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여파에도 캠핑 인기 여전…캠핑산업 규모 전년 대비 8.2%↑

입력 2022-09-06 16:2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한국관광공사)
(한국관광공사)

코로나19 팬데믹 이후에도 캠핑 인기는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6일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가 발표한 ‘2021 캠핑이용자 실태조사’에 따르면 2021년 캠핑산업 추정 규모는 6조3000억 원으로 전년(5조 8000억 원) 대비 8.2% 증가했다. 총캠핑이용자 수는 같은기간 534만 명에서 523만 명으로 2.0% 감소했지만, 가구당 1회 캠핑 지출액은 39만4000원에서 46만5000원으로 18% 증가했다. 이는 캠핑이 전문화·고급화됐음을 의미한다.

캠핑이용자들이 가장 많이 방문한 지역은 전년에 이어 ‘경기(26.1%)’가 꼽혔다. 이어 강원(18.3%), 경남(6.6%), 충남(6.4%) 순으로 나타났다. 캠핑 동반자 유형은 가족이 72.4%로 가장 많았고, 친구(37.7%), 연인(20.7%)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반려동물을 키우는 캠핑이용자 중 69.2%는 캠핑 시 반려동물을 동반한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캠핑의 새로운 트렌드로 떠오른 차박(자동차 숙박) 이용률은 4%였다. 캠핑장 선택 시 중요 고려 요인(5점 만점)으로는 화장실, 샤워시설 등 편의시설 청결관리가 4.42점으로 가장 높았고, 캠핑장 안전관리(4.22점)가 그 뒤를 이었다.

도서 시장에서도 캠핑은 인기다. ‘캠핑을 100% 즐기는 100가지 방법’, ‘유럽 캠핑 30일’, ‘열두 달의 가족캠핑’, ‘애견동반 감성캠핑’ 등 캠핑 관련 실용서부터 만화, 에세이까지 그 소재와 종류도 다양해졌다.

교보문고 여행 서적 카테고리를 살펴보면, 올 1월부터 8월까지 캠핑 서적만 20권 넘게 출간됐다. 특히 실용서의 경우 캠핑의 개요와 역사, 장비, 요리, 국내 관련 행사, 캠핑장 정보, 해외 캠핑 방법 등 다채로운 정보가 담긴 가이드북이 많았다. 아울러 반려동물과 캠핑을 소재로 한 서적도 눈에 띄었다.

한 출판 관계자는 “캠핑 관련 산업과 콘텐츠가 계속 성장하는 이유는 삭막한 도심을 벗어나 교외에서 여유를 만끽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밭멍’, ‘논멍’, ‘불멍’ 등 용어가 등장한 배경도 같은 이유”라며 “이에 따라 캠핑 관련 서적도 점차 세분화하고 있다. 캠핑족들의 성격과 유형이 각각 다르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필카부터 네 컷까지…'디토 감성' 추구하는 '포토프레스 세대'[Z탐사대]
  • 신생아 특례대출 기준 완화…9억 원 이하 분양 단지 '눈길'
  • 네이버웹툰, 나스닥 첫날 9.52% 급등…김준구 “아시아 디즈니 목표, 절반 이상 지나”
  • 사잇돌대출 공급액 ‘반토막’…중·저신용자 외면하는 은행
  • ‘예측 불가능’한 트럼프에…'패스트 머니' 투자자 열광
  • 임영웅, 레전드 예능 '삼시세끼' 출격…"7월 중 촬영 예정"
  • '손웅정 사건' 협상 녹취록 공개…"20억 불러요, 최소 5억!"
  • 롯데손보, 새 주인은 외국계?…국내 금융지주 불참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5,786,000
    • -0.18%
    • 이더리움
    • 4,784,000
    • -0.48%
    • 비트코인 캐시
    • 544,500
    • -1.45%
    • 리플
    • 670
    • +0.6%
    • 솔라나
    • 199,600
    • -1.48%
    • 에이다
    • 555
    • +2.78%
    • 이오스
    • 823
    • +0.73%
    • 트론
    • 175
    • +2.34%
    • 스텔라루멘
    • 129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63,200
    • -1.17%
    • 체인링크
    • 19,680
    • -1.11%
    • 샌드박스
    • 477
    • +1.4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