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전기열차 개발 성공, 1회 충전 600㎞ 이상 주행

입력 2022-12-27 11: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노후 디젤열차 대체, 인프라 비용 절감ㆍ안전사고 예방 장점

▲수소전기열차 시험차량. (사진제공=국토교통부)
▲수소전기열차 시험차량. (사진제공=국토교통부)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한국철도공사(코레일), 우진산전 등 7개 기관이 수소전기열차 개발에 성공했다. 상용화에 성공하면 1회 충전 시 600㎞ 이상 주행이 가능해 노후 디젤열차를 대체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토교통부와 철도기술연구원은 국가 연구개발(R&D)을 통해 친환경 수소전기열차 시험차량(시제품) 개발에 성공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R&D는 철도수송부문 온실가스 배출 저감, 비전철화 구간에서 전력설비 없이 운행이 가능한 수소연료전지 기반 하이브리드 추진시스템 기술개발과 운용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추진됐다.

철도기술연구원이 주관기관을 맡고 우진산전이 차량 제작, 코레일이 운영기술을 개발하는 등 7개 기관이 참여했으며 2018년부터 5년간 257억 원(국비 220억 원)이 투입됐다.

수소전기열차는 수소연료전지와 2차전지를 기반으로 하이브리드 동력시스템(1.2MW)을 탑재하고 소비에너지 최적화를 위한 스마트에너지관리 시스템 등이 적용됐다.

또 수소충전에 필요한 충전시설을 규제유예제도를 통해 구축하고 철도차량 전용 수소충전소 구축 방안 및 기술기준(안)도 마련했으며 연구목표로 제시된 운행 최대속도 110㎞/h 이상, 1회 충전으로 600㎞ 이상 주행이 가능하다.

수소전기열차는 물 이외의 오염물질이 전혀 배출되지 않는 무탄소 철도차량이다. 특히 ‘독립전원’ 방식으로 전차선, 변전소 등 전기시설이 필요하지 않아 전력인프라 건설비용 및 유지보수 비용 절감, 감전 등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현재 글로벌 시장은 초기 단계로 프랑스(독일에서 운행 중) 외 상용화 사례가 없고 대부분 기술개발 단계에 있어 상용화 기술이 개발되면 국내기업의 시장선점 효과와 함께 노후 디젤열차를 점진적으로 대체해서 에너지 효율, 온실가스 감축 등 탄소중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정채교 국토부 철도안전정책관은 “수소전기열차 개발로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수소모빌리티 영역이 철도분야까지 확대되는 첫걸음을 내딛게 됐다”며 "향후 상용화를 위한 실증사업과 기술기준을 제정하고 글로벌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기술개발 투자도 지속해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10명 중 8명 "하반기 경영여건 어렵다"…관치보다 '정치금융' 더 압박[금융사 CEO 설문조사]
  • K 붙은 식음료·뷰티 ETF 모두 잘 나가는데…‘이 K’는 무슨 일?
  • 예금자보호한도 상향 논의 재점화…올해는 바뀌나
  • "청약 기회 2년 날렸다"…공사비 급등에 또 취소된 사전청약 사업
  • 필카부터 네 컷까지…'디토 감성' 추구하는 '포토프레스 세대'[Z탐사대]
  • 하반기에도 IPO 대어 더 온다…공모주 기대감 여전
  • 유사투자자문업, 정보·운영 제각각…8월 자본법 개정안 시행에 당국 부담도 ↑ [유사투자자문업 관리실태]②
  • SK그룹, 2026년까지 80조 원 확보… AI·반도체 등 미래 투자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8,243,000
    • +2.82%
    • 이더리움
    • 4,840,000
    • +1.77%
    • 비트코인 캐시
    • 553,500
    • +3.17%
    • 리플
    • 669
    • +0.6%
    • 솔라나
    • 206,200
    • +4.35%
    • 에이다
    • 552
    • +1.85%
    • 이오스
    • 813
    • +2.26%
    • 트론
    • 175
    • -1.13%
    • 스텔라루멘
    • 127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63,400
    • +2.92%
    • 체인링크
    • 20,090
    • +5.63%
    • 샌드박스
    • 467
    • +1.5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