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니냐 온다”…농산물·천연가스 투자 기지개

입력 2024-05-20 16:4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대두·옥수수·밀 ETF 부진 탈피
천연가스 ETN 수익률 高행진
“원자재 레짐 체인지 베팅해야”

올해 하반기 라니냐 현상이 발생할 것이라는 관측에 힘이 실리며 농산물과 천연가스 관련 투자상품 수익률이 기지개를 켜고 있다.

2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달 22일부터 이날까지 KODEX 3대농산물선물(H) 상장지수펀드(ETF)는 8.05% 상승했다. TIGER 농산물선물Enhanced(H), KODEX 콩선물(H) ETF도 각각 6.05%, 5.89% 올랐다.

천연가스 상장지수증권(ETN)은 전체 ETN 중 수익률 상위권을 싹쓸이했다. 같은 기간 메리츠 블룸버그 2X 천연가스 선물(H) B는 60.06% 급등했다. QV 블룸버그 2X 천연가스 선물(H)(58.82%), 대신 S&P 2X 천연가스 선물 B(58.24%), KB 블룸버그 레버리지 천연가스 선물(57.36%) 등도 치솟았다.

올해 들어 대두, 옥수수, 밀 등 농산물 가격은 엘니뇨 현상으로 부진한 흐름을 나타내며 ‘에브리싱 랠리’에서 소외된 바 있다. 최근 라니냐 전망이 나오며 관련 파생상품도 바닥을 찍고 상승세를 타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미국 기후예측센터(CPC/IRI)는 라니냐 발생 시점을 기존 10~12월에서 6~8월로 당겼다.

통상 라니냐가 생기면 북미에는 강추위를, 남미에는 가뭄을 각각 유발하며 국제 곡물 가격을 밀어 올린다. 이는 관련 파생상품 투자자들에게는 기회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다만 곡물 가격이 치솟아 일반 물가가 상승하는 ‘애그플레이션(agflation)’이 나타날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천연가스는 라니냐 현상의 최대 수혜 원자재로 꼽힌다. 국제 천연가스 가격은 난방 수요가 큰 연말부터 이듬해 초까지 오르다 엘니뇨가 확산하며 하락 폭을 키웠던 바 있다. 이런 상황은 인공지능(AI) 열풍으로 반전됐다.

AI 훈풍으로 전력 수요가 급증이 예상되자 주요 에너지원인 천연가스 가격은 상승 동력을 받았다. 이에 더해 라니냐 도래에 따른 북반구 한파 관측에 난방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점쳐지며, 천연가스 가격은 오를 여력이 더 있을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최진영 대신증권 연구원은 “연말로 갈수록 본격화될 라니냐는 원자재로의 ‘레짐 체인지’를 촉진할 것”이라며 “엘니뇨 시에는 코코아, 원당, 커피 등으로 구성된 소프트 섹터가 강하지만, 라니냐 시에는 원자재 펀드 내 가중치가 가장 큰 곡물, 에너지, 산업금속 섹터가 강해져 그 변화에 베팅할 시점”이라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올해 여름휴가는 짧게 국내로 가요" [데이터클립]
  • 23명 사망한 참혹한 현장…화성공장 화재, 인명피해 왜 커졌나 [이슈크래커]
  • 단독 ‘묻지마 현지법인’ 탓에…이마트24, 싱가포르서 철수
  • 합참 "북한, 동해상으로 탄도미사일 발사…실패 추정"
  • 4.5세대? 5세대?…올림픽 마냥 4년 만에 돌아온 개정 시그널 [멍든 실손보험中]
  • [종합] 엔비디아 6%대 반등 속 뉴욕증시 또 혼조…나스닥 1.26%↑
  • 확 줄은 금융권 희망퇴직…신규 채용문도 굳게 닫혔다
  • 비급여치료 '우후죽순'…과잉진료 '대수술' [멍든 실손보험上]
  • 오늘의 상승종목

  • 06.2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7,180,000
    • +2.33%
    • 이더리움
    • 4,787,000
    • +1.21%
    • 비트코인 캐시
    • 547,000
    • +8.75%
    • 리플
    • 672
    • +0.3%
    • 솔라나
    • 192,400
    • +3.33%
    • 에이다
    • 552
    • +3.37%
    • 이오스
    • 812
    • +1.25%
    • 트론
    • 173
    • +2.98%
    • 스텔라루멘
    • 129
    • +3.2%
    • 비트코인에스브이
    • 64,700
    • +4.69%
    • 체인링크
    • 20,060
    • +4.32%
    • 샌드박스
    • 475
    • +3.0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