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목전에도 유력 후보 배우자들은 칩거중…"끝까지 안보일수도"

입력 2022-02-21 14:5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김혜경·김건희, 15일 이후 계속 잠행
역대 대선과 이례적…19대엔 배우자 애칭도
국힘 "김건희 등판 논의 안 해…막판까지 부재 가능성"
심상정·안철수 배우자, 연일 유세 현장 동행 '대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배우자 김혜경 씨가 9일 오후 서울 여의도 민주당 중앙당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과잉의전 논란에 대해 사과하고 있다. 신태현 기자 holjjak@ (이투데이DB)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배우자 김혜경 씨가 9일 오후 서울 여의도 민주당 중앙당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과잉의전 논란에 대해 사과하고 있다. 신태현 기자 holjjak@ (이투데이DB)

20대 대통령 선거가 보름 앞으로 다가왔지만 여전히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의 배우자들은 공식 석상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고 있다. 첫 공식 선거운동이 시작된 15일에도 부인들은 보이지 않았다. 대선후보와 배우자가 사실상 러닝메이트였던 역대 대선에서 볼 수 없던 이례적인 상황이다. 배우자들의 잇단 '리스크' 탓이다. 자칫 대선 끝까지 공식 석상에서 이들의 모습은 볼 수 없을 수도 있다.

21일 정치권에 따르면, 이 후보 부인인 김혜경씨는 한동안 활발히 활동하다 과잉 의전 논란 이후 두문불출하고 있다. 애초 계획됐던 15일 첫 지방 유세 일정도 고민 끝에 취소했다. 당시 민주당에선 "김씨가 조만간 활동을 다시 시작할 것"이라고 했지만, 여전히 꽁꽁 숨어 있다.

경력 부풀리기 의혹,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 등의 후폭풍에 시달리는 윤 후보 부인인 김건희씨 역시 14일 비공개로 기독교계 원로인 김장환 목사를 만나고 나오는 모습이 포착됐지만 이 역시 유세 현장은 아니었다. 당시 김씨의 등판이 임박했다는 신호로 해석됐지만, 국민의힘 측은 "김씨의 공식 일정을 검토한 바 없다. 결국 윤 후보가 최종적으로 결정할 일"이라며 차일피일 미루고 있다.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의 배우자 김건희씨가 지난해 12월26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당사에서 허위경력 의혹 등에 대한 입장문 발표를 마친 뒤 고개숙여 인사하고 있다. 고이란 기자 photoeran@ (이투데이DB)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의 배우자 김건희씨가 지난해 12월26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당사에서 허위경력 의혹 등에 대한 입장문 발표를 마친 뒤 고개숙여 인사하고 있다. 고이란 기자 photoeran@ (이투데이DB)

김혜경 씨와 김건희 씨 모두 대국민 사과 이후 잠행 중이다. 2017년 대선 공식 선거운동 첫 날 김정숙 여사와 홍준표 후보 부인 이순삼 씨가 광주와 경기도 유세에 나선 것과 대조적이다. 전국을 함께 누비는 후보 배우자의 애칭이 생기는 흥미로운 풍경도 기대하기 힘들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대선 끝까지 두 사람 모두 유세 현장에 모습을 보이지 않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안그래도 '역대 최악의 비호감 대선'이라는 오명이 씌워진 상황에서 부인들까지 나설 경우 득보다 실이 클 수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설상가상으로 이들이 공식 석상에서 실언을 할 경우 오히려 후보에게 치명타가 될 수 있다.

특히 김건희씨의 경우 국민의힘 내부에서도 막판까지 부재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있는 분위기다. 선대본부 핵심 관계자는 이투데이와의 통화에서 "(김건희 씨 등판에 대한) 논의를 아직도 안하고 있으며 해보자는 분위기도 아닌 것 같다"며 "정황상 끝까지 공식석상에 나오지 않을 가능성이 더 높을 것 같다"고 말했다.

반면, 각종 논란으로 구설에 오르지 않은 배우자들은 후보와 함께 동분서주하고 있다.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후보 배우자 김미경씨는 13일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뒤 한동안 휴식기를 거친 뒤 다시 유세 현장에 복귀해 남편 유세를 적극 지원하고 있다. 심상정 정의당 대선후보의 배우자 이승배씨는 15일부터 연일 유세 현장에 동행하며 심 후보의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필카부터 네 컷까지…'디토 감성' 추구하는 '포토프레스 세대'[Z탐사대]
  • 신생아 특례대출 기준 완화…9억 원 이하 분양 단지 '눈길'
  • 네이버웹툰, 나스닥 첫날 9.52% 급등…김준구 “아시아 디즈니 목표, 절반 이상 지나”
  • 사잇돌대출 공급액 ‘반토막’…중·저신용자 외면하는 은행
  • ‘예측 불가능’한 트럼프에…'패스트 머니' 투자자 열광
  • 임영웅, 레전드 예능 '삼시세끼' 출격…"7월 중 촬영 예정"
  • '손웅정 사건' 협상 녹취록 공개…"20억 불러요, 최소 5억!"
  • 롯데손보, 새 주인은 외국계?…국내 금융지주 불참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5,725,000
    • +0%
    • 이더리움
    • 4,764,000
    • -0.67%
    • 비트코인 캐시
    • 536,500
    • -1.56%
    • 리플
    • 668
    • -0.15%
    • 솔라나
    • 200,200
    • +0.45%
    • 에이다
    • 549
    • +0%
    • 이오스
    • 806
    • -3.7%
    • 트론
    • 177
    • +2.31%
    • 스텔라루멘
    • 129
    • -0.77%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550
    • -1.88%
    • 체인링크
    • 19,180
    • -5.28%
    • 샌드박스
    • 465
    • -3.3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