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맛으로 살아간다는 한국인. 적당한 찰기, 반지르르한 기름, 씹는 맛이 일품인 쌀을 위해 ‘품질 좋은 쌀’을 찾기 위한 수고도 마다치 않죠. ‘밥맛없다’가 욕이 되는 한국인에게 ‘밥심’은 정말 중요한데요. 한때 한국인의 밥심을 책임졌던 쌀이 현재 아프리카에서 ‘식량난 해소’에 큰 힘이 되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보릿고개로 식량 사정이 나빴던 19
한국의 통일벼가 아프리카의 식량난의 해결사로 주목받고 있다. 최근 농림축산식품부는 공정개발원조(ODA) 사업의 일환으로 통일벼를 아프리카 기후에 맞게 개량한 신품종과 재배 기술을 아프리카에 전수하는 'K-라이스벨트' 대상국을 10개국으로 확대했다.
통일벼는 식량이 부족하던 시절 수확률이 높은 쌀 생산을 위해 개발된 품종이다. 당시 7년에 걸쳐 250여
아프리카 55개 국가 중 10개 국가가 한국쌀과 재배방식을 도입한다. K농업의 위상을 높이는 한편 부산 세계박람회에 대한 지지도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정황근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현지시각으로 18일 서아프리카 코트디부아르에서 코베난 아주마니 농업지역개발식량생산부 장관을 만나 'K-라이스벨트' 구축사업 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K-라이스
흰쌀밥을 달리 부르는 말은 '이(李)밥'이다. 조선시대에는 벼슬길에 올라야 이(李) 씨 임금이 내리는 쌀밥을 먹을 수 있었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다. '이밥에 고깃국'을 먹는 것은 백성들의 소원이었다. 그만큼 쌀이 부족했고, 요원했고, 또 중요했다.
쌀이 부족해 동남아 여행에서 별미로 맛보는 안남미를 우리나라가 수입한 적도 있다. 1900년대 초반 대한제국
우리나라 농업 연구ㆍ개발(R&D) 분야에서는 정부 주도로 새로운 품종을 개발하여 생산자들에게 보급하는 정책을 취해왔다. 그 임무를 수행해온 농촌진흥청은 1970년대에 생산성이 좋은 ‘통일벼’를 개발, 보급하여 쌀 자급을 달성했고, 그 이후 꾸준히 새로운 쌀 품종을 비롯해 마늘, 콩, 옥수수 등의 밭작물, 나아가 소, 돼지, 닭 등의 축산 분야에서도 신품종
국가의 과학기술혁신 정책과 관련하여 트리플 헬릭스(Triple Helix: 삼중 나선) 모형에 기반한 발전 방향에 대한 논의가 10여년 전부터 국내에서 본격화되었고, 이에 따른 혁신의 세 주체, 대학, 정부, 산업의 역할이 변화하고 있다. 트리플 헬릭스 모형은 마치 DNA의 나선 구조처럼 세 주체의 유기적인 협력을 통한 진화가 국가와 지역의 혁신을 만들어
개발도상국에 대한 우리 외교의 중요성이 나날이 증대되고 있다. 배고픔에 시달리는 가난한 국가에 식량을 지원해 인류애를 실천한다. 코로나 19사태로 식량 부족 상황은 더욱 심각해진다. 세계식량계획(WFP)은 코로나 사태로 아프리카, 아시아, 남미 등 49개 국가의 약 2억7000만 명이 기아에 처할 것으로 본다. 최근 외교는 식량과 기술 중심의 농업외교를 넘
코로나19는 대한민국 외교의 대전환을 요구한다. 자본 중심의 ‘경제외교’에서 생명을 중심으로 하는 ‘생명 외교’로 전환해야 한다. 사람 생명은 물론 동물 생명과 지구의 생명도 고려해야 한다. 사람 생명에 위험한 지구 상의 바이러스는 160만 개이나 밝혀진 것은 3000개 정도이다. 사람과 동물에 공통으로 발생하는 인수공통 바이러스 50만 개 중 밝혀진 것
어떤 일을 바라보는 시각(perspective)은 상황과 입장에 따라 변한다. 이러한 변화를 받아들이면서 그 밑바닥에 흐르는 진리의 본성을 찾을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그러한 본질적 진리를 변함없이 일관되게 유지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겸손함만이 우리를 그렇게 살 수 있게 한다.
산업화 이전의 한국 경제는 배고픔을 극복하는 과정이었다. 보릿고개라는
"쌀 소비 급감…가공산업 육성”
"식량이 부족해지면 국가와 정권의 존폐와도 연결됩니다. 식량 생산성 유지를 위해 품종과 재배기술 개발 등 연구개발(R&D) 비중을 높여야 합니다."
김두호 농촌진흥청 식량과학원장은 30년 넘게 농업 R&D 정책 분야에서 일한 전문가다. 연구실과 농업 현장을 직접 발로 뛰었고, 이를 정책과 연결하는데 탁월하다는 평가
첫 수확 ‘해들‘, 평가서 일본 압도…재배 품종 1위~4위 모두 국산
외래종 종자‧비축미 축소 방침
우리나라 대표 쌀 생산지인 경기도 이천. 올해 경기도 이천에서는 뜻깊은 수확 행사가 열렸다. 바로 국내 기술로 개발한 최고품질 벼인 '해들'의 첫 수확이 이뤄졌다.
이천의 대표 쌀 브랜드인 '임금님표 이천쌀'은 많이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 이
농촌진흥청이 아프리카와의 농업 기술 협력에 앞장서고 있다. 현지 풍토에 맞는 농업 기술을 개발·보급해 이 지역의 오랜 식량난을 극복하고 농가 소득을 올리는 데 힘을 쏟고 있다.
농진청은 2009년 케냐에서 아프리카 해외농업기술개발사업(KOPIA·코피아)을 처음 시작했다. 한국의 농업 전문가를 개발도상국에 파견해 그 나라 사정에 맞는 맞춤형 농업 기
인류 최초의 혁명은 농업혁명이다. 수렵이나 목축을 하며 이동해 다니던 인류가 농사를 지음으로써 정착하기 시작했고 문명이 발생했다. 농업이 발달하면서 농업에 필요한 도구와 토기 등이 만들어졌고, 농업생산량이 증가하면서 인구가 획기적으로 늘어났다. 인류의 역사란 곧 ‘농업의 역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농경사회에서 농업은 한 나라의 역사이자 기초산업이었다.
대한민국의 과학기술 역사를 한눈에 살펴보고, 미래과학을 조망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미래창조과학부와 광복70주년기념사업추진위원회는 28일 경기도 일산 킨텍스에서 '광복 70주년, 과학기술이 이끄는 새로운 도약'을 주제로 '과학창조한국대전'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광복 70주년을 맞아 매년 개최되던 대한민국과학창의축전을 확대한 과학창조한국대전은 이날부터 내달
지난 주말 모처럼 한적한 교외로 나갈 기회가 있었다. 이미 추수가 끝나버린 초겨울의 텅 빈 논이 쓸쓸하게 보였다. 여름 내내 푸른 벼가 자라던 논은 말라버린 바닥을 허전하게 드러내고 있었다. 넓은 논 여기저기에 흰 비닐을 감싼 볏짚더미가 마치 조형물처럼 널려 있었다. 기계로 벼를 수확하고 남은 볏짚을 가축의 사료로 이용하기 위해 자동으로 포장해 놓은 것들
그동안 해외원조를 받던 나라에서 이제는 농업 기술과 많은 우수 품종을 기증하는 나라가 된 대한민국. 그리고 그것을 가능케 한 ‘통일벼’. 1960년대 식량 자급은 국가적인 숙원이었고, 정부는 식량의 자급자족을 위해 우리나라 기후에 맞고 생산성이 좋은 품종 개발에 몰두했다. 그 결과 1971년 ‘기적의 볍씨’로 불리는 ‘통일벼’가 탄생했다. ‘통일벼’ 개발은
기억도 가끔은 추억이 된다. 보릿고개 시절 묵은 곡식이 바닥나 아직 다 여물지도 않은 감자나 풋보리를 베어 먹으며 끼니를 때우곤 했다. 통일벼 등 벼 품종개량과 농업기술 발달로 식량 증산이 되면서 보릿고개도 서서히 사라져 갔다.
힘들었던 기억이자 추억으로 남아 있던 보릿고개가 풍요로울 줄만 알았던 21세기에 ‘글로벌 보릿고개’로 다시 등장했다. 전 세계적
“매일같이 4시30분에 일어나서 깡통 주우러 다녔지, 1원 5원.10원짜리 모아서 3만원 만들면 그게 1000만원보다 더 값지고 그랬어.”
서울 종로구 동숭동에서 52년째 살고 있는 황화익(76·여) 할머니는 30년이 넘게 폐지 빈깡통 등 재활용품을 모아 어려운 주변사람들을 돕고 있다. 그런 그의 공로을 받아 9일 올해 서울시 복지상 대상을 수상하는 영예
박근혜 대통령은 4일 아르만도 게부자 모잠비크 대통령을 만나 “한국의 농촌발전 경험과 새마을운동 정신은 모잠비크 발전에도 크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오전 청와대에서 게부자 대통령과 정상회담 후 오찬을 갖고 “우리나라는 1960년대와 1970년대 아프리카 등에서 도입한 품종을 기반으로 통일벼를 개발하고 새마을운동을 통해 농촌을
농촌진흥청이 땅콩계의 통일벼로 일컬을 수 있는 새로운 땅콩 품종을 개발해 농가소득 증가에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보인다.
농진청은 수량과 기능성 성분을 높인 새로운 땅콩 품종 ‘신팔광’을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한 ‘신팔광’ 땅콩은 수량이 10a(1000㎡)당 540kg로 기존의 최고수량인 ‘대광’ 땅콩보다 수량이 28% 많다.
또 키가