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기점 ‘소비 반등’ 예고…정부 ‘상저하고’ 지탱 기대

입력 2023-10-22 08:5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소비 전반 증가 추세”…방한 中관광객 급증 ‘내수 진작’ 기여 예상

▲서울 중구 명동거리가 관광객들로 활기를 띄고 있다. 고이란 기자 photoeran@ (이투데이DB)
▲서울 중구 명동거리가 관광객들로 활기를 띄고 있다. 고이란 기자 photoeran@ (이투데이DB)

지난달을 기점으로 소비 전반이 되살아날 가능성이 커지면서 우리 경제의 '상저하고(상반기 경기 둔화·하반기 경기 반등)' 흐름을 지탱해 줄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22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올해 8월 서비스생산은 전월보다 0.3% 늘면서 3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다만 소비 동향을 보여주는 소매판매는 승용차를 비롯한 내구재와 의류 등 준내구재의 소비가 줄어 전월보다 0.3% 감소했다. 2개월 연속 감소세가 지속됐지만 감소 폭은 전월(-3.3%)보다는 크게 줄었다.

기재부 관계자는 "8월 재화 측면의 소매판매 감소세가 지속되긴 했지만 서비스 생산까지 고려하면 전반의 소비는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기재부는 긴 추석 연휴가 있었던 지난달을 기점으로 완만한 소비 개선 흐름이 나타날 것으로 보고 있다. 서비스 생산 지속과 카드 결제액 확대 등을 고려한 결과다.

지난달 1~25일 일평균 카드결제액은 3조600억 원으로 전월 한달(2조8800억 원)보다 1조8000억 원 많은 상태다. 여기에 8월 중국 정부의 방한(訪韓) 단체관광 재개 조치에 따른 중국인 관광객 확대도 내수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정부는 기대하고 있다.

지난달 방한 중국인 관광객 수는 1년 전보다 810.9% 늘어나는 등 매달 800% 이상 증가율을 기록하고 있다.

최근 중소벤처기업연구원은 보고서를 통해 올해 방한 중국인 관광객 규모가 약 181만~349만 명이 될 것으로 추정했으며, 이에 따른 잠재 소비 증가액은 약 3조5992억~6조9584억 원으로 추산했다.

이에 앞서 8월 한국은행은 중국인의 한국 단체관광 재개 시 올해 우리나라 경제 성장률을 0.06%포인트(p) 정도 끌어 올릴 것이라고 분석한 바 있다.

이처럼 정부가 내수 진작에 기대를 거는 것은 소비 개선이 수출 감소 장기화로 인한 경기 둔화를 상쇄할 수 있다는 판단이 자리 잡고 있다.

정부는 반도체 산업 회복 등으로 우리 경제가 상반기보다 하반기에 나아지는 '상저하고' 전망을 고수하고 있지만 글로벌 통화긴축·고물가·고유가 등의 대외 불확실성이 지속되면서 하반기에도 경기 둔화를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정부가 바라는 대로 내수 활성화가 이뤄지면 이러한 악재들을 어느 정도 방어할 수 있는 셈이다.

다만 소비 개선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는 불안 요인도 존재한다. 다시 발발한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이 더욱 격화돼 고유가 기조가 심화되면 물가 부담이 커져 소비 지출 여력이 떨어질 수 있어서다.

정부는 전쟁 상황에 따라 국제유가 급등과 이로 인한 실물경제 및 금융·외환시장 등의 변동성이 크게 확대될 우려가 있는 만큼 이를 예의주시하고, 필요 시 적기 대응할 방침이다.

특히 민생·물가 안정을 위해 이달 말 종료예정인 유류세 인하 조치 및 경유·천연가스 유가연동보조금을 연말까지 한시 연장하고, 국제유가 변동성 확대에 편승한 가격 인상이 없도록 현장점검을 더욱 강화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올해 여름휴가는 짧게 국내로 가요" [데이터클립]
  • 23명 사망한 참혹한 현장…화성공장 화재, 인명피해 왜 커졌나 [이슈크래커]
  • 손웅정 감독, 아동학대 혐의 피소…"사랑 없는 행동 없었다"
  • 마운트곡스 악재에 '쇼크' 온 비트코인, 6만1000달러로 소폭 상승 [Bit코인]
  • 4.5세대? 5세대?…올림픽 마냥 4년 만에 돌아온 개정 시그널 [멍든 실손보험中]
  • [종합] 엔비디아 6%대 반등 속 뉴욕증시 또 혼조…나스닥 1.26%↑
  • "황재균 이혼한 거 알아?"…뜬금없는 이혼설 중계에 지연 측 "사실무근"
  • 단독 ‘묻지마 현지법인’ 탓에…이마트24, 싱가포르서 철수
  • 오늘의 상승종목

  • 06.26 12:04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7,558,000
    • +2.14%
    • 이더리움
    • 4,808,000
    • +1.8%
    • 비트코인 캐시
    • 557,000
    • +5.19%
    • 리플
    • 672
    • +0.15%
    • 솔라나
    • 196,200
    • +4.47%
    • 에이다
    • 556
    • +2.02%
    • 이오스
    • 814
    • +1.5%
    • 트론
    • 172
    • +1.18%
    • 스텔라루멘
    • 129
    • +2.38%
    • 비트코인에스브이
    • 64,950
    • +3.42%
    • 체인링크
    • 20,120
    • +2.65%
    • 샌드박스
    • 477
    • +3.0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