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민화 칼럼] ICT기반의 메르스 대책

입력 2015-07-27 14:3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이민화 벤처기업협회 명예회장

메르스 사태로 한국은 소를 잃었다. 한국경제연구원에 따르면 20조원의 경제적 손실이 예상된다. 국민 경제 성장의 절반을 날린 셈이다. 소도 엄청나게 큰 소를 잃은 것이다. 그렇다고 비난만 하고 있을 수는 없다. 문제로부터 학습하고 개선해야 할 것이다. 즉 소 잃고 외양간을 고쳐야 하는 것이다.

메르스는 메르스에 한정되지 않는다. 2003년 사스, 2009년 신종플루에 이어 2014년 에볼라와 2015년 메르스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새로운 감염병이 발생하고 있다. 더구나 감염학의 발달로 인간들은 점점 감염병에 대한 면역력이 약화되고 있다. 과거 남미의 인디오들이 스페인 점령군의 천연두로 수천만 명이 사망한 것을 상기해 보자. 앞으로도 다양한 감염병이 우리를 위협할 것이므로 대비를 해야 한다. 즉, 소 잃기 전에 외양간을 고치는 선행 학습을 하자는 것이다. 바로 정보통신기술(ICT) 기반의 감염병 대책을 제안하는 이유다.

메르스 사태를 복기해 보자. 보험 제도의 왜곡으로 공중보건 인프라가 취약했다. 비상시 감염환자 전달체계는 아예 존재하지 않았다. 응급실은 병을 고치는 장소가 아니라 전파하는 장소가 됐다. 입원실 역시 바이러스의 숙주가 됐다. 환자들의 의료 쇼핑이 사태를 악화시켰는데 이를 개선할 시스템이 없다. 병원 이력을 환자 개인을 통해 확인하는 것은 공공의료 후진국의 형태다. 당국의 불투명한 정보 공개와 늦장 대응은 결정적으로 사태를 악화시켰다. 전문가에 의한 총괄 지휘 체계 부재는 의료 행정의 한계를 여실히 드러냈다. 바로 의료 수출을 주창하는 자칭 ‘의료 선진국’의 민낯이 드러난 것이다.

문제로부터 해결책을 찾아보자. 우선 사전 예방이라는 공공보건에 예산을 투입해야 한다. 20조원 비용의 1%면 충분할 것이다. 바이러스 대책은 미래 전쟁에 대한 사전 대책이라는 국가 안보의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 이제 ICT 기술로 외양간을 고쳐 보기로 하자.

우선 체열 진단 기술을 국가 전략 산업화로 해 보자. 모든 감염병은 체열 상승을 동반한다. 공항에서 보는 적외선 체열 감시기를 전국의 CCTV처럼 보급하자. 비용은 한국의 반도체 기술로 충분히 극복 가능할 것이다. 부수적으로 야간 감시도 가능하기에 국방에도 크나큰 기여를 할 것이다. 더 나아가 휴대폰에 기본 장착해 개인 건강관리의 혁신을 이룩하자. 미국은 에볼라의 고위험 그룹를 체열로 추적 관리한 바 있다.

클라우드 PHR(Personal Health Record)도 도입하자. 메르스 사태에서 환자의 위험 병원 방문은 환자를 통해 확인하는 과정에서 사태는 악화됐다. 의료 쇼핑을 제외하더라도 환자들은 여러 병원을 다니고 있다. 병원의 의무 기록만으로는 개개인의 건강을 관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바로 PHR가 필요한 이유다. PHR는 특정 병원에 보관될 수 없다. 바로 미국이 PHR의 클라우드 보관을 의무화한 이유다. 개인의 기록을 개인에게 돌려주자. 부수적으로 고가 중복 진료가 관리돼 국가적 낭비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또 응급실과 입원실에 사물인터넷(IoT)을 도입하자. 다양한 환자들이 여러 전문가 그룹에 의해 치료되는 응급실은 혼란의 극이다. 어떤 환자는 6시간이나 기다리니 이는 응급이 아니다. 응급실 IoT로 처리시간 및 의료사고를 줄인 아산서울병원은 좋은 벤치마킹 대상이 될 것이다. 응급실과 입원실의 환자 동선과 체열 관리 등은 스마트 의료 밴드로 해결할 수 있다. 앰뷸런스부터 적용 가능하다. 유사한 중국 제품 가격이 2만원 이하라는 점에서 도입 타당성은 충분하다.

아울러 원격 의료를 제대로 하자. 미국은 에볼라 사태 시 원격 진료를 통해 효율과 효과를 극대화했다. 전 세계에서 왜 한국만 이를 거부하는가. 국가적 편익과 비용의 균형을 맞추는 제대로 된 원격 의료를 하자.

끝으로 비상정보 포털을 만들자. 메르스 사태에서 정보의 비개방과 지휘탑의 혼란은 문제를 악화시킨 주범이었다. 에볼라의 경우 정보 공유를 통해 신뢰와 유연성과 즉각성, 홍보성을 동시에 달성했다. 위험을 기회로 만드는 국가적 지혜의 결집을 기대해 본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한국 고마워요”…버림받은 ‘통일미’, 아프리카서 화려한 부활 [해시태그]
  • 하루 1.8끼 먹고 소득 40% 생활비로 쓰지만…"1인 생활 만족" [데이터클립]
  • 검찰, ‘경기도 법인카드 사적 유용’ 이재명 불구속 기소
  • 울산 현대차 공장, 차량 테스트 중 연구원 3명 사망
  • 내년 3기 신도시 8000가구 분양 예정…실현 가능성은 '과제'
  • 증시서 짐싸는 개미들 “정보 비대칭에 루머·음모론 지쳐”
  • 서울지하철 노조, 내달 6일 총파업 예고…3년 연속 파업 이어지나
  • 삼성 ‘호암 이병철’ 37주기 찾은 이재용…‘침묵’ 속 초격차 경쟁력 고심
  • 오늘의 상승종목

  • 11.1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0,331,000
    • +2.58%
    • 이더리움
    • 4,371,000
    • -0.41%
    • 비트코인 캐시
    • 630,500
    • +2.19%
    • 리플
    • 1,551
    • +0.91%
    • 솔라나
    • 340,200
    • +2.01%
    • 에이다
    • 1,046
    • +1.06%
    • 이오스
    • 912
    • -2.46%
    • 트론
    • 283
    • -1.05%
    • 스텔라루멘
    • 323
    • +1.57%
    • 비트코인에스브이
    • 98,000
    • +2.46%
    • 체인링크
    • 20,840
    • -0.81%
    • 샌드박스
    • 492
    • -1.0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