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스트&워스트] 혜인, 우크라이나 재건 수혜주로 꼽히며 56%↑

입력 2022-05-21 14:4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출처=에프앤가이드)
(출처=에프앤가이드)

이번 주(5월 16~20일) 코스피지수는 전주 대비 35.05포인트 오른 2639.29에 마감했다. 투자자별로는 개인이 7471억 원 순매도한 반면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3524억 원, 4291억 원 순매수했다.

혜인, EU 우크라이나 재건 지원 소식에 56.30% '급등'

21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 한 주간 유가증권시장에서 가장 많이 오른 종목은 혜인으로, 전주 대비 56.30% 급등한 1만50원을 기록했다.

혜인은 유럽연합(EU)의 우크라이나 재건 지원 소식에 관련주로 꼽히며 강세를 나타냈다.

혜인은 건설기계 제조업체 캐터필라, 멧초, 융하인리히 등의 제품을 독점 판매하며 굴착기, 불도저 등 건설기계 공급에서 독점적 지위를 갖고 있다.

사조동아원은 전주보다 46.40% 오른 2540원에 거래를 마쳤다. 우크라이나 사태 여파로 밀 가격이 상승함에 따른 것이다. 지난 16일 인도가 밀 수출을 금지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상한가를 기록하기도 했다.

후성은 지난주 대비 34.81% 상승한 2만5950원에 마감했다. 1분기 깜짝 실적(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한 데 따른 영향으로 보인다. 후성은 올해 1분기 매출액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50.9% 급증한 1586억 원, 영업이익은 524억 원으로 흑자 전환했다고 밝혔다.

이밖에 대성산업(31.32%), 고려산업(24.39%), 수산중공업(23.54%), 팜스코(21.76%) 등이 상승률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영풍제지, 김빠진 매각전에 '하락세'

같은 기간 영풍제지는 전주보다 18.67% 하락한 1만2200원을 기록했다. 영풍제지 최대 주주인 큐캐피탈이 보유한 지분 50.5%를 매각하기 위한 본입찰에서 주요 후보군들이 불참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낙폭을 키웠다.

KG케미칼은 15.87% 떨어진 3만2600원에 장을 마쳤다. KG그룹이 참여한 컨소시엄은 지난 19일 쌍용차와 투자계약을 체결했다. 다만 쌍용차 인수전에서 크게 급등한 주가의 되돌림이 나타난 것으로 분석된다.

이밖에 일동홀딩스(-14.29%), 대우조선해양(-14.08%),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13.97%), 대동(-13.91%), 세방전지(-13.33%) 등이 하락했다.

장중 매매동향은 잠정치이므로 실제 매매동향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일어나는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필카부터 네 컷까지…'디토 감성' 추구하는 '포토프레스 세대'[Z탐사대]
  • 신생아 특례대출 기준 완화…9억 원 이하 분양 단지 '눈길'
  • 네이버웹툰, 나스닥 첫날 9.52% 급등…김준구 “아시아 디즈니 목표, 절반 이상 지나”
  • 사잇돌대출 공급액 ‘반토막’…중·저신용자 외면하는 은행
  • ‘예측 불가능’한 트럼프에…'패스트 머니' 투자자 열광
  • 임영웅, 레전드 예능 '삼시세끼' 출격…"7월 중 촬영 예정"
  • '손웅정 사건' 협상 녹취록 공개…"20억 불러요, 최소 5억!"
  • 롯데손보, 새 주인은 외국계?…국내 금융지주 불참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5,585,000
    • -0.54%
    • 이더리움
    • 4,758,000
    • -1.1%
    • 비트코인 캐시
    • 541,000
    • -2.35%
    • 리플
    • 669
    • -0.15%
    • 솔라나
    • 199,100
    • -2.11%
    • 에이다
    • 554
    • +2.4%
    • 이오스
    • 815
    • -0.61%
    • 트론
    • 175
    • +2.34%
    • 스텔라루멘
    • 128
    • -1.54%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900
    • -2.18%
    • 체인링크
    • 19,480
    • -2.26%
    • 샌드박스
    • 474
    • +0.2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