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원 33%는 억대 연봉...금융권 종사자 4명 중 1명 꼴

입력 2017-02-15 11:2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지난해 은행권 종사자의 33%가 억대 연봉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연구원이 15일 금융위원회에 제출한 ‘2016년 금융인력 기초통계분석’에 따르면 은행 종사자의 32.9%는 억대 연봉자인 것으로 집계됐다. 자산운용·신탁(28.8%), 증권·선물(27.5%), 보험(22.6%), 카드ㆍ캐피탈 등 여신전문(15.2%)이 뒤를 이었다.

금융권 전체로 보면 연봉이 1억원 이상인 금융회사 직원 비중은 24.8%였다. 연봉이 1억원 이상인 직원 비중은 2012년 9.9%에서 2013년 16.5%, 2014년 19.2%로 꾸준히 늘다가 2015년 16.6%로 꺾였다 지난해 다시 큰 폭으로 증가했다.

급여 수준별로 따져보면 △연봉 2500만원 미만 10.2% △2500만원 이상∼5000만원 미만 25.3% △5000만원 이상 7500만원 미만 24.0% △7500만원 이상 1억원 미만은 15.7%였다. 연봉 1억원 이상 1억5000만원 미만인 금융권 종사자 비중은 21.4%였고, 1억5000만원 이상이 3.4%였다.

보고서는 “급여수준을 대외기밀로 해 통상 응답률이 낮은 은행과 증권사, 선물회사 등 임직원이 보다 적극적으로 조사에 임하면서 억대연봉자 비중이 늘었다”고 설명했다.

성별별로 보면 5000만원 이상 급여를 받는 남성 직원 비중은 83.2%였지만 여성은 42.7%로 두 배 가까이 차이가 났다. 이는 여성이 창구업무 등 단순직무에 종사하는 비중과 시간제근로자 비중이 높고, 40∼50대 이상 관리직이 적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학력별로는 대졸 비중이 62.2%로 가장 높았다. 이어 고졸(18.5%), 전문대졸(11.4%), 대학원졸(7.9%)의 순으로 많았다. 1년 새 고졸 비중이 3.2%포인트 줄어들고 대졸 이상은 4.2%포인트 높아진 모습이다.

연령별 분포를 보면 30대 직원이 39.1%로 가장 많고 40대(32.1%), 20대(14.9%), 50대 이상(13.3%) 순서였다.

금융권의 정규직 비중은 91.0%로 국내 산업 전체 평균(67.2%)을 웃돌았다.

하지만, 올해 금융권 채용 한파는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설문에 응답한 금융회사는 향후 1년 이내에 총 2886명을 추가 채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는 2015년 같은 조사에서 밝힌 4264명보다 32.3%나 줄어든 규모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망곰이 유니폼, 제발 팔아주세요"…야구장 달려가는 젠지, 지갑도 '활짝' [솔드아웃]
  • "돈 없어도 커피는 못 참지" [데이터클립]
  • 네이버웹툰, 나스닥 첫날 9.52% 급등…김준구 “아시아 디즈니 목표, 절반 이상 지나”
  • 사잇돌대출 공급액 ‘반토막’…중·저신용자 외면하는 은행
  • "故 구하라 금고털이범, 버닝썬 사건과 연관돼 있을 가능성 있어"
  • 임영웅, 레전드 예능 '삼시세끼' 출격…"7월 중 촬영 예정"
  • 방탄소년단 '활중' 미리 알고 주식 판 하이브 직원들…결국 법정행
  • 9월까지 김포골드라인 열차 5대 증편, 배차간격 줄여 수송력 20%↑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11:39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6,837,000
    • +0.79%
    • 이더리움
    • 4,863,000
    • +1.74%
    • 비트코인 캐시
    • 544,000
    • +2.54%
    • 리플
    • 669
    • +0.9%
    • 솔라나
    • 207,000
    • +7.31%
    • 에이다
    • 551
    • +1.85%
    • 이오스
    • 824
    • +2.11%
    • 트론
    • 171
    • -1.72%
    • 스텔라루멘
    • 129
    • +1.57%
    • 비트코인에스브이
    • 63,900
    • +1.59%
    • 체인링크
    • 20,220
    • +3.64%
    • 샌드박스
    • 476
    • +1.4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