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銀, 작년 정기예금 22조 급증...금리인상ㆍ예대율 규제 영향

입력 2018-02-19 10:3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시중은행이 지난해 금리인상과 예대율 규제 강화의 영향으로 정기예금을 20조 원 이상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들이 기준금리 인상에 따라 정기예금 이자를 올린 데다 올해 하반기부터 시행되는 더 강화된 예대율 규제에 선제 대응 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19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5대 은행의 정기예금 잔액은 527조2659억 원으로 전년(2016년)보다 22조1692억 원(4.4%) 증가했다.

은행별 정기예금 증가세를 보면 최근 1년 새 NH농협은행은 7.9%, KB국민은행 6.6%, KEB하나은행 4.32%, 신한은행 1.74%, 우리은행은 1.23% 순으로 잔액이 늘었다.

특히 신한은행과 우리은행은 2016년에는 전년보다 정기예금 잔액이 줄다가 지난해 들어 증가세로 돌아섰다. 나머지 은행들은 2016년에도 정기예금 잔액이 늘었지만, 지난해 그 폭이 더 확대됐다. 이에 5대 은행 평균치로 보면 2016년 정기예금 증가액(15조7466억 원)보다 지난해 증가액이 6조 원 이상 많다.

지난해 정기예금이 대폭으로 늘어난 것은 지난해 11월 말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은행들이 정기예금 이자를 올린 영향이 작용했다.

한국은행의 예금은행 가중평균금리(신규취급액 기준)를 보면, 은행들 1년 만기 정기예금 금리는 지난해 7월(연 1.56%)부터 지난해 12월(연 1.91%)까지 상승 추세를 보여 연 2% 돌파를 목전에 두고 있다. 은행들이 이자를 더 많이 얹어주니 시중 유동자금이 몰린 것이다.

올해 하반기부터 예대율 규제가 대폭 강화되는 것도 정기예금 증가에 영향을 줬다는 분석이다. 예대율은 예금액 대비 대출액 비율로 은행들은 은행감독 규정상 100% 이하로 관리해야 한다. 은행 건전성을 위해 예금액을 초과해 대출을 하지 못하도록 막아놓은 규제다. 올 하반기부터는 가계대출에 가중치 15%를 높이는 더 강화된 예대율 규제가 시행된다.

예컨대 가계대출을 100억 원 했다면 지금까지는 분자에 100억 원만 계산되지만 앞으로는 115억 원으로 늘어나게 된다. 이에 은행으로선 예대율을 관리하기 위해 분모인 예금액을 더 많이 유치할 수밖에 없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1~3년 돈을 묶어놓는 정기예금은 언제든 입출금을 할 수 있는 보통예금보다 예대율 관리에 용이하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우리나라서 썩 꺼져"…관광객에 물총 쏘는 '이 나라', 남 일 아니다? [이슈크래커]
  • “언니 대체 왜 그래요”…조현아 ‘줄게’ 사태 [요즘, 이거]
  • 카카오 김범수, 결국 구속…카카오 AI·경영 쇄신 ‘시계제로’
  • 바이오기업도 투자한다…국내 빅5가 투자한 기업은?
  • [상보] 뉴욕증시, 기술주 랠리 힘입어 상승…'바이든 리스크' 없었다
  • 임상우 vs 문교원, 주인공은 누구?…'최강야구' 스테이지 스윕승 대기록, 다음은 사직
  • 성큼 다가온 파리 올림픽 개막…성패 좌우할 '골든데이'는 29일
  • 비트코인, 이더리움 ETF 승인에도 미지근…6만7000달러로 일시 하락 [Bit코인]
  • 오늘의 상승종목

  • 07.23 15:34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3,114,000
    • -1.21%
    • 이더리움
    • 4,814,000
    • -1.25%
    • 비트코인 캐시
    • 527,000
    • -3.48%
    • 리플
    • 836
    • +1.46%
    • 솔라나
    • 244,600
    • -2.32%
    • 에이다
    • 586
    • -2.98%
    • 이오스
    • 803
    • -2.9%
    • 트론
    • 184
    • -3.66%
    • 스텔라루멘
    • 143
    • -0.69%
    • 비트코인에스브이
    • 63,050
    • -1.56%
    • 체인링크
    • 19,280
    • -3.55%
    • 샌드박스
    • 453
    • -3.2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