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나스닥, 엔비디아 질주에 사상 첫 1만7000선 돌파…다우 0.55%↓

입력 2024-05-29 07:37 수정 2024-05-29 08:1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美 연준 금리 인하 지연 우려
장기 국채 금리 상승도 부담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5일 트레이더가 주가를 살피고 있다. 뉴욕(미국)/AFP연합뉴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5일 트레이더가 주가를 살피고 있다. 뉴욕(미국)/AFP연합뉴스

뉴욕증시가 28일(현지시간) 주요 기술주 강세 속에서 혼조세를 보였다. 나스닥지수는 처음으로 1만7000선을 돌파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지수는 전장보다 216.73포인트(0.55%) 하락한 3만8852.86에 장을 마감했다. S&P500지수는 전장 대비 1.32포인트(0.02%) 오른 5306.04에, 나스닥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99.08포인트(0.59%) 상승한 1만7019.88에 각각 거래를 끝냈다.

생성형 인공지능(AI) 최대 수혜주로 꼽히던 엔비디아를 비롯한 주요 기술주가 강세를 보였다. 엔비디아 주가는 이날 약 7% 급등해 시가총액이 2조8000억 달러를 돌파하면서 뉴욕증시 시가총액 2위인 애플과의 격차를 바짝 좁혔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개시 시기가 뒤로 밀린다는 관측에 일부 주력주에 매도세가 유입됐다. 미국 채권시장에서 장기 국채 금리가 상승한 것도 주가에 부담이 됐다. 다우지수의 하락 폭은 한때 360포인트를 넘었다.

닐 카시카리 미국 미니애폴리스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이날 미국 CNBC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더 많은 달에 걸쳐 (인플레이션 둔화를 보여주는) 밝은 지표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인플레이션이 떨어지지 않으면 금리 인상 가능성도 있다고 언급했다. 그는 “나를 비롯해 (연준 내에서) 누구도 금리 인상을 공식적으로 테이블에서 제외했다고 생각지 않는다”며 “현시점에서는 아무것도 배제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이어 “금리를 더 오래 동결하는 것이 더 가능성이 큰 결과”라고 설명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미국 연방기금 금리 선물시장 트레이더들은 연준이 9월 금리를 인하할 확률을 45.8%로 봤다. 지난주 65%에서 큰 폭 떨어진 것이다.

미국 소비자 신뢰도는 상승세를 나타냈다. 미국 콘퍼런스보드(CB)는 5월 미국 소비자신뢰지수가 102.0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달 수치인 97.5보다 개선된 것이며, 다우존스통신이 집계한 시장 예상치 96.0보다도 높다. 소비자신뢰지수는 지난달까지 석 달 연속 내렸으나 이달 들어 상승세로 전환됐다. 1년 후 예상 인플레이션율도 소폭 상승했다. 미국 경기가 여전히 견고함을 보이면서 인플레이션 둔화에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우려로 매도세가 유입된 측면도 있다.

미국 채권시장에서는 장기 국채금리가 한때 4.5%대까지 올랐다. 미국 소비자 신뢰감 지수 개선과 2년물 및 5년물 국채 입찰이 모두 수요 약세를 보임에 따라 채권 수익률이 상승했다. 이날 재무부는 1390억 달러 규모의 2년물과 5년물 국채를 입찰에 부쳤다. 2년물 국채의 응찰률은 2.41배로 앞선 6차례의 입찰 평균치 2.59배를 밑돌았다. 5년물 국채도 2.30배에 머무르면서 앞선 6번의 입찰 평균치 2.41배를 크게 하회했다.

업종별로는 의료와 산업 업종이 1% 이상 내렸다. 기술 업종과 에너지 업종은 각각 1.38%, 1.08% 상승했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보다 0.56포인트 오른 12.92를 나타냈다.

국제유가는 이날 주요 산유국들의 감산 연장 기대에 상승했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근원물일 7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 원유(WTI)는 전장 대비 2.11달러(2.71%) 상승한 배럴당 79.83달러에 장을 마감했다. 런던ICE선물거래소의 브렌트유 7월물 가격은 전장보다 1.12달러(1.4%) 오른 84.22달러에 거래를 끝냈다.

국제 금값은 5거래일 만에 반등했다.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거래 중심인 6월물 금은 전장보다 22.0달러(0.9%) 오른 온스당 2356.5달러에 폐장했다. 중동을 둘러싼 지정학적 리스크가 커지면서 상대적으로 안전자산으로 여겨지는 금 선물에 매수세가 유입됐다.

미국 채권시장에서는 소비심리가 개선된 데다 2년물과 5년물 입찰 결과가 모두 부진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채권 수급 악화에 대한 우려로 매도세가 우세했다. 10년물 금리는 전 주말 대비 0.09% 상승한 4.55%로 마감했다.

외환시장에서는 미국 소비자 체감 경기가 개선되면서 연준의 금리 인하가 늦어질 것이라는 전망에 달러 매수세가 우세했다. 달러·엔 환율은 이날 한때 달러당 157.20엔을 기록하면서 약 4주 만에 달러 강세·엔저 수준을 기록하기도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MZ세대, 최대 관심사도 스트레스 이유도 '돈' [데이터클립]
  • 한동훈·나경원·원희룡 릴레이 출사표…국민의힘 전당대회 '관전 포인트'는? [이슈크래커]
  • 단독 구광모도 픽한 ‘휴머노이드’…LG, ‘이노베이션 카운슬’서 집중 논의
  • 변우석, 드디어 '성덕' 됐다…손흥민 사인 티셔츠 받고 인증
  • '6만 달러' 비트코인, 이더리움 ETF 승인 앞두고 투심 급격히 얼어붙어 [Bit코인]
  • [종합] 엔비디아 6%대 급락에 뉴욕증시 혼조…나스닥 1.09%↓
  • 확 줄은 금융권 희망퇴직…신규 채용문도 굳게 닫혔다
  • 비급여치료 '우후죽순'…과잉진료 '대수술' [멍든 실손보험上]
  • 오늘의 상승종목

  • 06.2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6,314,000
    • -1.59%
    • 이더리움
    • 4,756,000
    • +0.4%
    • 비트코인 캐시
    • 527,500
    • +1.05%
    • 리플
    • 671
    • +0.6%
    • 솔라나
    • 191,600
    • +9.05%
    • 에이다
    • 550
    • +4.56%
    • 이오스
    • 808
    • +3.72%
    • 트론
    • 171
    • +3.01%
    • 스텔라루멘
    • 128
    • +1.59%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800
    • +0.48%
    • 체인링크
    • 19,710
    • +7.47%
    • 샌드박스
    • 466
    • +4.4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