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루엠, 전기차 충전기용 파워모듈 미국·유럽 인증 획득

입력 2024-05-30 14:2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30kW급, 유럽·미국 양대 글로벌 전기차 시장 교두보 확보

▲솔루엠 30kW급 전기차 충전기용 파워모듈로, 유럽 CE와 미국 UL을 모두 취득했다. (사진제공=솔루엠)
▲솔루엠 30kW급 전기차 충전기용 파워모듈로, 유럽 CE와 미국 UL을 모두 취득했다. (사진제공=솔루엠)

솔루엠은 국내 최초로 유럽 판매 인증(CE)을 취득한 30kW급 전기차 충전기용 파워모듈에 대해 미국 판매 인증(UL)을 추가로 확보했다고 30일 밝혔다.

UL은 미국의 대표적인 인증 기관으로, 전기·전자 제품의 안전성을 평가해 국가별 규격을 충족한 제품에만 판매 인증을 부여한다. 요구사항이 엄격할 뿐 아니라 인증 절차가 복잡하기로 유명하며, 인증 후에도 철저한 사후 관리를 제공해 미국 내 신뢰도가 높다.

이로써 솔루엠은 국산 전기차 충전기용 파워모듈의 유럽 수출 길을 개척한 데 이어 미국이라는 또 다른 글로벌 전기차 시장에 첫 이정표를 세웠다.

솔루엠이 국내 최초 타이틀로 얻는 수혜는 적지 않다. 미·중 간 관세 전쟁이 장기화하면서 기존 중국산 부품을 대체할 필요가 커졌고 이를 솔루엠이 채울 전망이다. 또한, 전기차 충전기용 파워모듈의 국내 UL 인증 레퍼런스를 만들어 내 업계로부터 또 한 번 국가 핵심 소부장의 국산화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솔루엠이 UL 인증으로 글로벌 판매 요건을 갖추게 됐다. 솔루엠 관계자는 "글로벌 탑티어 완성차 브랜드 및 전기차 충전기 제조사와 솔루엠 파워모듈을 적용해 제품 공동 개발을 앞두고 있다"며 "UL 인증 취득 전부터 중남미 전역에 그룹사를 둔 모 글로벌 기업으로부터 파워모듈을 공급해달라는 대규모 오퍼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 밖에도 파워모듈을 전기차 충전기 외의 초대형 파워 용량이 필요한 제품에 솔루엠 파워모듈을 적용해보려는 협업 제의도 많아 추가적인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장할 계획이다.

솔루엠의 30kW급 전기차 충전기 파워모듈은 8월 양산에 돌입한다. 전략형 모델인 50kW급은 단방향, 양방향, 공냉용, 수냉용 등 라인업을 다양화해 연내 국내외 인증을 취득할 계획이다.

솔루엠 관계자는 "이번 UL 인증으로 환경부가 주관하는 전기차 충전 인프라 구축 사업에 대해 모든 인증을 따냈고, 앞으로 국내 파워모듈 사업을 선도하는 선도기업이 되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필카부터 네 컷까지…'디토 감성' 추구하는 '포토프레스 세대'[Z탐사대]
  • 하반기에도 IPO 대어 더 온다…공모주 기대감 여전
  • 유사투자자문업, 정보·운영 제각각…8월 자본법 개정안 시행에 당국 부담도 ↑ [유사투자자문업 관리실태]②
  • SK그룹, 2026년까지 80조 원 확보… AI·반도체 등 미래 투자
  • [타보니] “나랑 달 타고 한강 야경 보지 않을래?”…여의도 130m 상공 ‘서울달’ 뜬다
  • ‘토론 망친’ 바이든, 대선 후보 사퇴 결정 영부인에 달렸다
  • 허웅 '사생활 논란'에 광고서 사라져…동생 허훈만 남았다
  • 박철, 전 아내 옥소리 직격…"내 앞에만 나타나지 말길"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6,551,000
    • +0.97%
    • 이더리움
    • 4,767,000
    • +0.15%
    • 비트코인 캐시
    • 542,500
    • +0.84%
    • 리플
    • 665
    • -0.3%
    • 솔라나
    • 201,100
    • +0.6%
    • 에이다
    • 541
    • -0.92%
    • 이오스
    • 802
    • +0.5%
    • 트론
    • 176
    • -0.56%
    • 스텔라루멘
    • 127
    • -0.78%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250
    • -0.08%
    • 체인링크
    • 19,260
    • +0.42%
    • 샌드박스
    • 458
    • -1.7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