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수준 낮을수록 '뚱뚱'…비만도 양극화

입력 2014-11-09 21:5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소득 수준이 낮을수록 초고도비만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9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건강검진 빅데이터(2002~2013년)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국내 인구 가운데 초고도비만 환자 비율은 2002년 0.17%에서 지난해 0.49%로 2.9배 높아졌다. 같은 기간 환자수는 8516명에서 5만2205명으로 6.1배 증가했다.

소득 수준별로 살펴보면 소득이 적어 국가로부터 의료비를 전액 지원받는 의료급여 수급권자의 지난 해 초고도비만율은 1.23%로 건강보험료를 많이 내는 상위 5% 집단의 초고도비만율(0.35%)보다 무려 3.5배나 높았다.

의료급여 수급자를 빼고 건강보험 가입자만 따져도 보험료 하위 5% 집단의 초고도비만율(0.75%)이 상위 5% 집단(0.35%)보다 0.4%포인트나 높았다.

거주지역별로 분석한 결과, 2013년 기준 16개 시도중 제주도의 초고도비만율이 0.68%로 가장 높았고, △강원도(0.62%) △인천광역시(0.59%) 순이었다.

성별로는 제주도 지역 남성의 초고도비만율이 0.75%로 가장 높았고, 울산광역시 지역 남성이 0.38%로 가장 낮았다. 여성은 강원도가 초고도비만율이 0.66%로 가장 높았고, 대구광역시 여성이 0.33%로 가장 낮았다.

동국대병원 오상우 가정의학과 교수는 "저소득층에서 초고도비만율이 높은 이유중의 하나는 건강식품인 채소·과일보다는 패스트푸드에 대한 접근성이 높은 반면 운동에 대한 접근성은 떨어지기 때문이다"며 "특히 초고도비만인 경우에는 심리적 위축 및 경제활동 참여에 영향을 미쳐 저소득층이 되는 악순환이 될 수 있으므로 예방 및 관리를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10명 중 8명 "하반기 경영여건 어렵다"…관치보다 '정치금융' 더 압박[금융사 CEO 설문조사]
  • K 붙은 식음료·뷰티 ETF 모두 잘 나가는데…‘이 K’는 무슨 일?
  • 예금자보호한도 상향 논의 재점화…올해는 바뀌나
  • "청약 기회 2년 날렸다"…공사비 급등에 또 취소된 사전청약 사업
  • 필카부터 네 컷까지…'디토 감성' 추구하는 '포토프레스 세대'[Z탐사대]
  • 하반기에도 IPO 대어 더 온다…공모주 기대감 여전
  • 유사투자자문업, 정보·운영 제각각…8월 자본법 개정안 시행에 당국 부담도 ↑ [유사투자자문업 관리실태]②
  • SK그룹, 2026년까지 80조 원 확보… AI·반도체 등 미래 투자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8,272,000
    • +2.87%
    • 이더리움
    • 4,834,000
    • +1.64%
    • 비트코인 캐시
    • 553,000
    • +3.08%
    • 리플
    • 669
    • +0.6%
    • 솔라나
    • 205,900
    • +4.31%
    • 에이다
    • 552
    • +1.66%
    • 이오스
    • 810
    • +1.76%
    • 트론
    • 175
    • -1.13%
    • 스텔라루멘
    • 127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63,400
    • +2.92%
    • 체인링크
    • 20,120
    • +5.73%
    • 샌드박스
    • 466
    • +1.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