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대중국 관세 인상, 표면적 영향 크지 않아…초당적 중국 때리기는 부담”[차이나 마켓뷰]

입력 2024-05-17 08:2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출처=신한투자증권)
(출처=신한투자증권)

신한투자증권은 중국산 전기차 관세율 100% 인상 등 미국 정부의 중국산 수입품 관세 인상 발표를 두고 표면적 영향은 크지 않지만, 대선을 앞두고 당을 가리지 않는 ‘중국 때리기’가 지속할 수 있는 부분은 중국 증시에 부담이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14일(현지시간) 미국 조 바이든 행정부는 무역법 301조에 의거, 핵심 전략산업의 중국산 수입품 관세 인상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중국산 전기차 관세율은 현행 25%에서 100%로, 이차전지는 7.5%에서 25%로 인상하고, 철강과 알루미늄은 0~7.5%에서 25%로, 반도체는 내년부터 25%에서 50%로 올릴 예정이다.

신승웅 신하투자증권 연구원은 “1차 무역전쟁 여파로 미국의 중국산 수익품 평균 관세율은 19.3%에 달한다. 전체 중국 수입품의 66.4%에 관세가 부과돼 중국의 대미수출은 상당 부분 위축됐다”며 “미국 대선의 두 후보 모두 중국 때리기에 집중해 2차 무역전쟁 우려가 고조되고 있다”고 짚었다.

그는 “다만, 이번 조치가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크지 않다는 판단이다. 관세 인상 대상 규모는 약 180억 달러(약 24조6000억 원)로 지난해 기준 전체 미국향 수출의 3.6%에 불과하다”며 “더군다나 관세율이 오른 품목들은 미국향 수출 비중이 낮고, 반대로 중국발 수입 비중도 낮아 미국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다. 미국 정부가 선별적 관세 인상을 단행한 이유”라고 설명했다.

신 연구원은 “중국에 타격이 큰 품목인 이차전지다. 지난해 기준 미국향 수출 비중은 20.9%로 EU 다음으로 많이 차지한다”며 “비야디, CATL 등 중국 전기차·이차전지 업체는 멕시코에 생산기지를 설립해 우회수출을 시도할 계획이나 이마저도 불확실해 결국 중국 업체가 EU와 아세안 진출을 우선하는 전략을 추진할 공산이 크다”고 말했다.

그는 “전날 CSI300 지수는 0.8% 하락 마감하고, 관련 섹터도 약세를 보였으나 낙폭은 크지 않았다. 경제적 손실이 크지 않고 미국의 대중국 규제에도 어느 정도 면역력이 형성된 까닭”이라며 “다만, 11월 대선을 앞두고 초당적 중국 때리기는 지속할 공산이 커 주식시장에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이므로 불확실성에 대비한 면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망곰이 유니폼, 제발 팔아주세요"…야구장 달려가는 젠지, 지갑도 '활짝' [솔드아웃]
  • "돈 없어도 커피는 못 참지" [데이터클립]
  • 네이버웹툰, 나스닥 첫날 9.52% 급등…김준구 “아시아 디즈니 목표, 절반 이상 지나”
  • 사잇돌대출 공급액 ‘반토막’…중·저신용자 외면하는 은행
  • [종합] 바이든 vs트럼프 ‘TV토론 진흙탕 싸움’…주요 쟁점은?
  • 임영웅, 레전드 예능 '삼시세끼' 출격…"7월 중 촬영 예정"
  • '손웅정 사건' 협상 녹취록 공개…"20억 불러요, 최소 5억!"
  • 9월까지 김포골드라인 열차 5대 증편, 배차간격 줄여 수송력 20%↑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6,240,000
    • +0.95%
    • 이더리움
    • 4,837,000
    • +1.96%
    • 비트코인 캐시
    • 548,500
    • +4.88%
    • 리플
    • 668
    • +1.52%
    • 솔라나
    • 203,200
    • +6.39%
    • 에이다
    • 543
    • +1.69%
    • 이오스
    • 819
    • +1.99%
    • 트론
    • 171
    • -1.72%
    • 스텔라루멘
    • 128
    • +1.59%
    • 비트코인에스브이
    • 63,500
    • +2.92%
    • 체인링크
    • 19,940
    • +3.91%
    • 샌드박스
    • 472
    • +1.7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