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해양건설-성지건설, 무궁화신탁과 부동산 개발 업무협약

입력 2021-10-14 15:2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14일 서울 강남구 무궁화신탁 사옥에서 (왼쪽부터) 대우조선해양건설 서복남 대표, 무궁화신탁 권준명 대표, 오창석 회장, 성지건설 이용승 대표가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자료 = 대우조선해양건설)
▲14일 서울 강남구 무궁화신탁 사옥에서 (왼쪽부터) 대우조선해양건설 서복남 대표, 무궁화신탁 권준명 대표, 오창석 회장, 성지건설 이용승 대표가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자료 = 대우조선해양건설)

한국테크놀로지 자회사 대우조선해양건설이 무궁화신탁 등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대우조선해양건설은 서울 강남구 무궁화신탁 본사 대회의실에서 성지건설 및 무궁화신탁과 ‘신규 부동산 개발 사업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4일 밝혔다.

협약식에는 서복남 대우조선해양건설 대표, 백운걸 부사장 및 임직원과 이용승 성지건설 대표이사, 김수현 부사장, 오창석 무궁화신탁 회장, 권준명 대표이사 및 임직원이 참석했다.

업무 협약에 따라 3사는 향후 진행하게 될 부동산 개발, 건설, 신탁에 대해 상호 전략적 협력관계를 구축하게 됐다.

무궁화신탁은 영위하는 부동산 개발사업과 관련해 양 건설사에 시공 참여 기회 부여하고, 양사는 부동산 담보대출 및 PF대출 실행 시 무궁화신탁의 신탁상품을 활용해 동종업계에서 경쟁력 있는 수준의 시공을 제공하기로 했다.

서복남 대우조선해양건설 대표는 “자사의 시공 능력과 무궁화신탁의 신탁 역량이 결합하면 건설 사업에서의 시너지가 커질 것”이라며 “신탁사는 안정적인 시공 파트너를 구할 수 있고, 건설사는 자금 운용이 원활해지는 ‘윈-윈’하게 되는 좋은 협약을 맺었다”라고 말했다.

회사는 이번 협약을 성지건설과 공식 협력에 나선 첫 케이스로 규정하며, 향후 동반 성장을 위한 노력을 계속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대우조선해양건설은 인재, 금융, 마케팅 세 가지 경영철학을 내세우며 지난 8월 기명식보통주식 416만8055주(29.28%)를 인수해 성지건설의 최대주주가 됐다.

무궁화신탁은 매년 비약적인 성장을 바탕으로 국내 부동산신탁시장의 강자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2020년 종합자산운용사인 현대자산운용을 인수해 종합 부동산금융그룹으로의 성장을 추진하고 있다.

1969년 창립된 성지건설은 인천 문학경기장을 비롯해 대구-포항 고속도로, 경부고속철도 등의 국가 기간산업을 진행한 바 있으며, 국내·외의 다양한 건설 분야에 진출해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필카부터 네 컷까지…'디토 감성' 추구하는 '포토프레스 세대'[Z탐사대]
  • 신생아 특례대출 기준 완화…9억 원 이하 분양 단지 '눈길'
  • 네이버웹툰, 나스닥 첫날 9.52% 급등…김준구 “아시아 디즈니 목표, 절반 이상 지나”
  • 사잇돌대출 공급액 ‘반토막’…중·저신용자 외면하는 은행
  • ‘예측 불가능’한 트럼프에…'패스트 머니' 투자자 열광
  • 임영웅, 레전드 예능 '삼시세끼' 출격…"7월 중 촬영 예정"
  • '손웅정 사건' 협상 녹취록 공개…"20억 불러요, 최소 5억!"
  • 롯데손보, 새 주인은 외국계?…국내 금융지주 불참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5,715,000
    • -0.22%
    • 이더리움
    • 4,772,000
    • -0.6%
    • 비트코인 캐시
    • 542,000
    • -2.17%
    • 리플
    • 669
    • +0%
    • 솔라나
    • 199,200
    • -1.97%
    • 에이다
    • 554
    • +2.21%
    • 이오스
    • 822
    • +0.12%
    • 트론
    • 175
    • +2.34%
    • 스텔라루멘
    • 129
    • -0.77%
    • 비트코인에스브이
    • 63,000
    • -1.87%
    • 체인링크
    • 19,570
    • -1.51%
    • 샌드박스
    • 476
    • +0.6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