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1 시장도 헷갈려, 주식·채권은 브렉시트에 환율은 브리메인에 베팅?

입력 2016-06-23 09:2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불안감에 방향성 베팅보단 조심스런 흐름 이어갈 것이라는 관측

영국의 EU탈퇴(브렉시트)를 묻는 투표일을 하루 앞두고 국내 자본시장 흐름이 엇갈리고 있다. 주식시장은 약세 채권시장은 강세를 보이며 안전자산 선호 심리를 이끌고 있는 반면, 원/달러 환율은 하락하며 위험자산 선호 심리를 반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쪽은 브렉시트에 또 다른 한쪽은 잔류(브리메인)에 베팅하고 있는 셈이다.

23일 오전 9시10분 현재 주식시장에서 코스피는 전장대비 4.81포인트(0.24%) 떨어진 1987.77을, 코스닥은 5.17포인트(0.75%) 하락한 683.01을 기록중이다.

채권시장의 경우 장외채권시장에서는 주요지표물로 거래체결이 없는 상황이다. 다만 통안2년물 매도호가는 0.7bp 하락한 1.365%에, 매수호가는 0.2bp 내린 1.370%에 호가중이다. 장내시장에서 국고3년물은 0.2bp 떨어진 1.353%를 기록하고 있다. 금리는 가격과 반대로 움직인다는 점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는 셈이다.

증권사의 한 채권딜러는 “전날 미국채 금리 하락으로 채권이 소폭 강세로 출발하고 있다. 브렉시트 투표를 앞두고 불확실성이 큰 상태라 포지션 움직임에는 다소 부담스런 양상”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채권이 강세지만 추가 강세는 어려울 것으로 본다. 큰 변동도 보이지 않을 것”이라며 “잔류 가능성을 더 높게 보고 있는 중”이라고 덧붙였다.

반면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3.2원 떨어진 1151.1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개장가는 1151.0원이었고 장중 1149.9원까지 떨어졌었다. 위험자산인 원화가 강세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은행권의 한 외환딜러는 “역외환율이 많이 하락했음에도 1150원대를 회복했다. 장 초반이라 큰 움직임을 보이지는 않는 모습”이라면서도 “큰 이슈를 앞둬 방향을 가늠키 어렵다. 큰 포지션 플레이는 있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그는 또 “최근 며칠간 흐름을 보면 기존 브렉시트 불안감을 많이 되돌림한 상태다. 1140원대 중반에서 1150원대 초반의 얇은 장 흐름을 이어갈 것”이라고 예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한국 고마워요”…버림받은 ‘통일미’, 아프리카서 화려한 부활 [해시태그]
  • "밤에는 더 매력적이네"…고혹적인 야경 뽐내는 '왕길역 로열파크씨티'[가보니]
  • 코스피200·코스닥150 아른…성과 차별화 ‘글쎄’[삐걱대는 밸류업지수③]
  • '과열과 규제 사이' 건강보험 소비자 선택권 줄어든다 [새 회계 증후군上]
  • 코인 과세 두고 ‘우왕좌왕’…내년 시행 가능성에 “현실적으로 유예 필요”
  • 지하철·철도노조 오늘부터 동시 태업…험난한 출근길 예상
  • 제우스와 결별한 T1, ‘도란’ 최현준 영입…2025시즌부턴 ‘도오페구케’
  • 설욕 다짐했지만 또 무승부…한국 축구, 불안한 선두
  • 오늘의 상승종목

  • 11.20 09:16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9,620,000
    • +1.88%
    • 이더리움
    • 4,365,000
    • -2.65%
    • 비트코인 캐시
    • 626,000
    • -1.18%
    • 리플
    • 1,553
    • -1.96%
    • 솔라나
    • 332,800
    • -0.72%
    • 에이다
    • 1,068
    • +3.89%
    • 이오스
    • 911
    • -3.7%
    • 트론
    • 280
    • -1.41%
    • 스텔라루멘
    • 329
    • -3.52%
    • 비트코인에스브이
    • 96,750
    • +1.31%
    • 체인링크
    • 20,580
    • -3.56%
    • 샌드박스
    • 485
    • -3.1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