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국가의 무책임은 합헌

입력 2016-01-12 10:3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좌영길 사회경제부 기자

새해 들어 군 장병들의 처우 개선을 위해 봉급을 올린다고 한다. 육군 병장을 기준으로 17만원 정도 되던 월급이 19만원 정도로 인상된다는데, 월급이 2만원 오른 게 처우 개선책으로 꼽힐 정도로 군 복무 환경은 열악하다.

지난해 군 장병 처우와 관련해 가장 큰 이슈는 발목 지뢰 피해자에 대한 배상 문제였다. 20대 초반의 나이에 군 복무 도중 발목을 잃은 피해자들은 장애를 안고 살아가야 하는데도 국가는 한정된 범위의 보상금과 연금을 지급할 뿐이라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많은 비난 여론이 일기도 했다. 꼭 이 사례만이 아니더라도 군 장병들이 각종 훈련 도중 다치는 것은 흔히 있는 일이다. 사고 외에 군대 내 가혹행위로 인해 정신적·육체적 피해를 입는 일도 적지 않다.

하지만 군인은 국가로부터 일정한 보상금을 받을 수 있을 뿐, 실질적인 손해를 입증해 국가를 상대로 배상을 청구할 수는 없다. 헌법이 그렇게 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국민의 기본권을 보장해야 할 헌법에 이런 독소조항이 들어오게 된 것은 박정희 대통령 시절이다. 1967년 박정희 대통령은 월남전 파병으로 인해 국가가 배상해야 할 규모가 커지자 군인과 경찰은 국가를 상대로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없다는 법을 만든다. 하지만 이 법은 당시 대법원에서 위헌 판결이 났고, 박 대통령은 ‘헌법에 위배될 수 없도록’ 아예 이 법 규정을 헌법조문으로 넣었다. 위헌 의견을 낸 대법관들은 연임이 안 돼 줄줄이 옷을 벗었다. 이때 만들어진 헌법 조문은 아직까지 그대로 존재하고 있다. 우리 헌법상 국가는 국민을 징집해 군 복무를 시킬 수 있는 권리를 가질 뿐, 제대로 된 배상 책임은 질 필요가 없는 셈이다.

내년 총선 이후 20대 국회가 새로 구성되면 개헌 논의가 본격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우리 사회의 정치구조를 바꾸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중배상 금지 조항 삭제에 대한 논의도 이뤄졌으면 한다. 실질적인 배상 문제도 중요하지만, 국가가 국민을 소홀히 대해도 된다는 인식이 다름 아닌 헌법에 의해 생겨서는 안 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필카부터 네 컷까지…'디토 감성' 추구하는 '포토프레스 세대'[Z탐사대]
  • 신생아 특례대출 기준 완화…9억 원 이하 분양 단지 '눈길'
  • 네이버웹툰, 나스닥 첫날 9.52% 급등…김준구 “아시아 디즈니 목표, 절반 이상 지나”
  • 사잇돌대출 공급액 ‘반토막’…중·저신용자 외면하는 은행
  • ‘예측 불가능’한 트럼프에…'패스트 머니' 투자자 열광
  • 임영웅, 레전드 예능 '삼시세끼' 출격…"7월 중 촬영 예정"
  • '손웅정 사건' 협상 녹취록 공개…"20억 불러요, 최소 5억!"
  • 롯데손보, 새 주인은 외국계?…국내 금융지주 불참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5,708,000
    • +0.19%
    • 이더리움
    • 4,760,000
    • -0.27%
    • 비트코인 캐시
    • 538,500
    • -1.46%
    • 리플
    • 668
    • +0.3%
    • 솔라나
    • 199,700
    • -0.05%
    • 에이다
    • 547
    • -1.26%
    • 이오스
    • 798
    • -4.55%
    • 트론
    • 177
    • +1.72%
    • 스텔라루멘
    • 128
    • -0.78%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550
    • -1.5%
    • 체인링크
    • 19,210
    • -3.9%
    • 샌드박스
    • 466
    • -2.7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