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매수권자’ KG그룹 컨소시엄 VS ‘FI와 돌아온’ 쌍방울그룹… 쌍용차 인수전 2파전 압축

입력 2022-06-09 15:5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연합뉴스
▲연합뉴스

쌍용자동차 인수전이 KG그룹 컨소시엄과 ‘쌍방울 그룹의 이파전으로 굳어지는 양상이다. 조건부 인수합병(M&A)인 스토킹 호스 방식으로 진행되는 이번 매각에서 유리한 고지를 차지한 것은 우선매수권을 가지고 있는 KG그룹 컨소시엄으로 평가된다.

다만 쌍방울그룹이 복수의 재무적 투자자(FI)와 손잡고, 앞서 우선매수권자 선정 입찰 과정에서보다 큰 금액을 쌍용차 측에 제안하면서 막판 변수가 생길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쌍용차 매각전의 시계는 가고 있다. 9일 이투데이 취재를 종합하면 쌍용차 매각 주관사 EY한영회계법인은 이날 오후 3시까지 인수의향서(LOI)를 접수 받았다.

EY한영은 이후 인수의향서를 제출한 참가자를 대상으로 24일 오후 3시까지 인수제안서를 접수받고, 쌍용차 측은 최종적으로 인수자를 결정하게 된다.

우선매수권 확보에 실패한 쌍방울그룹은 본 입찰에서 반전을 기대한다. 쌍방울그룹은 복수의 재무적 투자자(FI)와 연합전선을 이뤄 시장의 자금 조달 우려를 불식하겠다는 계획이다.

쌍방울그룹은 경쟁자인 KG그룹 컨소시엄에 비해 자금 조달 능력이 밀린다는 평가를 줄곧 받아왔다. FI와 맞손을 잡은 쌍방울그룹은 앞서 스토킹호스 선정 과정에서 제시한 인수대금을 상회하는 4000억 원 이상을 금액을 인수제안서에 써 낼 것으로 예상된다.

쌍방울그룹 관계자는 “앞서 자력으로 자금을 마련해 입찰에 참여했던 것과 다르게, 이번엔 FI들과 힘을 합쳐 입찰에 참여한다”며 “시장에서 쌍용차 인수 이후 자금 조달 여력에 대한 의구심이 있었던 만큼, 이를 해소하기 위함”이라고 했다.

다만 FI에 대해서는 “밝힐 수 없는 단계”라고 짧게 답했다.

유리한 고지를 점하고 있는 KG그룹 컨소시엄은 예정대로 쌍용차 인수 작업을 차질 없게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쌍용차 측은 이미 KG그룹 컨소시엄과 조건부 투자계약을 맺은 상태다. 더 좋은 계약 조건을 제시하는 인수 후보자가 없으면 쌍용차 최종 인수자로 확정된다.

KG그룹 관계자는 “풍부한 자금력과 과거 인수합병 경험, 진정성 등이 반영돼 인수 예정자가 됐다”며 “남은 입찰 일정을 잘 마무리하고, 자동차 산업 발전과 일자리 창출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필카부터 네 컷까지…'디토 감성' 추구하는 '포토프레스 세대'[Z탐사대]
  • 신생아 특례대출 기준 완화…9억 원 이하 분양 단지 '눈길'
  • 네이버웹툰, 나스닥 첫날 9.52% 급등…김준구 “아시아 디즈니 목표, 절반 이상 지나”
  • 사잇돌대출 공급액 ‘반토막’…중·저신용자 외면하는 은행
  • ‘예측 불가능’한 트럼프에…'패스트 머니' 투자자 열광
  • 임영웅, 레전드 예능 '삼시세끼' 출격…"7월 중 촬영 예정"
  • '손웅정 사건' 협상 녹취록 공개…"20억 불러요, 최소 5억!"
  • 롯데손보, 새 주인은 외국계?…국내 금융지주 불참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5,683,000
    • -0.49%
    • 이더리움
    • 4,766,000
    • -0.89%
    • 비트코인 캐시
    • 541,000
    • -2.17%
    • 리플
    • 670
    • -0.15%
    • 솔라나
    • 199,700
    • -2.06%
    • 에이다
    • 555
    • +2.4%
    • 이오스
    • 819
    • -0.12%
    • 트론
    • 176
    • +2.92%
    • 스텔라루멘
    • 129
    • -0.77%
    • 비트코인에스브이
    • 63,150
    • -1.79%
    • 체인링크
    • 19,520
    • -1.76%
    • 샌드박스
    • 474
    • +0%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