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넘어 전국으로 번진 전세난…곳곳서 사상 최악 지표

입력 2020-11-16 13:3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경기 광주시 남한산성에서 바라본 강남 아파트 단지. 신태현 기자 holjjak@ (이투데이DB)
▲경기 광주시 남한산성에서 바라본 강남 아파트 단지. 신태현 기자 holjjak@ (이투데이DB)
전세난이 수도권을 넘어 전국으로 퍼지고 있다. 곳곳에서 전세 지표가 최악으로 치닫고 있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지난주 전국 아파트 전셋값은 전주(前週)보다 0.27% 올랐다. 주간 상승률로는 2013년 10월 둘째 주(0.29%) 이후 7년 만에 최고치다. 2012년 5월 통계 작성 때부터 살펴봐도 역대 두 번째로 높은 상승률이다.

전세난은 수도권보다 비(非)수도권에서 더 악화하고 있다. 지난주 비수도권 아파트 전셋값은 한 주전보다 0.29% 상승했다. 감정원이 주간 단위로 아파트 전세 시세를 조사한 이래 가장 높다.

이 같은 현상은 시ㆍ도를 가리지 않는다. 비수도권 전셋값 상승률은 광역시 지역에선 0.33%로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고 도 지역에서도 사상 두 번째로 높은 0.22%로 조사됐다. 부산(0.35%)과 강원(0.32%) 등에선 최고 상승률 기록이 경신됐다.

전셋값 상승이 장기화하면 매매가격까지 자극할 수 있다. 전셋값이 매매가격에 육박하면 중ㆍ저가 아파트로 수요가 옮겨갈 수 있어서다. 실제 지난주 감정원 조사에서 비수도권 아파트값은 통계 작성 후 가장 큰 폭(0.22%)으로 올랐다. 비수도권에선 부산(0.56%)과 경남(0.26%) 등이 아파트값 상승을 주도했다.

문제는 전세난이 장기화할 조짐을 보인다는 점이다. 지난주 전국 아파트 전세수급지수는 116.6으로 2015년 11월 이후 5년 만에 최고치로 높아졌다. 전세수급지수가 높으면 높을수록 전세 수요보다 전세 공급이 부족하다는 것을 뜻한다. 서울과 수도권의 전세수급지수는 131.1, 123.8로 각각 역대 최고치였다.

정부는 전세난을 경감하기 위한 대책을 이르면 18일 발표할 예정이다. 민간 공실 주택을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 공기업이 공공임대주택으로 매입하거나 재임대하는 방안 등이 거론된다. 다만 민간 공실 주택은 대부분 다세대ㆍ다가구 주택이나 단독주택이어서 아파트를 선호하는 시장 수요와 맞지 않는다는 우려가 나온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한국 고마워요”…버림받은 ‘통일미’, 아프리카서 화려한 부활 [해시태그]
  • 벼랑 끝 치닫는 서울 지하철 파업…3노조도 파업 경고 집회
  • 국정원 "북한군, 러 공수여단·해병대 배속돼 전투 참여…추가 군수물자 수출도"
  • “어머니·장모님 위장전입으로 당첨까지”…상반기 주택 부정청약 127건 적발
  • 역세권보다 '초역세권'…시세·프리미엄 훨씬 낫네
  • 구글·알리바바 등 해외 교육산업서 활용되는 AI 교과서 [AIDT 교실혁명 성공할까]
  • T1 '제우스' 최우제 떠나자…에이전시 사이트도 쑥대밭
  • 설욕 다짐했지만 또 무승부…한국 축구, 불안한 선두
  • 오늘의 상승종목

  • 11.2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9,637,000
    • +0.87%
    • 이더리움
    • 4,354,000
    • -0.5%
    • 비트코인 캐시
    • 615,000
    • -3.98%
    • 리플
    • 1,524
    • -1.17%
    • 솔라나
    • 329,300
    • -3.09%
    • 에이다
    • 1,108
    • +4.53%
    • 이오스
    • 891
    • -3.99%
    • 트론
    • 277
    • -4.15%
    • 스텔라루멘
    • 331
    • +4.75%
    • 비트코인에스브이
    • 95,900
    • -1.59%
    • 체인링크
    • 20,380
    • -2.95%
    • 샌드박스
    • 473
    • -3.8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