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퇴근’ 서울시민 “승용차·지하철·버스 중 ‘차(車)’ 가장 가치 있어”

입력 2023-04-25 06: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서울연구원 ‘서울시민 통행시간 사용 리포트’ 결과 발표

매일 2시간 동안 출퇴근하는 서울 시민들은 승용차를 활용한 통행 활동에 가장 큰 가치를 부여하며 매월 1만8000원을 지불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하철에서의 활동에서는 월 1만6000원, 버스는 월 1만1000원의 가치가 있다고 인식했다.

25일 서울연구원은 '서울시민 통행시간 사용 리포트’를 주제로 '서울연구원 정책포럼'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포럼은 출퇴근‧등하교를 하는 서울시민 1000명을 대상으로 '다양한 교통수단으로 통근하며 수행하는 활동에 얼마나 금전적인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는지'를 설문한 결과를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설문 조사에 따르면 승용차로 왕복 2시간 출퇴근 통행을 하는 시민들은 월 1만8000원 이상의 가치가 있다고 응답했다. 지하철로 통행하는 시민들은 한 달간 약 1만6000원의 금전적 가치를 부여했고, 버스 이용자는 동기간 약 1만1000원의 가치를 부여했다.

이창 서울연구원 연구위원은 "승용차가 쾌적한 환경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시민들은 승용차에서의 통행 중 활동에 가장 높은 가치를 부여했다"며 "대중교통 중심의 서울시 기존 정책 방향을 유지하고 승용차 경쟁력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대중교통 통행 환경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승용차에서 동영상을 보는 것에 대한 가치는 1만1573원으로, 지하철에서 게임하기(1만428원)와 독서하기(1만487원)보다 큰 것으로 조사됐다. 다만 지하철에서 주식 정보 습득하기(1만3014원)는 승용차에서 음악 듣기(9428원)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는 20·30대가 통행 중 활동에 가장 큰 가치를 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제공=서울연구원)
(자료제공=서울연구원)

연구원은 △20·30대를 대상으로 대중교통 환경 개선 △지하철 내부 환경 개선 △버스의 열악한 환경 개선 등의 해결 방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포럼은 개회사, 주제 발표, 지정토론, 질의응답 및 종합토론 순으로 진행된다. 지정토론 세션에는 고준호 한양대학교 교수, 김도경 서울시립대학교 교수, 김동성 서울공공투자관리센터 연구위원이 토론자로 참여한다.

박형수 서울연구원장은 “이번 포럼으로 통행 중 활동에 대한 가치를 재정립하는 등 통행에 대한 새로운 지식을 통해 정책 아이디어와 사회적 기회를 창출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며 “특히 대중교통 이용에 따른 혜택을 서울시민에게 상기함으로써 대중교통 활성화에 공헌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10명 중 8명 "하반기 경영여건 어렵다"…관치보다 '정치금융' 더 압박[금융사 CEO 설문조사]
  • K 붙은 식음료·뷰티 ETF 모두 잘 나가는데…‘이 K’는 무슨 일?
  • “이젠 싼 맛 말고 제맛”…K브랜드로 中독 벗어난다
  • "청약 기회 2년 날렸다"…공사비 급등에 또 취소된 사전청약 사업
  • [뉴욕인사이트] 고용 지표에 쏠리는 눈…하반기 황소장 이어가나
  • “잠재력만 봅니다” 부실 상장·관리 여전...파두·시큐레터 투자자 ‘피눈물’ [기술특례상장 명과 암②]
  • 유사투자자문업, 정보·운영 제각각…8월 자본법 개정안 시행에 당국 부담도 ↑ [유사투자자문업 관리실태]②
  • 서울 지하철 3호선 대치역서 배터리 화재…"현재 정상운행 중"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8,174,000
    • +2.86%
    • 이더리움
    • 4,832,000
    • +1.75%
    • 비트코인 캐시
    • 553,000
    • +3.27%
    • 리플
    • 669
    • +0.6%
    • 솔라나
    • 205,600
    • +4.26%
    • 에이다
    • 552
    • +2.03%
    • 이오스
    • 810
    • +1.63%
    • 트론
    • 176
    • +0%
    • 스텔라루멘
    • 128
    • +0.79%
    • 비트코인에스브이
    • 63,150
    • +2.43%
    • 체인링크
    • 20,000
    • +5.1%
    • 샌드박스
    • 465
    • +1.0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