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황_정오] 코스닥 1042.34p, 하락세 (▼1.3p, -0.12%) 반전

입력 2021-07-21 12:0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오전에 상승세로 출발했던 코스닥시장이 외국인과 기관의 ‘팔자’ 기조에 장 중반들어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21일 정오 현재 코스닥지수는 1.3포인트(-0.12%) 하락한 1042.34포인트를 나타내며, 1040선을 두고 등락을 거듭하고 있다.

이 시간 현재 투자자 별 동향을 살펴보면 개인은 매수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기관과 외국인은 매도 중이다.

개인은 2156억 원을 매수 중이며 기관은 912억 원을, 외국인은 1131억 원을 각각 매도하고 있다.

업종별 현황은 오락·문화(+0.91%) 업종의 상승이 눈에 띄는 가운데, 교육서비스(+0.81%) 등의 업종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에 광업(0.00%) 전기·가스·수도(-1.66%) 등의 업종은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그 밖에도 사업서비스(+0.15%) 등의 업종이 상승 중이며, 농림업(-1.42%) 기타서비스(-0.49%) 통신방송서비스(-0.47%) 등의 업종이 동반 하락 중이다.

시가총액 상위 20개 종목 중 7개 종목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SK머티리얼즈가 6.50% 오른 42만6000원을 기록 중이고, 카카오게임즈(+5.12%), 알테오젠(+2.70%)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펄어비스(-7.23%), 휴젤(-6.94%), 엘앤에프(-2.27%)는 하락 중이다.

그밖에 티앤알바이오팹(+29.48%), 네이처셀(+23.49%), 국전약품(+21.61%) 등의 종목의 상승이 두드러진 가운데, 메디톡스(-11.05%), 국영지앤엠(-8.84%), 위즈코프(-7.36%) 등은 하락 중이다. 에이루트(+29.90%) 등이 상한가를 기록 중이다.

현재 460개 종목이 상승 중이며 857개 종목이 하락, 94개 종목은 보합세를 보이고 있다.

한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1151원(+0.20%)으로 상승 중이며, 일본 엔화는 1048원(-0.24%), 중국 위안화는 178원(+0.26%)을 기록 중이다.

[이 기사는 이투데이에서 개발한 알고리즘 기반 로봇 기자인 e2BOT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기사관련 문의 - e2bot@etoday.co.kr]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망곰이 유니폼, 제발 팔아주세요"…야구장 달려가는 젠지, 지갑도 '활짝' [솔드아웃]
  • "돈 없어도 커피는 못 참지" [데이터클립]
  • 네이버웹툰, 나스닥 첫날 9.52% 급등…김준구 “아시아 디즈니 목표, 절반 이상 지나”
  • 사잇돌대출 공급액 ‘반토막’…중·저신용자 외면하는 은행
  • "故 구하라 금고털이범, 버닝썬 사건과 연관돼 있을 가능성 있어"
  • 임영웅, 레전드 예능 '삼시세끼' 출격…"7월 중 촬영 예정"
  • 방탄소년단 '활중' 미리 알고 주식 판 하이브 직원들…결국 법정행
  • 9월까지 김포골드라인 열차 5대 증편, 배차간격 줄여 수송력 20%↑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12:05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6,676,000
    • +0.66%
    • 이더리움
    • 4,846,000
    • +1.4%
    • 비트코인 캐시
    • 543,000
    • +2.36%
    • 리플
    • 667
    • +0.6%
    • 솔라나
    • 206,400
    • +6.89%
    • 에이다
    • 551
    • +2.23%
    • 이오스
    • 822
    • +1.86%
    • 트론
    • 171
    • -1.72%
    • 스텔라루멘
    • 129
    • +1.57%
    • 비트코인에스브이
    • 63,800
    • +2.33%
    • 체인링크
    • 20,220
    • +3.75%
    • 샌드박스
    • 476
    • +1.9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