반’을 설치하고 24시간 상황실을 구축해 실시간 상황 파악 및 대응에 나선 상황이다.

경찰에 따르면 이날 오전 5시까지 접수된 오물 풍선 신고는 514건이다.

오물 풍선으로 인해 사람이 다치는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다만 자동차 앞 유리가 파손되는 등의 사고가 발생했다.

이날 오전 10시 22분께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의 한 빌라 주차장에 오물 풍선이 떨어지면서 자동차 앞 유리가 파손되는 사례가 확인됐다.

북한의 도발이 계속되는 가운데 정부는 이날 오후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소집하고 대북 확성기 방송 재개 등 대응책을 논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북확성기 방송은 1963년 박정희 정부 때 시작돼 2004년 노무현 정부 때 중단됐다. 대한민국 체제 우월성을 전하고 북한 체제의 잔혹성을 고발하는 내용이 주를 이룬다. 유행하는 K팝을 방송하기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은 지난달 27일 군사정찰위성 발사 실패 이후 28일부터 29일에 걸쳐 이틀간 260여 개의 1차 오물풍선을 살포한 바 있다. 지난 밤사이 600여 개의 오물 풍선을 추가로 살포하면서 총 900여 개를 남으로 띄워 보냈다.

지난달 29일부터 4일 동안은 서해 북방한계선(NLL) 일대에서 남쪽을 향해 위성항법장치(GPS) 전파 교란 공격을 벌였고, 지난달 30일에는 단거리 탄도미사일(SRBM)인 초대형 방사포(KN-25) 18발을 동해 상으로 발사하는 등 다방면의 도발을 지속했다.

정부는 지난달 31일 ‘최근 북한 도발 관련 입장’을 발표해 “북한이 멈추지 않는다면 북한이 감내하기 힘든 모든 조치를 취해나갈 것”이라고 경고한 바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10명 중 8명 "하반기 경영여건 어렵다"…관치보다 '정치금융' 더 압박[금융사 CEO 설문조사]
  • K 붙은 식음료·뷰티 ETF 모두 잘 나가는데…‘이 K’는 무슨 일?
  • “이젠 싼 맛 말고 제맛”…K브랜드로 中독 벗어난다
  • "청약 기회 2년 날렸다"…공사비 급등에 또 취소된 사전청약 사업
  • [뉴욕인사이트] 고용 지표에 쏠리는 눈…하반기 황소장 이어가나
  • “잠재력만 봅니다” 부실 상장·관리 여전...파두·시큐레터 투자자 ‘피눈물’ [기술특례상장 명과 암②]
  • 유사투자자문업, 정보·운영 제각각…8월 자본법 개정안 시행에 당국 부담도 ↑ [유사투자자문업 관리실태]②
  • 서울 지하철 3호선 대치역서 배터리 화재…"현재 정상운행 중"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8,230,000
    • +2.89%
    • 이더리움
    • 4,832,000
    • +1.68%
    • 비트코인 캐시
    • 553,000
    • +3.17%
    • 리플
    • 668
    • +0.45%
    • 솔라나
    • 205,600
    • +4.26%
    • 에이다
    • 551
    • +1.85%
    • 이오스
    • 810
    • +1.63%
    • 트론
    • 176
    • -0.56%
    • 스텔라루멘
    • 129
    • +1.57%
    • 비트코인에스브이
    • 63,350
    • +2.84%
    • 체인링크
    • 20,030
    • +5.25%
    • 샌드박스
    • 465
    • +1.0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