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모빌리티-美 아처, ‘한국형 UAM 서비스 상용화’ 위해 맞손

입력 2024-05-31 14:2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국토부 주관 ‘K-UAM 그랜드챌린지’ 수행 협업
카카모빌리티, 미드나이트 50기 구매 의향 제출

▲카카오모빌리티는 미국의 글로벌 도심항공교통(UAM) 기체 제조사인 아처 에비에이션과 ‘한국형 UAM 서비스 상용화’를 위해 협력한다고 31일 밝혔다. 장성욱 카카오모빌리티 미래이동연구소장(우측)과 니킬 고엘 아처 CCO(좌측)가 협약식 사인 후 사진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카카오모빌리티)
▲카카오모빌리티는 미국의 글로벌 도심항공교통(UAM) 기체 제조사인 아처 에비에이션과 ‘한국형 UAM 서비스 상용화’를 위해 협력한다고 31일 밝혔다. 장성욱 카카오모빌리티 미래이동연구소장(우측)과 니킬 고엘 아처 CCO(좌측)가 협약식 사인 후 사진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카카오모빌리티)

카카오모빌리티는 미국의 글로벌 도심항공교통(UAM) 기체 제조사인 아처 에비에이션과 ‘한국형 UAM 서비스 상용화’를 위해 협력한다고 31일 밝혔다.

아처 에비에이션은 미국 연방항공청(FAA)에서 인증 가능성이 높은 기체사 중 하나다. 국토교통부가 주관하는 민관 협동 실증사업인 ‘한국형 도심항공교통 그랜드챌린지(K-UAM GC)’에서도 빠른 국내 인증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에는 카카오모빌리티ㆍLG유플러스ㆍGS건설 등이 참여 중인 ‘UAM 퓨처팀’ 컨소시엄에 합류하기도 했다. 양사는 이번 파트너십 체결을 통해 K-UAM GC 수행을 위한 협업에 나설 계획이다.

양사는 올해 말 예정된 K-UAM GC 1단계 실증시험에서 UAM 기체를 활용하기 위한 공동연구를 진행한다. 성공적인 서비스 상용화 실현을 위해 4분기 내 아처 항공기의 공개 시범 비행을 추진한다. UAM 기체와 서비스 운영에 대한 안전 및 인증 기준 개발 검토도 함께 수행할 예정이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아처의 기체 ‘미드나이트(Midnight)’ 50기에 대한 구매 의향을 전달했다고 전했다.

양측은 29일 국토교통부 세종청사에서 백원국 2차관과 국내 UAM 상용화 비전과 실증 사업을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도 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정부의 2026년 UAM 서비스 전국 확대 계획 시점에 맞춰, 카카오T 플랫폼 기술 및 운영 노하우를 바탕으로 ‘멀티모달(Multi-modal) 모빌리티’ 영역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방침이다.

류긍선 카카오모빌리티 대표는 “카카오모빌리티는 그랜드 챌린지 실증 사업을 성공적으로 완수하기 위해 업계 선도 기체사와 협력을 진행해 왔다”며 “아처는 미 공군과 1억4200만 달러 규모의 계약을 체결하는 등 UAM 기체 인증 및 양산을 가장 빠르게 할 것으로 기대되는 업체 중 하나인 만큼 긴밀히 협력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아처의 니킬 고엘 CCO는 “UAM 분야에서 완성도 높은 플랫폼 기술로 사용자 친화적인 멀티모달 서비스를 제공해 한국 내 성공적인 상용화 사례를 만들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필카부터 네 컷까지…'디토 감성' 추구하는 '포토프레스 세대'[Z탐사대]
  • 하반기에도 IPO 대어 더 온다…공모주 기대감 여전
  • 유사투자자문업, 정보·운영 제각각…8월 자본법 개정안 시행에 당국 부담도 ↑ [유사투자자문업 관리실태]②
  • SK그룹, 2026년까지 80조 원 확보… AI·반도체 등 미래 투자
  • [타보니] “나랑 달 타고 한강 야경 보지 않을래?”…여의도 130m 상공 ‘서울달’ 뜬다
  • ‘토론 망친’ 바이든, 대선 후보 사퇴 결정 영부인에 달렸다
  • 허웅 '사생활 논란'에 광고서 사라져…동생 허훈만 남았다
  • 박철, 전 아내 옥소리 직격…"내 앞에만 나타나지 말길"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6,595,000
    • +1.02%
    • 이더리움
    • 4,788,000
    • +0.52%
    • 비트코인 캐시
    • 543,000
    • +0.65%
    • 리플
    • 665
    • -0.6%
    • 솔라나
    • 202,200
    • +1.1%
    • 에이다
    • 542
    • -0.37%
    • 이오스
    • 803
    • +0.63%
    • 트론
    • 175
    • -1.13%
    • 스텔라루멘
    • 127
    • -0.78%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450
    • +0.48%
    • 체인링크
    • 19,320
    • +1.05%
    • 샌드박스
    • 459
    • -0.6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