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범규준’ 적용 땐 4개지주ㆍ6대은행 사외이사 74% 부적격자

입력 2014-11-21 10:2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의무규정 아닌 권고사항이라 실효성엔 의문

금융당국이 20일 발표한 금융회사 지배구조 모범규준을 주요 금융지사 및 은행의 사외이사에 적용할 경우 10명 중 7명이 부적격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번에 마련된 금융사 지배구조 모범규준이 의무사항이 아닌 권고사항이라 얼마나 실효성이 있을지 의문이다.

이투데이가 21일 9월 기준으로 신한·KB금융·하나·농협금융지주와 6개 주요 은행의 사외이사 경력을 조사한 결과, 전날 금융위원회가 발표한 금융회사 지배구조 모범규준을 적용할 경우 부적격률이 74%에 달했다.

반면 이들 금융회사 전체 58명 사외이사 가운데 금융당국이 제시한 금융회사 사외이사 자격요건에 부합한 인물은 15명에 그쳤다. 나름의 금융·경제·회계 등 관련 분야의 실무경험과 지식을 갖춘 사외이사다.

그러나 교수와 공무원의 전문성을 감안하더라도 특정 직업군에 편중되는 현상은 뚜렷했다. 이번 조사에서 교수·연구원 출신 사외이사가 21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공무원 11명, 기업인 11명 등 이었다. 교수와 공무원 출신이 전체의 50%를 넘었다.

특히 KB금융은 사외이사 9명 중 6명(66.6%)이 교수 출신으로 비중이 가장 높았다. 금융지주 사외이사인 교수의 전공은 경제학과 경영학 등 모두 상경계열에 치우쳐 있다. 외환은행의 경우 사외이사 6명 중 1명을 제외하고 교수나 관료 출신으로 채워졌다. 신한은행 역시 사정이 별반 다르지 않았다. 6명의 사외이사 가운데 언론 출신과 기업 대표 2명을 제외하고 교수 및 관료 출신이다. 하나은행은 6명의 사외이사 가운데 2명의 금융분야 출신을 제외하면 모두 교수 출신이다.

이번 모범규준안에는 은행과 금융지주사의 사외이사가 다른 회사의 사외이사를 맡을 수 없도록 했다. 그러나 국민은행 사외이사가 한국거래소 사외이사를 겸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금융권에서는 교수 출신 사외이사의 비중이 높아지면서 금융사 내 이른바 학자 권력이 만들어고 있지만 마땅한 사외이사를 영입하기 어렵다는 반응이다.

한 금융권 인사는 “일정한 자격요건을 갖춘 사람 가운데 결격사유로 걸러내고 나면 남는 건 교수 출신뿐이다”며 “더 큰 문제는 이들이 세력화해 학자 출신을 추천하는 구조를 만들어 가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정의구현 외치더니 밥줄 '뚝'"…쯔양 사건, 사이버 레커에 경종 울렸다 [이슈크래커]
  • '트로트 4대 천왕' 가수 현철 별세…향년 82세
  • “한국에 갈거야, 라인 추가해 줘” 문자 받으셨나요? [해시태그]
  • 올해도 불붙은 ‘BMW vs 벤츠’ 경쟁…수입차 1위는 누구 [모빌리티]
  • '운빨존많겜', 무분별한 방치형 게임 사이 등장한 오아시스 [mG픽]
  • 비트코인, 6만4000달러 돌파…'트럼프 트레이드' 통했다 [Bit코인]
  • 변우석, 오늘(16일) 귀국…'과잉 경호' 논란 후 현장 모습은?
  • 문교원 씨의 동점 스리런…'최강야구' 단언컨데 시즌 최고의 경기 시작
  • 오늘의 상승종목

  • 07.16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0,028,000
    • +1.51%
    • 이더리움
    • 4,822,000
    • +1.6%
    • 비트코인 캐시
    • 540,000
    • -0.74%
    • 리플
    • 817
    • +10.41%
    • 솔라나
    • 222,400
    • +3.11%
    • 에이다
    • 623
    • +1.8%
    • 이오스
    • 838
    • +3.2%
    • 트론
    • 187
    • -3.61%
    • 스텔라루멘
    • 152
    • +4.83%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450
    • +1.22%
    • 체인링크
    • 20,030
    • +2.4%
    • 샌드박스
    • 472
    • +2.6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