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희연 “서울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수준으로 발전시킬 것”

입력 2023-03-14 13:5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2025년, 특성화고 64개교 서울형 마이스터고로 전환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이 14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서울시교육청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뉴시스)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이 14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서울시교육청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뉴시스)

서울시교육청이 2025년까지 서울 지역 특성화고를 마이스터고(산업수요 맞춤형고) 수준으로 발전시키는 '서울형 마이스터고' 정책을 도입한다.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은 14일 서울시교육청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디지털 전환, 학령 인구 감소 등 미래 사회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서울의 특성화고를 마이스터 수준으로 발전시키고자 한다"며 이 같은 계획을 밝혔다.

서울에는 현재 특성화고 70개(덕수고·성수공고 등 2곳은 내년에 폐교)와 마이스터고 4개가 있다. 특성화고는 교육과 현장실습 등 체험 위주의 교육을 실시하는 학교이며, 마이스터고는 산업수요에 맞춘 직업교육을 보다 강화한 학교다.

조 교육감은 "서울형 마이스터고의 가장 큰 특징은 산업변화에 대응하는 고숙련 실무인재 양성을 위한 반도체, 디지털 등 신산업·신기술 분야에 대한 교육을 강화하는 것"이라며 "교육청이 개발하는 체계적인 연차별 성과관리 시스템을 통해 교육 수준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겠다"고 강조했다.

조 교육감은 내년까지 선도학교 20개교를 시범운영하고, 평가 결과에 따라 2025년 64개 특성화고를 서울형 마이스터로고 전환하겠다는 계획을 제시했다.

서울교육청은 또한 직업교육을 강화하기 위해 AI융합 진로직업교육원(가칭) 설립을 추진하고 반도체 전문인력 양성 거점학교를 운영하기로 했다.

AI융합 진로직업교육원에서는 단위학교의 진로교육과 신산업·신기술 교육 지원, 미래 첨단기술 분야 교원의 현장 전문성 향상 연수를 위해 4차 산업 신기술 교육장을 구축하는 한편, 초·중·고 대상 진로직업교육과 직업체험활동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반도체 거점학교는 올해 2개를 시작으로 2025학년도까지 총 6개를 선정해 운영할 계획이다. 서울교육청은 반도체 마이스터고 1개교 설립도 추진 중이다. 또한 블록체인 분산신원인증(DID) 기술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학생증을 전국 최초로 서울 직업계고에 도입할 예정이다.

한편,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이 최근 학교폭력 피해자들의 기숙형 교육기관인 ‘해맑음센터’ 서울 이전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점에 대해서 서울시교육청은 ‘With Wee센터’ 등 서울 내 학교폭력 지원체계가 이미 구축되어 있고, 장소를 이전할 부지도 없어 어려울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이외에도 '서울시교육청 기초학력 보장지원에 관한 조례'가 최근 서울시의회를 통과한 것과 관련해 조 교육감은 "진단 결과 공개 조항 자체가 의무 조항은 아니지만, 결과를 지역별·학교별로 공개하는 것은 우려하고 있다"며 "여러 의견을 종합해서 재의 요구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필카부터 네 컷까지…'디토 감성' 추구하는 '포토프레스 세대'[Z탐사대]
  • 신생아 특례대출 기준 완화…9억 원 이하 분양 단지 '눈길'
  • 네이버웹툰, 나스닥 첫날 9.52% 급등…김준구 “아시아 디즈니 목표, 절반 이상 지나”
  • 사잇돌대출 공급액 ‘반토막’…중·저신용자 외면하는 은행
  • ‘예측 불가능’한 트럼프에…'패스트 머니' 투자자 열광
  • 임영웅, 레전드 예능 '삼시세끼' 출격…"7월 중 촬영 예정"
  • '손웅정 사건' 협상 녹취록 공개…"20억 불러요, 최소 5억!"
  • 롯데손보, 새 주인은 외국계?…국내 금융지주 불참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5,740,000
    • +0.23%
    • 이더리움
    • 4,763,000
    • -0.04%
    • 비트코인 캐시
    • 538,500
    • -1.46%
    • 리플
    • 667
    • +0%
    • 솔라나
    • 200,000
    • -0.05%
    • 에이다
    • 547
    • -1.08%
    • 이오스
    • 800
    • -3.96%
    • 트론
    • 177
    • +2.31%
    • 스텔라루멘
    • 129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550
    • -1.65%
    • 체인링크
    • 19,200
    • -3.81%
    • 샌드박스
    • 466
    • -2.5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